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3.결론
2.본론
3.결론
본문내용
예술 창조의 과정. 연세대학교 출판부.
이재창(1992). 자기성장과 인간관계. 한국가이든스.
이정우 역91995). 담론의 질서. 새길.
이학주(1990). 실천적 행위의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논문집 24(1), pp. 1999-228).
이희재 역(2001). 소유의 종말. 민음사.
임선하(1993). 창의성에의 초대. 교보문고.
장 경(1995). P. Ricouer의 텍스트이론. 전남대 인문과학 연구소 용봉 논집 24(1), pp. 251-272.
정기역(1984). John Dewey와 최한기의 비교 연구. 동아대 동아논총 21집 인문과학편, pp. 189-218.
주영석(1988). 이해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고찰, 교육문제 연구 1(1). pp. 115-140.
최신일(1998). 해석학과 구성주의. 대구대 초등교육 연구 논총 12집. pp. 11-28.
최승자, 김현성 역(1998). 반고흐-지상에 유배된 천사. 책세상.
하대현(1996). 정서지능의 지능성 : 그 이해와 오해. 아동·가족 복지연구 1(1), pp. 27-55.
한국동물학회 역(1996). 챨스 다윈(Peter J. Bowler 원저). 전파과학사.
Csikszentmihalyi, M.(1988) Society, culture, and person a systems view of creativity (In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edited by Robert J. Sternberg).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325-339.
Gruber, H. E., & Davis, S. N.(1988). Inching our way up Mount Olympus : the evolving-systems approach to creative thinking.(In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edited by Robert J. Sternberg).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43-270.
[이런 분에게 특히 유익한 글이 되겠지요?]
창의성 교육의 한계를 느끼고 계신 분들이 읽어볼 만한 자료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다양한 교과에서 창의성 교육을 하고자 하시는 분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얼마 전에 인터넷 창의성 동호회에 한 번 방문한 적이 있습니다. 도덕과에서 창의성 교육을 시도하더군요. 아주 과감한 시도라고 봅니다. 제가 보기에도 도덕과에서 다룰 수 있는 창의성 교육의 고유한 영역이 있습니다. 그리고 특히나 일반 사람들이 간과하는 문제 말입니다. 이 글을 보면 '도덕과에서 창의성 교육'같은 문제의식이나 시도를 하시는 분은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제가 경험에 대한 생각하게 된 계기는 여기에 있습니다.]
저의 경험에 대한 생각은 임선하의 DESK 모형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임선하의 모형에서 보면 성향, 경험, 기능, 지식의 상호작용 결과 창의성이 발휘되는 것으로 되어 있지요. 그런데 왜 하필 그렇게 경험을 중요한 변수로 취급하느냐 하는 것이죠. 그 타당성을 확보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그러나 아쉽게도 나의 경험에 대한 탐구 결과는 그래도 모르겠다 입니다. 아직 명확하지 않고 막연한 점이 많습니다.
경험은 창의성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는 가장 가능성이 넓은 영역중의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종이 위에서 이루어지는 사고 기능에 한정된 창의성 교육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 준 셈입니다.
경험은 창의성 개념의 확장, 여러 창의성 관련 현상에 대한 이해, 그리고 직접적인 창의성 교육과제의 구성과 실행에 많은 도움도 줄 수 있습니다. 경험은 막연하게 생각되고 있고 또 다양한 의미로 사용하고 있어서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막연하게 경험이 중요하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창의성에서 경험의 의미를 타당화 하는 기초 작업으로써 철학적 반성은 필수적이라 봅니다. 앞으로 경험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수집해볼 계획입니다. 또 전기를 통해 철학적으로 반성한 경험의 의미를 좀 더 구체적으로 찾아볼 생각도 가지고 있고, 학생들에게 제시할 창의성 과제를 좀 더 체계적으로 생각해볼 참입니다. 새로운 과제도 찾고, 기존의 과제를 경험에 입각해서 평가도 해 보구요.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여러 가지 실험을 계속 해 볼 생각입니다. 나를 실험 대상으로 삼는 것이죠.
