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역사적 자본주의 I : 페르낭 브로델
3. 역사적 자본주의 II: 세계체계 분석
4. 20세기의 자본주의
5. 맺음말
2. 역사적 자본주의 I : 페르낭 브로델
3. 역사적 자본주의 II: 세계체계 분석
4. 20세기의 자본주의
5. 맺음말
본문내용
rk Press.
Pani , Mica. 1995, "The Bretton Woods System: Concept and Practice," Michie, Jonathan and John Grieve Smith eds., Managing the Global Economy, Oxford University Press.
Polanyi, Karl. 1957, The Great Transformation: the political and economic origins of our time, Beacon Press.
Rojas, Carlos Antonio Aguirre. 1992, "Between Marx and Braudel: Making History, Knowing History," Review XV(2), Spring.
Taylor, Peter J. 1996, The Way the Modern World Works, John Wiley & Sons.
Wallerstein, Immanuel. 1974, "The Rise and Future Demise of the World Capitalist System: Concepts for Comparative Analysis," in Essential Wallerstein, The New Press, 2000.
_____________________. 1983, "The Three Instances of the Hegemony in the History of the Capitalist World-Economy," in Essential Wallerstein, The New Press, 2000.
_____________________.. 1984, "Long Waves as Capitalist Process," in Essential Wallerstein.
_____________________. 1987, "World-Systems Analysis," in Essential Wallerstein.
_____________________. 1992, "The West, Capitalism, and the Modern World-System," Review XV(4), Fall.
_____________________. 1994, 『사회과학으로부터의 탈피: 19세기 패러다임의 한계』, 창작과비평사.
_____________________. 1999a, 『근대세계체제I: 자본주의적 농업과 16세기 유럽 세계경제의 기원』, 까치.
_____________________. 1999b, 『근대세계체제II: 중상주의와 유럽 세계경제의 공고화, 1600-1750』, 까치.
_____________________. 1999c, 『근대세계체제III: 자본주의 세계경제의 거대한 팽창의 두 번째 시대 1730-1840년대』, 까치.
_____________________. 1999d, "Frank Proves the European Miracle," Review XXII(3).
_____________________. 2001, 『우리가 아는 세계의 종언: 21세기를 위한 사회과학』, 창작과비평사, 2001.
_____________________. et al., 1999, 『이행의 시대』, 창작과비평사.
네덜란드
영국
미국
물질적 팽창기
1640-1750
1790s-1873
1930s-1968/1973
금융적 팽창기
(징후적 위기에서 최종적 위기의 시기)
1750-1790s
1873-1930s
1968/1973-현재
중심도시
암스테르담
런던
뉴욕
헤게모니 경합국
에스파냐
프랑스
독일
축적체제의 원리
보호비용의 내부화
생산비용의 내부화
거래비용의 내부화
기업형태
공인합자회사
가족기업
법인기업
국가간체계
세력균형하의 전쟁의 지속
유럽의 평화/제국주의적 식민지 확장
양극체제하의 냉전/민족국가 공동체
세계경제의 조직원리
제해권 장악하에 공인합자회사 통한 원거리 무역권 독점
상업적·영토적 해외팽창을 토대로 영국을 세계의 공장화. 생산활동을 자본의 통제하에 둠
초국적법인기업의 수직적 통합망
핵심산업
무역업, 조선업, 상품작물
면직업, 철강, 석탄
자동차, 철강, 소비재산업, 군수산업, 항공우주
국제 금융체계
금본위제
고도금융에 대한 통제.
금-달러본위제에서 달러본위제로 이행
상징적 제도
베스트팔렌조약
concert of europe
브레튼우즈/UN
지배적 이데올로기로서 자유주의의 형태
실용적 공화주의
의회 자유주의
뉴딜적 자유주의. 민족국가 단위의 발전주의.
