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민스키와 금융취약성
1) 왜 민스키인가
2) 금융취약성의 성격
3. 성장과 위기
1) 경제 개발 시기의 성장과 이후의 변화
2) 97년 위기의 원인과 과정
4. 결 론 : 금융개혁의 방향
2. 민스키와 금융취약성
1) 왜 민스키인가
2) 금융취약성의 성격
3. 성장과 위기
1) 경제 개발 시기의 성장과 이후의 변화
2) 97년 위기의 원인과 과정
4. 결 론 : 금융개혁의 방향
본문내용
지어 이러한 감시기능이 잘 발달되어 있는 외국의 금융기관들도 위기를 예측하지 못했다는 것에서 단적으로 알 수 있듯이 적어도 지금과 같은 국가와 금융기관의 감시, 감독기능은 한국자본주의의 안정성을 담보해낼 수 없는 것이다.
둘째 자본시장 등에서의 대외개방문제이다.
한국자본주의가 결정적으로 외환/금융위기로 갈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앞서 살펴보았듯이 과거에는 기능했던 국가의 최종대부자 역할의 제약 때문이었다.
또한 외국자본의 투기적 공격 또한 한 원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해외로부터의 과도한 단기차입 등에 관한 대책과 투기적 자본이동에 대한 제한은 그 구체적 방안에 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으나 필수적인 것으로 보인다.
셋째 현대자본주의의 불안정성은 기본적으로 고투자, 고성장 기조에 그 원인이 있다. 한국자본주의의 경우에도 이것은 과거로부터 부실기업의 발생 등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왔으며 90년대 이후 앞서 분석한 '변화'속에서 외환/ 금융위기를 맞았다. 필요한 것은 민스키가 얘기한 '투자의 사회화'를 포함해서, 사회적 성격을 지닌 자금 등 자원의 배분과 그것의 쓰임에 사회 제계급의 이해가 반영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다. 금융개혁은 이와같은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97년 위기가 마치 한국 자본주의의 고질적인 병폐에 전적으로 기인한 것으로 인식되고 시장에 대한 극단적인 옹호론이 판을 치고 있는 현실은 가장 최악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바로 불행한 역사의 반복이다.
참 고 문 헌
강철규 (1999), 「선단경영에서 독립경영으로」, 『재벌개혁의 경제학』,다산 출판사.
김동원 (1998), 「경제 위기의 원인」, 이병천, 김균편, 『위기 그리고 대전환』, 당대.
박종현 (2000), 「내재적 금융불안정성과 투자의 사회화」, 『사회경제평론』14호, 한국사회경제학회편.
배영목 (1998), 「1990년대 금융자유화와 금융, 외환위기」, 『경제발전연구』, 4권 1호, 한국경제발전학회.
손정식(1987), 『금융혁신과 금융자율화 : 금융산업과 통화정책에 대한 시사』, 전국은행연합회
신상기(1996), 「금융자율화와 증권산업」, 『한국의 금융자유화와 금융발전』, 서경연 심포지엄시리즈Ⅲ.
------(1998), 「한국금융위기의 원인과 대응」, 『경제발전연구』, 4권 2호, 한국경제 발전학회
안성봉(2000), 「자본이동성 증대와 금융불안정 : 한국의 경험」, 『금융경제연구』105호, 한국은행.
유철규(1997), 「한국의 금융자유화와 금융개혁의 성격」, 조원희 편,『한국경제의 위기와 개혁과제』, 풀빛.
------(1998), 「금융자유화와 외환위기 그리고 IMF금융개혁」, 이병천, 김균편,『위기 그리고 대전환』, 당대.
이종권(1996),「거품경제와 일본 금융시스템의 불안정성」, 강신준외 편, 『일본자본주의 분석』, 풀빛
이종규(2000),「경제 위기 : 원인과 발생과정」, 금융경제총서 제 2호, 한국은행
전창환(1998), 「금융세계화와 외환위기 」, 이병천, 김균편, 『위기 그리고 대전환』,당대.
정운찬(1991), 『금융개혁론』, 법문사.
조영철(1998), 「국가후퇴와한국경제발전모델의전환」, 이병천,김균편, 『위기 그리고 대전환』, 당대.
조윤제(1999), 「한국의 금융자유화와 금융위기: 불균형화된 자유화에 따른 금융자금흐름의 왜곡」,『한국은행조사연구자료』, 99-3.