[이 글은 이런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1. 먼저 창의성 이론과 지능 이론을 비교하면서 창의성 이론의 가능성을 저울질해 보았습니다. 지능이론에 미치지 못하는 약점이 이제 막 강점으로 작용하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그게 뭐냐면? 음 말이 길어지니 다운 받아 읽어 보세요. 인식론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창의성 모형 세 가지를 살펴 보았습니다. 그리고 인식론의 관점에서 평가해 보았지요.
2. 지능이론과 창의성 이론의 변화는 근본적으로 객관적 인식론의 한계에 대한 도전으로 보고, 객관적 인식론의 문제점을 살펴보았습니다. 그 다음 객관적 인식론으로는 설명하기 힘든 창의성의 주변 현상을 몇 가지 제시해 보았습니다.
3. 경험의 의미를 철학적 인식론의 입장에서 찾아보았습니다. 먼저 구조주의 철학, 해석학, 듀이와 맥락을 같이 하는 실천 철학, 그리고 프로이드의 입장에서 경험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이 중에서 해석학을 가장 많이 다루었습니다. 구조주의는 제가 이전에 쓴 글이 있어서 자세히 쓰지는 않았습니다. 교정을 해서 다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중간 중간에 이해를 돕기 위해서 창의적인 인물들이 남긴 글이나 그들의 삶에 대한 단편적인 소개를 해 놓았습니다.
4. 일단 철학의 인식론이란 것이 일반인들에게는 좀 생소한 분야라서 글을 읽어나가기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래서 가능하면 철학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그냥 풀어서 우리가 이해하는 말로 바꾸어 놓은 것이 많습니다. 이점 양해 바랍니다. 일단 끈기 있게 읽고 나면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이재창(1992). 자기성장과 인간관계. 한국가이든스.
이정우 역91995). 담론의 질서. 새길.
이학주(1990). 실천적 행위의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논문집 24(1), pp. 1999-228).
이희재 역(2001). 소유의 종말. 민음사.
임선하(1993). 창의성에의 초대. 교보문고.
장 경(1995). P. Ricouer의 텍스트이론. 전남대 인문과학 연구소 용봉 논집 24(1), pp. 251-272.
정기역(1984). John Dewey와 최한기의 비교 연구. 동아대 동아논총 21집 인문과학편, pp. 189-218.
주영석(1988). 이해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고찰, 교육문제 연구 1(1). pp. 115-140.
최신일(1998). 해석학과 구성주의. 대구대 초등교육 연구 논총 12집. pp. 11-28.
최승자, 김현성 역(1998). 반고흐-지상에 유배된 천사. 책세상.
하대현(1996). 정서지능의 지능성 : 그 이해와 오해. 아동·가족 복지연구 1(1), pp. 27-55.
한국동물학회 역(1996). 챨스 다윈(Peter J. Bowler 원저). 전파과학사.
Csikszentmihalyi, M.(1988) Society, culture, and person a systems view of creativity (In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edited by Robert J. Sternberg).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325-339.
Gruber, H. E., & Davis, S. N.(1988). Inching our way up Mount Olympus : the evolving-systems approach to creative thinking.(In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edited by Robert J. Sternberg).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43-270.
[이런 분에게 특히 유익한 글이 되겠지요?]
창의성 교육의 한계를 느끼고 계신 분들이 읽어볼 만한 자료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다양한 교과에서 창의성 교육을 하고자 하시는 분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얼마 전에 인터넷 창의성 동호회에 한 번 방문한 적이 있습니다. 도덕과에서 창의성 교육을 시도하더군요. 아주 과감한 시도라고 봅니다. 제가 보기에도 도덕과에서 다룰 수 있는 창의성 교육의 고유한 영역이 있습니다. 그리고 특히나 일반 사람들이 간과하는 문제 말입니다. 이 글을 보면 '도덕과에서 창의성 교육'같은 문제의식이나 시도를 하시는 분은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제가 경험에 대한 생각하게 된 계기는 여기에 있습니다.]