중간계급의 포섭전략
엘리트 과두제
정착민 식민지 건설. 선거권
보통선거권/복지국가/민족국가 독립
헤게모니 위기의 양태
영국과 프랑스 사이의 중상주의적 경쟁/프랑스혁명
미국과 독일 사이의 경쟁에 따른 양차대전/파시즘과 사회주의
신자유주의 하의 민족국가의 위기/자유주의의 위기
<표 > 세 번의 헤게모니의 특징
헤게모니
(1815-1873)
헤게모니 이행
새로운 헤게모니
(1945- )
헤게모니 위기(1873-1920s)
헤게모니 붕괴(1930s-1945)
헤게모니 국가에
의한 체계의
재구성(산업혁명과
영토 제국주의)
체계의 팽창
(팍스브리타니카)
헤게모니 국가에
대한 모방(공업화)
유럽국가들이 (식민지 확장과
영국을 모방 공업화의 가속)
국가간·기업간
경쟁의 격화
체계전반에 금융적
팽창이 발생하여
쇠퇴하는 헤게모니에 집중
사회적 갈등
(민족해방운동
/노동운동)
새로운 권력구조(파시즘/사회주의/뉴딜)
새로운 기업구조(수평적/수직적 통합)
새로운 사회계급
(민족해방운동/조직노동자)
체계의 카오스:
자유무역 제국주의의 해체
사회적 지배블록의 해체
국가간·국내 권력투쟁의 격화
성장하는 헤게모니
수중에 군사력과
금융력이 집중됨.
새로운 기업구조의
공고화
사회적 갈등의 증폭
새로운 헤게모니
국가에 의한
체계의 재구성
(법인자본주의와
전지구적 뉴딜
팍스아메리카나)
새로운 헤게모니
사회블록의 형성
새로운 헤게모니
국가에 대한 모방
(법인자본주의)
<그림 1> 영국헤게모니의 쇠퇴와 미국헤게모니의 성립 과정
주: Arrighi et al.(1999)의 그림 2∼6을 참고하여 작성.
Pani , Mica. 1995, "The Bretton Woods System: Concept and Practice," Michie, Jonathan and John Grieve Smith eds., Managing the Global Economy, Oxford University Press.
Polanyi, Karl. 1957, The Great Transformation: the political and economic origins of our time, Beacon Press.
Rojas, Carlos Antonio Aguirre. 1992, "Between Marx and Braudel: Making History, Knowing History," Review XV(2), Spring.
Taylor, Peter J. 1996, The Way the Modern World Works, John Wiley & Sons.
Wallerstein, Immanuel. 1974, "The Rise and Future Demise of the World Capitalist System: Concepts for Comparative Analysis," in Essential Wallerstein, The New Press, 2000.
_____________________. 1983, "The Three Instances of the Hegemony in the History of the Capitalist World-Economy," in Essential Wallerstein, The New Press, 2000.
