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사회복지와 아동복지
제3장 보육사업의 연혁과 현황
제4장 보육사업의 운영 실태 분석
제5장 결 론
제2장 사회복지와 아동복지
제3장 보육사업의 연혁과 현황
제4장 보육사업의 운영 실태 분석
제5장 결 론
본문내용
, 「보육학개론」, 서울: 동문사, 1998.
유종해, 「현대행정학」, 서울; 박영사, 1995.
이경희·이소희·방은령, 「가족복지」, 1993.
이극찬, 「정치학」, 서울: 법문사, 1999.
이상금 외, 「2000년대를 향한 유아교육 장·단기 발전 방안」, 서울: 한국유아교육학회, 1993.
이소희, 한국보육정책대안에 관한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제6집, 1995.
이옥, 도시지역 방과 후 탁아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기초 조사 연구, 양옥승 편, 「탁아연구 II-교육적 접근-」, 양서원, 1993
이옥, 학령기 아동을 위한 방과 후 탁아프로그램 연구, 「한국아동학회지」제16권 1호, 1995.
이종수·윤영진 외, 「새행정학」, 서울: 대영문화사, 1998.
이현섭, 영유아보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진주산업대학교 논문집」제34집, 1995.
이현섭 외, 「유아교육개론」, 서울: 학지사, 1999.
장인협, 공적부조에 관한 연구, 「사회학회지」 제3호, 한국사회학회, 1981.
장인협, 「아동복지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4.
장인협, 「아동복지」,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 1985.
정승룡,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0.
주정일·이소희, 「아동복지학」, 교문사, 1993.
차용준, 「사회복지학」, 전주: 도서출판 대명, 1998.
차용준, 「복지행정 총론」, 전주: 전주대학교 출판부, 1999.
최성재·남기민, 「사회복지행정론」, 서울: 나남출판, 1995.
최일섭, 한국사회복지의 정책적 과제, 「서울특별시 사회복지대회 자료」, 서울특별시 복지협의회, 1989.
Burns, Evelin M., Social Security and Public Policy, New York: McGraw-Hill, 1965.
Compton, Beulah R.,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 Social work, The Dorsey Press, 1980.
Dolgoff, Ralph and Donald Feldstein, Understanding Social Welfare, New
York: Harper & Row, 1980.
Gilbert, N. & H. Specht,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2nd ed.,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Hall, 1986.
Myrdal, Alva, National and Family, New York: Harper and Prothes, 1941.
Rescher, N., Welfare,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1970.
Romanyshyn, John M., Social Welfare, Random House, 1971.
A Study of the Delivery System of Day Care Services in Korea
Kim Ok-Ryea
Mr. Program in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Jeon-Ju University.
We live in the age of welfare state. We are experiencing many changes in our social structure and value system. Especially, according to the change of social structure which has increased the number of nuclear families and the joint bread-winning, and because of the change of value system which demands the equal rights for both sexes and the higher quality of life, the necessity of day care service has been increased.
Day care service is a kind of child welfare that helps the development of child's total personality and gets back parent's roles. But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delivery system of day care services in korea. So, we study the delivery system, and suggest several proposals as follows;
First, we must change perceptions and value system, and so consider system of day care service as educare in the light of child welfare.
Second, The right of receiving day care service should be considered as a basic human right, and the opportunity of receiving day care service should be increased.
Third, the multiplication of day care services must be accomplished. Especially, such measures as the development and supply of day care programs, and promotion of care and learning must be accomplished.
Fourth, the delivery system of day care service must be more professionally, and more democratically.
Lastly, the administrative system for supporting day care service must be strengthened, and financial program must be increased.
유종해, 「현대행정학」, 서울; 박영사, 1995.
이경희·이소희·방은령, 「가족복지」, 1993.
이극찬, 「정치학」, 서울: 법문사, 1999.
