화폐의 내생성에 기초한 화폐수량설 비판 시론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이 글의 목적

2. 화폐수량설의 이론구조와 의미

3. 화폐와 생산의 관계

4. 화폐의 내생성과 그 의미

5. 맺음말

본문내용

가 다시 제공될 때 마다 초과화폐가 창조된다.
(4) 한편 중앙은행의 역할과 관련하여 화폐수량설은 중앙은행이 실제로 화폐량을 결정한다고 생각하며, 후기 케인즈 학파는 이 가능성을 부정한다. 따라서 후기 케인즈 학파의 경우, 금융체계와 기업 간의 실질적 연계가 보다 강화될 수 있는 방향으로 금융체계의 활동을 유도하는 것이야말로 중앙은행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후기 케인즈 학파가 주장하는 내생적 화폐론의 정책적 함의는 외생변수인 이자율을 목표로 삼아야 된다는 주장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맑스주의 화폐론의 경우에는 중앙은행에 의한 화폐량의 인위적인 통제 가능성을 부정한다는 점에서는 후기 케인즈 학파의 입장과 일치되지만, 중앙은행의 외면적인 통제가능성은 어느 정도 인정한다는 점에서 보다 유연하다고 할 수 있다.
(5) 후기 케인즈 학파와 맑스주의 화폐론의 반화폐수량설적 입장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금융규제완화(Deregulation)에 대하여 일정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화폐의 창조 및 유통을 생산과의 관련 속에서 사유하는 이 전통은 몇 가지의 매개 고리와 결합될 경우 은행체계(또는 화폐자본)와 기업(또는 산업자본) 사이의 보다 유기적인 관계를 가능케 하는 새로운 제도적 틀(가령 Reregulation)에 대한 모색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점에 대한 검토가 이후의 과제이다. 실제로 후기 케인즈 학파나 조절이론의 경우 모든 문제가 그렇듯이 화폐나 금융의 문제도 산업-금융간 관계나 자본축적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고려 속에서 제도의 형성 및 기능이라는 측면에서 검토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참 고 문 헌
Aglietta,M.(1979), A Theory of Capitalist Regulation: The US Expierience, NLB
Arestis,P.(1992), The Post-Keynesian Approach to Economics, Edward Elgar
De Vroey,M.(1981), Value, Production and Exchange , in I.Steedman & P.Sweezy,eds., The Value Controversy, Verso,
De Vroey,M.(1984), Inflation: a non-monetarist monetary interpretation ,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Dymsky,G.(1992), A new vies of the role of banking firms in Keynesian monetary theory, JPKE, vol.14, no.3
Foley,D.(1989), Money in Economic Activity , in J.Eatwell, M.Milgate & P.Newman,eds., The New Palgrave : Money, The Macmillan Press Limited
Friedman,M.(1989), Quantity Theory of Money , in J.Eatwell, M.Milgate & P.Newman,eds., The New Palgrave : Money, The Macmillan Press Limited
Green,R.(1989), Real bills doctrine , in J.Eatwell, M.Milgate &
P.Newman,eds., The New Palgrave : Money, The Macmillan Press Limited
Hall,M.(1992), On the Creation of Money and the Accumulation of Bank
Capital, Capital & Class(48)
Harris, L.(1979), The Role of Money in the Economy , in F.Green & P.Nore, eds., Issues in Political Economy, MacMillan
Hilferding,R.(1981), Finance Capital: A study of the latest phase of capitalist development, Routledge & Kegan Paul
Lavoie,M(1992)., Foundations of Post-Keynesian Economic Analysis, Edward Elgar
Lipietz,A.(1985), Enchanted World, Verso
Marx,K.(1981), Captita III, Penguin Books
Marx,K.(1988), Capital I, 김수행 역, 『자본론』 1권 上, 비봉출판사
Minsky,H.P.(1977), An "Economics of Keynes" Perspective on Money, in Modern Economic Thought,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Moore,B.J.(1992), Money supply endogeneity: reserve price setting or reserve quantity setting ?, JPKE
Pollin,R.(1991), Two theories of money supply endogeneity:some empirical evidence, JPKE, spring, vol.13, no.3
Selden,R.T.(1977), Monetarism, in Modern Economic Thought,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Weintraub,S.(1977),(ed), Modern Economic Thought,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Wray,L.R.(1992), Commercial banks, the central bank, and endogenous money, JPKE, spring, vol.14, no.3
de Brunhoff,S.(1976), Marx on Money, Urizen Books
de Brunhoff,S.(1982), Questioning Monetarism ,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02.07.06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9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