최창규(1998), 「투기적 공격 이론과 한국의 외환위기」, 『경제분석』 제 4권 제 2호, 한국은행 금융조사부.
Chang, Park & Yoo (1998), 'Interpreting the Korean crisis :financial liberalisation, industrial policy and corporate governance',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1998.22. p735-746
Kregel, J.A. (1998), 'Yes, 'It' Did Happen again- A Minsky Crisis Happened in Asia', Working paper No.234, Jerome Levy Economics institute
Minsky, H.P.(1975). John Maynard Keyne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 (1980), 'Money, financial markets, and the coherence of a market economy', JPKE Vol 2(3) fall
---------- (1982), Can "It" Happen Again : Essays on Instability and Finance, Armonk New York, M.E. Sharp
Minsky, H.P. and Ferri, P.(1984), 'Prices, employment, and profits', JPKE vol 6(4) summer
Minsky, H.P. (1986), Stabilizing an Unstable Economy, Yale Univ.
Minsky, H.P. and Whalen, C.J (1996), 'Economic insecurity and the institutional prerequisites for successful capitalism', JPKE vol19(2) winter
Pigeoon, M.A(2000), 'It Happened but not again- A Minskian Analysis of Japan's Lost Decade' ,working paper No.303, Jerome Levy Economics institute
Stiglitz, J.E.(1999), 'Lessons From East Asia', Jounal of Policy Modelling 21(3)
UNCTAD (1998), 'Trade and development report', United nations publications
Wolfson, M.H. (1986), The Financial Crisis, M.E Sharpe. Armonk, New york
둘째 자본시장 등에서의 대외개방문제이다.
한국자본주의가 결정적으로 외환/금융위기로 갈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앞서 살펴보았듯이 과거에는 기능했던 국가의 최종대부자 역할의 제약 때문이었다.
또한 외국자본의 투기적 공격 또한 한 원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해외로부터의 과도한 단기차입 등에 관한 대책과 투기적 자본이동에 대한 제한은 그 구체적 방안에 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으나 필수적인 것으로 보인다.
셋째 현대자본주의의 불안정성은 기본적으로 고투자, 고성장 기조에 그 원인이 있다. 한국자본주의의 경우에도 이것은 과거로부터 부실기업의 발생 등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왔으며 90년대 이후 앞서 분석한 '변화'속에서 외환/ 금융위기를 맞았다. 필요한 것은 민스키가 얘기한 '투자의 사회화'를 포함해서, 사회적 성격을 지닌 자금 등 자원의 배분과 그것의 쓰임에 사회 제계급의 이해가 반영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다. 금융개혁은 이와같은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97년 위기가 마치 한국 자본주의의 고질적인 병폐에 전적으로 기인한 것으로 인식되고 시장에 대한 극단적인 옹호론이 판을 치고 있는 현실은 가장 최악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바로 불행한 역사의 반복이다.
참 고 문 헌
강철규 (1999), 「선단경영에서 독립경영으로」, 『재벌개혁의 경제학』,다산 출판사.
김동원 (1998), 「경제 위기의 원인」, 이병천, 김균편, 『위기 그리고 대전환』, 당대.
박종현 (2000), 「내재적 금융불안정성과 투자의 사회화」, 『사회경제평론』14호, 한국사회경제학회편.
배영목 (1998), 「1990년대 금융자유화와 금융, 외환위기」, 『경제발전연구』, 4권 1호, 한국경제발전학회.
손정식(1987), 『금융혁신과 금융자율화 : 금융산업과 통화정책에 대한 시사』, 전국은행연합회
신상기(1996), 「금융자율화와 증권산업」, 『한국의 금융자유화와 금융발전』, 서경연 심포지엄시리즈Ⅲ.
------(1998), 「한국금융위기의 원인과 대응」, 『경제발전연구』, 4권 2호, 한국경제 발전학회
안성봉(2000), 「자본이동성 증대와 금융불안정 : 한국의 경험」, 『금융경제연구』105호, 한국은행.
유철규(1997), 「한국의 금융자유화와 금융개혁의 성격」, 조원희 편,『한국경제의 위기와 개혁과제』, 풀빛.
------(1998), 「금융자유화와 외환위기 그리고 IMF금융개혁」, 이병천, 김균편,『위기 그리고 대전환』, 당대.
