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반 절삭율 공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본문내용

crank handle의 2회전 + 34 공판에서 3 공씩 간다.
crank handle의 1회전 + 42 공판에서 9 공씩 간다.
crank handle의 2회전 + 42 공판에서 9 공씩 간다.
상향절삭(上向切削; up-milling)의 설명에서 틀린 것은?
chip 이 절삭날의 진행을 방해한다. ○
cutter와 공작물의 진행 방향이 반대 이므로 idle 이 제거된다.
절삭 초기에 cutter 날의 미끄러짐에 의하여 cutter의 마멸이 심하고, arbor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떨림이 생길 수 있다.
작업 중 공작물을 들어 올리므로 견고한 고정이 필요하다.
지름 100 mm의 cutter를 130 rpm 으로 회전시킬 때 절삭속도는?
28 m/min
25 m/min
40.82 m/min ○
52.37 m/min
지름 D = 100 mm, 날수 z = 12개인 cutter로 절삭속도 v = 120 m/min, 이송 fz = 0.2 mm/tooth에서 절삭할 때 table의 이송속도 f(m/min)는?
15.18
0.917 ○
8.25
36
Module M = 3, 잇수 N = 45 인 평치차(spur gear)를 절삭하기 위한 소재의 지름 Do는?
124 mm
108 mm
97 mm
141 mm ○
분할상수(分割常數) 24인 hobbing machine에서 1 줄 hob로 잇수 36개인 gear를 가공할 때 분할변환 gear 열은?
25/20×40/75 ○
25/20×74/40
18/15×27/26
18/15×26/27
gear shaving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홈이 많이 있는 pinion cutter와 맞물려 회전시킴으로써 치면을 다듬는 작업이다. ○
치면의 정도를 높이기 위한 lapping의 일종이다.
1차 가공된 치면을 총형연삭숫돌로 2차 가공하는 것이다.
치면의 흠집을 scraper로 긁어내는 작업이다.
금속절단용 기계톱이 아닌 것은?
hacksawing machine
circular sawing machine
band sawing machine
fret sawing machine ○
원형톱기계(circular sawing machine)의 크기 표시는?
톱의 지름 ○
최대회전수
기계 톱의 길이×폭
톱기계의 중량
broach 가공(broaching)의 설명 중 틀린 것은?
broach를 1회 인발 또는 압입시킴으로써 가공면을 완성한다.
broach가 고가이므로 다량생산에 적용된다.
braoch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형상과 크기가 같으면 복잡한 단면도 가공할 수 있다.
gear의 전용절삭법으로서 정도가 높은 가공을 한다. ○
절삭가공에 비한 연삭가공의 이점이 되지 못하는 것은?
energy의 소비가 적다. ○
경도가 큰 재료도 용이하게 가공한다.
숫돌입자의 자생작용으로 공구의 재연삭이 필요없다.
가공면의 정도(精度)가 높다.
연삭입자가 작고 결합도가 큰 숫돌로 연한 금속을 연삭할 때 나타나는 현상은?
glazing
loading ○
dressing
truing
가공물에 발생하는 연삭균열의 방지책이 아닌 것은?
연삭유제를 충분히 공급한다.
연한 숫돌을 사용한다.
연삭속도, 깊이 및 이송을 크게 한다. ○
이송과 연삭깊이를 작게 한다.
연삭숫돌의 3요소는?
입자, 결합제, 입자의 경도
입도, 결합제, 입자의 경도
입도, 조직, 형상
입자, 결합제, 기공 ○
취성이 가장 큰 숫돌입자는?
C
A
WA
GC ○
연강(軟鋼)의 연삭에 알맞는 숫돌입자는?
C
A ○
WA
GC
고속도강(H.S.S.)의 연삭에 알맞는 숫돌입자는?
C
A
WA ○
GC
초경합금공구의 연삭에 알맞는 숫돌입자는?
C
A
WA
GC ○
연삭숫돌의 조직(組織; structure) 표시는?
숫돌의 단위체적에 들어 있는 입자수
숫돌의 체적에 대한 입자의 체적비 ○
숫돌의 중량에 대한 입자의 중량비
숫돌의 단위체적에 들어 있는 입자의 중량
원통연삭에서 숫돌의 결합도의 설명 중 틀린 것은?
연질(軟質)의 공작물에는 경(硬)한 숫돌을 사용한다.
숫돌의 속도가 클 때에는 연한 숫돌을 사용한다.
공작물의 속도가 클 때에는 경한 숫돌을 사용한다.
접촉면적이 클 때에는 경한 숫돌을 사용한다. ○
숫돌에 표시된 WA 46-H8 V(No. 1 200×25×25.4)에서 숫자 8 이 표시하는 것은?
입도
결합도
조직 ○
결합제
연삭비의 정의는?
chip의 중량/숫돌의 손모중량
chip의 부피/숫돌의 손모부피 ○
숫돌의 손모중량/chip의 중량
숫돌의 손모부피/chip의 부피
sparking-out time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연삭기의 강성이 크면 sparking-out time 이 짭다.
깊이이송을 주지 않고 길이방향의 이송에 의하여 불꽃(spark)이 생기지 않을 때까지 연삭시간을 sparking-out time 이라 한다.
숫돌이 연할 수록 sparking-out time 이 길다. ○
traverse 연삭에서보다 plunge 연삭에서 sparking-out time 이 길다.
숫돌의 지름 300 mm, 회전수 200 rpm 이고, 공작물의 주속 24 m/min 이며 숫돌과 공작물이 연삭점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운동할 때 연삭속도는?
1908 m/min ○
2326 m/min
2724 m/min
4025 m/min
평면연삭에서 숫돌의 주속 2500 m/min, 연삭저항 20 kg 이고, motor의 동력이 14 HP 일 때 연삭기의 기계효율은?
85.24%
79.36% ○
73.23%
59.03%
centerless 연삭기에서 숫돌지름 300 mm, 회전수 40 rpm, 연삿숫돌축에 대한 조정차축의 경사각이 5o 일 때 공작물의 이송속도는?
3.04 m/min
3.28 m/min ○
4.27 m/min
5 m/min
연삭숫돌의 파괴원인이 아닌 것은?
과속 운전할 때
중연삭(重硏削)할 때
숫돌구멍과 축간의 간극이 없을 때
연삭유제를 과다 공급했을 때 ○
*교재(절삭가공)

키워드

선반,   절삭율,   공식,   용도,   half nut,   절삭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2.07.06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81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