이상금 외, 「2000년대를 향한 유아교육 장·단기 발전 방안」, 서울: 한국유아교육학회, 1993.
이소희, 한국보육정책대안에 관한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제6집, 1995.
이옥, 도시지역 방과 후 탁아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기초 조사 연구, 양옥승 편, 「탁아연구 II-교육적 접근-」, 양서원, 1993
이옥, 학령기 아동을 위한 방과 후 탁아프로그램 연구, 「한국아동학회지」제16권 1호, 1995.
이종수·윤영진 외, 「새행정학」, 서울: 대영문화사, 1998.
이현섭, 영유아보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진주산업대학교 논문집」제34집, 1995.
이현섭 외, 「유아교육개론」, 서울: 학지사, 1999.
장인협, 공적부조에 관한 연구, 「사회학회지」 제3호, 한국사회학회, 1981.
장인협, 「아동복지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4.
장인협, 「아동복지」,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 1985.
정승룡,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0.
주정일·이소희, 「아동복지학」, 교문사, 1993.
차용준, 「사회복지학」, 전주: 도서출판 대명, 1998.
차용준, 「복지행정 총론」, 전주: 전주대학교 출판부, 1999.
최성재·남기민, 「사회복지행정론」, 서울: 나남출판, 1995.
최일섭, 한국사회복지의 정책적 과제, 「서울특별시 사회복지대회 자료」, 서울특별시 복지협의회, 1989.
Burns, Evelin M., Social Security and Public Policy, New York: McGraw-Hill, 1965.
Compton, Beulah R.,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 Social work, The Dorsey Press, 1980.
Dolgoff, Ralph and Donald Feldstein, Understanding Social Welfare, New
York: Harper & Row, 1980.
Gilbert, N. & H. Specht,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2nd ed.,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Hall, 1986.
Myrdal, Alva, National and Family, New York: Harper and Prothes, 1941.
Rescher, N., Welfare,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1970.
Romanyshyn, John M., Social Welfare, Random House, 1971.
A Study of the Delivery System of Day Care Services in Korea
Kim Ok-Ryea
Mr. Program in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Jeon-Ju University.
We live in the age of welfare state. We are experiencing many changes in our social structure and value system. Especially, according to the change of social structure which has increased the number of nuclear families and the joint bread-winning, and because of the change of value system which demands the equal rights for both sexes and the higher quality of life, the necessity of day care service has been increased.
Day care service is a kind of child welfare that helps the development of child's total personality and gets back parent's roles. But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delivery system of day care services in korea. So, we study the delivery system, and suggest several proposals as follows;
First, we must change perceptions and value system, and so consider system of day care service as educare in the light of child welfare.
Second, The right of receiving day care service should be considered as a basic human right, and the opportunity of receiving day care service should be increased.
Third, the multiplication of day care services must be accomplished. Especially, such measures as the development and supply of day care programs, and promotion of care and learning must be accomplished.
Fourth, the delivery system of day care service must be more professionally, and more democratically.
Lastly, the administrative system for supporting day care service must be strengthened, and financial program must be increased.
추천자료
(아동복지) 이혼가정아동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보고서 - 이혼의 개념 및 정의, 아동의 적응, ...
내가 거주하는 기초자치단체(시,군,구)의 사회복지전달체계를 조사 - 서초구 사회복지 전달체...
엠엠씨-사회복지정책론-우리나라 사회복지전달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우리나라 사회복지법체계에 대해 설명하고 사회복지사업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법의 내용...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서비스로서 아동복지정책, 노인복지정책, 장애인복지정책, 가족복...
향후 우리나라 사회복지행정 체계의 과제에 대해 논하시오. (사회복지행정체계)
아동복지론-아동복지실천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역할 및 자질에 대해 설명하고 사회복지사의 ...
[사회복지법제] 아동복지법의 변천사를 기술하고 아동복지법의 내용 중 개정되었으면 좋겠다...
[사회복지서비스전달체계]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원칙과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