이종권(1996),「거품경제와 일본 금융시스템의 불안정성」, 강신준외 편, 『일본자본주의 분석』, 풀빛
이종규(2000),「경제 위기 : 원인과 발생과정」, 금융경제총서 제 2호, 한국은행
전창환(1998), 「금융세계화와 외환위기 」, 이병천, 김균편, 『위기 그리고 대전환』,당대.
정운찬(1991), 『금융개혁론』, 법문사.
조영철(1998), 「국가후퇴와한국경제발전모델의전환」, 이병천,김균편, 『위기 그리고 대전환』, 당대.
조윤제(1999), 「한국의 금융자유화와 금융위기: 불균형화된 자유화에 따른 금융자금흐름의 왜곡」,『한국은행조사연구자료』, 99-3.
최창규(1998), 「투기적 공격 이론과 한국의 외환위기」, 『경제분석』 제 4권 제 2호, 한국은행 금융조사부.
Chang, Park & Yoo (1998), 'Interpreting the Korean crisis :financial liberalisation, industrial policy and corporate governance',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1998.22. p735-746
Kregel, J.A. (1998), 'Yes, 'It' Did Happen again- A Minsky Crisis Happened in Asia', Working paper No.234, Jerome Levy Economics institute
Minsky, H.P.(1975). John Maynard Keyne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 (1980), 'Money, financial markets, and the coherence of a market economy', JPKE Vol 2(3) fall
---------- (1982), Can "It" Happen Again : Essays on Instability and Finance, Armonk New York, M.E. Sharp
Minsky, H.P. and Ferri, P.(1984), 'Prices, employment, and profits', JPKE vol 6(4) summer
Minsky, H.P. (1986), Stabilizing an Unstable Economy, Yale Univ.
Minsky, H.P. and Whalen, C.J (1996), 'Economic insecurity and the institutional prerequisites for successful capitalism', JPKE vol19(2) winter
Pigeoon, M.A(2000), 'It Happened but not again- A Minskian Analysis of Japan's Lost Decade' ,working paper No.303, Jerome Levy Economics institute
Stiglitz, J.E.(1999), 'Lessons From East Asia', Jounal of Policy Modelling 21(3)
UNCTAD (1998), 'Trade and development report', United nations publications
Wolfson, M.H. (1986), The Financial Crisis, M.E Sharpe. Armonk, New york
추천자료
[한국경제]한국경제공황 기원, 한국경제 위기,배경, 한국 외환위기, 금융위기 원인,특징, 지...
[한국경제][한국경제 세계화][경제][IMF]IMF경제위기(IMF외환위기)의 배경, 대응과 IMF경제위...
[한국경제][한국경제개혁]IMF경제위기(IMF외환위기, IMF금융위기) 원인,내용, IMF경제위기(IM...
[한국경제][한국경제위기][IMF][금융위기][외환위기][한국경제개혁][경제개혁][경제혁신]한국...
[한국 영화][한국 영화산업][영화산업][한국 영화산업의 경쟁력 제고 방안]한국 영화산업의 ...
[한국전쟁][6 25전쟁]한국전쟁(6 25전쟁)의 발발, 한국전쟁(6 25전쟁)의 원인, 한국전쟁(6 25...
[한국경제][한국경제위기][한국경제개혁][한국경제발전]IMF경제위기의 원인, 내용고찰과 한국...
[한국문학][민족문학][민중문학][분단문학][문학]한국문학의 특성, 한국문학의 세계화, 한국...
러시아와 한국(한러)의 밀약설, 러시아와 한국(한러)의 관계정상화, 러시아와 한국(한러)의 ...
[한국근현대사]한국근현대사와 조선후기, 한국근현대사와 서원철폐, 한국근현대사와 갑신정변...
[한국벤처기업]한국벤처기업의 성장과정, 한국벤처기업의 성장가능성, 한국벤처기업의 사회적...
[한국][대한민국][생산성][생산][농업][쌀산업][제조산업][일자리]한국(대한민국) 농업의 생...
[한국시민사회][시민사회][시민]한국시민사회의 약력, 한국시민사회의 특성, 한국시민사회의 ...
[한국벤처기업][벤처기업]한국벤처기업의 역사, 한국벤처기업의 정보화, 한국벤처기업의 금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