_____________________.. 1984, "Long Waves as Capitalist Process," in Essential Wallerstein.
_____________________. 1987, "World-Systems Analysis," in Essential Wallerstein.
_____________________. 1992, "The West, Capitalism, and the Modern World-System," Review XV(4), Fall.
_____________________. 1994, 『사회과학으로부터의 탈피: 19세기 패러다임의 한계』, 창작과비평사.
_____________________. 1999a, 『근대세계체제I: 자본주의적 농업과 16세기 유럽 세계경제의 기원』, 까치.
_____________________. 1999b, 『근대세계체제II: 중상주의와 유럽 세계경제의 공고화, 1600-1750』, 까치.
_____________________. 1999c, 『근대세계체제III: 자본주의 세계경제의 거대한 팽창의 두 번째 시대 1730-1840년대』, 까치.
_____________________. 1999d, "Frank Proves the European Miracle," Review XXII(3).
_____________________. 2001, 『우리가 아는 세계의 종언: 21세기를 위한 사회과학』, 창작과비평사, 2001.
_____________________. et al., 1999, 『이행의 시대』, 창작과비평사.
네덜란드
영국
미국
물질적 팽창기
1640-1750
1790s-1873
1930s-1968/1973
금융적 팽창기
(징후적 위기에서 최종적 위기의 시기)
1750-1790s
1873-1930s
1968/1973-현재
중심도시
암스테르담
런던
뉴욕
헤게모니 경합국
에스파냐
프랑스
독일
축적체제의 원리
보호비용의 내부화
생산비용의 내부화
거래비용의 내부화
기업형태
공인합자회사
가족기업
법인기업
국가간체계
세력균형하의 전쟁의 지속
유럽의 평화/제국주의적 식민지 확장
양극체제하의 냉전/민족국가 공동체
세계경제의 조직원리
제해권 장악하에 공인합자회사 통한 원거리 무역권 독점
상업적·영토적 해외팽창을 토대로 영국을 세계의 공장화. 생산활동을 자본의 통제하에 둠
초국적법인기업의 수직적 통합망
핵심산업
무역업, 조선업, 상품작물
면직업, 철강, 석탄
자동차, 철강, 소비재산업, 군수산업, 항공우주
국제 금융체계
금본위제
고도금융에 대한 통제.
금-달러본위제에서 달러본위제로 이행
상징적 제도
베스트팔렌조약
concert of europe
브레튼우즈/UN
지배적 이데올로기로서 자유주의의 형태
실용적 공화주의
의회 자유주의
뉴딜적 자유주의. 민족국가 단위의 발전주의.
중간계급의 포섭전략
엘리트 과두제
정착민 식민지 건설. 선거권
보통선거권/복지국가/민족국가 독립
헤게모니 위기의 양태
영국과 프랑스 사이의 중상주의적 경쟁/프랑스혁명
미국과 독일 사이의 경쟁에 따른 양차대전/파시즘과 사회주의
신자유주의 하의 민족국가의 위기/자유주의의 위기
<표 > 세 번의 헤게모니의 특징
헤게모니
(1815-1873)
헤게모니 이행
새로운 헤게모니
(1945- )
헤게모니 위기(1873-1920s)
헤게모니 붕괴(1930s-1945)
헤게모니 국가에
의한 체계의
재구성(산업혁명과
영토 제국주의)
체계의 팽창
(팍스브리타니카)
헤게모니 국가에
대한 모방(공업화)
유럽국가들이 (식민지 확장과
영국을 모방 공업화의 가속)
국가간·기업간
경쟁의 격화
체계전반에 금융적
팽창이 발생하여
쇠퇴하는 헤게모니에 집중
사회적 갈등
(민족해방운동
/노동운동)
새로운 권력구조(파시즘/사회주의/뉴딜)
새로운 기업구조(수평적/수직적 통합)
새로운 사회계급
(민족해방운동/조직노동자)
체계의 카오스:
자유무역 제국주의의 해체
사회적 지배블록의 해체
국가간·국내 권력투쟁의 격화
성장하는 헤게모니
수중에 군사력과
금융력이 집중됨.
새로운 기업구조의
공고화
사회적 갈등의 증폭
새로운 헤게모니
국가에 의한
체계의 재구성
(법인자본주의와
전지구적 뉴딜
팍스아메리카나)
새로운 헤게모니
사회블록의 형성
새로운 헤게모니
국가에 대한 모방
(법인자본주의)
<그림 1> 영국헤게모니의 쇠퇴와 미국헤게모니의 성립 과정
주: Arrighi et al.(1999)의 그림 2∼6을 참고하여 작성.
추천자료
개화기의 역사서술의 특징 - 중세사학에서의 근대사학으로의 이양양태
한국의 시민사회 역사는 있는가
영국과 한국의 사회복지역사
홍콩과 마카오의 역사와 문화, 중국으로의 반환
근대제국주의의 역사적기원
사회복지법의 역사적 형성과정에 대한 고찰
사회복지 역사 및 발달의 비교분석(영국, 미국, 한국)
[일본의 역사]일본의 근대사 총체적 보고
헌법의 역사 헙법 레포트 독후감
우리 역사 최전선을 읽고
사회복지의 역사
마르크스주의 역사과학 - 사적유물론에서 비판적 인류학으로
한.중.일 역사분쟁과 대응방안
안토니오 그람시의 역사, 사상핵심, 안토니오 그람시와 헤게모니론(헤게모니이론), 마르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