저의 경험에 대한 생각은 임선하의 DESK 모형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임선하의 모형에서 보면 성향, 경험, 기능, 지식의 상호작용 결과 창의성이 발휘되는 것으로 되어 있지요. 그런데 왜 하필 그렇게 경험을 중요한 변수로 취급하느냐 하는 것이죠. 그 타당성을 확보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그러나 아쉽게도 나의 경험에 대한 탐구 결과는 그래도 모르겠다 입니다. 아직 명확하지 않고 막연한 점이 많습니다.
경험은 창의성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는 가장 가능성이 넓은 영역중의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종이 위에서 이루어지는 사고 기능에 한정된 창의성 교육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 준 셈입니다.
경험은 창의성 개념의 확장, 여러 창의성 관련 현상에 대한 이해, 그리고 직접적인 창의성 교육과제의 구성과 실행에 많은 도움도 줄 수 있습니다. 경험은 막연하게 생각되고 있고 또 다양한 의미로 사용하고 있어서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막연하게 경험이 중요하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창의성에서 경험의 의미를 타당화 하는 기초 작업으로써 철학적 반성은 필수적이라 봅니다. 앞으로 경험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수집해볼 계획입니다. 또 전기를 통해 철학적으로 반성한 경험의 의미를 좀 더 구체적으로 찾아볼 생각도 가지고 있고, 학생들에게 제시할 창의성 과제를 좀 더 체계적으로 생각해볼 참입니다. 새로운 과제도 찾고, 기존의 과제를 경험에 입각해서 평가도 해 보구요.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여러 가지 실험을 계속 해 볼 생각입니다. 나를 실험 대상으로 삼는 것이죠.
[이 글은 이런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1. 먼저 창의성 이론과 지능 이론을 비교하면서 창의성 이론의 가능성을 저울질해 보았습니다. 지능이론에 미치지 못하는 약점이 이제 막 강점으로 작용하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그게 뭐냐면? 음 말이 길어지니 다운 받아 읽어 보세요. 인식론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창의성 모형 세 가지를 살펴 보았습니다. 그리고 인식론의 관점에서 평가해 보았지요.
2. 지능이론과 창의성 이론의 변화는 근본적으로 객관적 인식론의 한계에 대한 도전으로 보고, 객관적 인식론의 문제점을 살펴보았습니다. 그 다음 객관적 인식론으로는 설명하기 힘든 창의성의 주변 현상을 몇 가지 제시해 보았습니다.
3. 경험의 의미를 철학적 인식론의 입장에서 찾아보았습니다. 먼저 구조주의 철학, 해석학, 듀이와 맥락을 같이 하는 실천 철학, 그리고 프로이드의 입장에서 경험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이 중에서 해석학을 가장 많이 다루었습니다. 구조주의는 제가 이전에 쓴 글이 있어서 자세히 쓰지는 않았습니다. 교정을 해서 다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중간 중간에 이해를 돕기 위해서 창의적인 인물들이 남긴 글이나 그들의 삶에 대한 단편적인 소개를 해 놓았습니다.
4. 일단 철학의 인식론이란 것이 일반인들에게는 좀 생소한 분야라서 글을 읽어나가기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래서 가능하면 철학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그냥 풀어서 우리가 이해하는 말로 바꾸어 놓은 것이 많습니다. 이점 양해 바랍니다. 일단 끈기 있게 읽고 나면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추천자료
(A+) [교육심리학]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s)을 설명하고, 그...
(A+ 레포트, 교육심리학)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교육적 시사점 2. 매슬로우(Ma...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교육적 시사점. 2. 매슬로우(M...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교육적 시사점 2. 매슬로우(Ma...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교육적 시사점 2. 매슬로우(Ma...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