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과 의정활동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디자인

1. 자료 및 평가 방식

2. 연구가설

Ⅲ. 결과 및 분석

1. 홈페이지 현황 분석

2. 홈페이지 순위 평가

3. 교차 분석

4. 다중회귀분석

Ⅳ. 결론

본문내용

의 균형을 통해 의회정치의 내실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 지역구 의원들의 활동은 원내 정책활동보다는 선거구민과의 의사소통, 민원해결, 지역구 사업 유치 활동 등 지역구 활동에 치중하는 경향이 많았다. 그러나, 의회정치가 내실화되기 위해서는 지역구 활동과 원내 의정활동간에 균형과 조화가 이루어 져야 한다. 인터넷의 확산은 의원들의 정책 반응성과 원내정책 활동의 폭을 강화시켜 지역구 활동과 함께 균형적인 의원활동을 이끌어 낼 수 있다.
한편, 의원 홈페이지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져 올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가 증폭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홈페이지 구성 및 관리에 내실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의원들의 홈페이지 내실화를 위해서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우선, 홈페이지에 대한 의원 자신들의 인식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 즉, 의원 홈페이지를 자신의 일방적인 홍보 수단으로 인식하는 태도에서 벗어나 홈페이지에 정책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네티즌의 의견을 수렴하는 체제로 운영해야 한다. 더불어, 상임위 활동, 지역구 활동, 국감자료 등 의정활동과 관련된 모든 자료를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홈페이지만 접속하면 의원이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 지에 대해 알 수 있게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 또한, 소소한 개인적인 일정을 제외한 모든 하루 일정을 알림으로써 투명한 의정활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해야 한다. 이외에, 자유게시판, 대화방, 토론방, 후원회 모집 등 의원과 네티즌간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의 구축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 또한, 네티즌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홈페이지에 게시된 모든 질의에 대해 빠른 시일내에 답변하고 최소한 2일에 한번씩은 내용을 업그레이드하여 충실하게 관리해야 한다.
의원 자신의 인식 변화뿐 만 아니라 네티즌들의 인식에도 변화가 있어야 한다.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네티즌들의 인터넷 정치적 활용수준이 대체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티즌들이 인터넷을 정치관련 정보 습득이나 정치 참여의 수단으로 활용하기보다는 오락이나 주식 투자의 목적으로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대 총선 당시 네티즌의 21.9%만이 총선 후보자가 개설한 홈페이지에 접속한 경험이 있다는 조사결과가 이를 잘 대변해준다(김용철·윤성이 2000, 145). 네티즌들에게 인터넷의 정치적 활용 수준을 높이는 것이 진정한 정치변화와 성숙된 의회민주주의의 실현을 가져 올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이에 부응하여 의원들이 자신의 홈페이지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할 때 만이 홈페이지의 질적, 양적 변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참 고 문 헌 ▣
1. 국내문헌
김용철·윤성이. 2000. "인터넷의 정치적 활용과 16대 총선." 『한국정치학회보』 34집 3호, 129-148.
박찬욱. 1999. "한국 의회정치의 특성." 한국정치학회편, 백영철외, 『한국의회정치론』서울: 건국대학교 출판부.
-----. 1986. "국회의 대표 기능연구: 의원의 지역구 활동을 중심으로."『의정연구』21집, 1-63.
심지연. 1999. "의회정치와 민주주의." 한국정치학회편, 백영철외, 『한국의회정치론』서울: 건국대학교 출판부.
윤종빈. 2000. "한국 국회의원 지역구 활동 정도의 결정 분석: 커리어 단계를 중심으로."『한국정치학회보』33집 4호, 145-164.
2. 국외문헌
Boynton, G. R., and Chong Lim Kim (eds.). 1975. Legislative Systems in Developing Countries.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Cain, Bruce E., John A. Ferejohn, and M. P. Morris. 1983. "The Constituency Component: A Comparison of Service in Great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Comparative Political Studies 16: 67-91.
Fenno, Richard F. Home Style: House Members in Their Districts. Boston: Little, Brown.
Johanne, John R. 1984. To Serve the People: Congress and Constituency Service. Lincol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Kim, Chong Lim, Joel D. Barkan, Ilter Turan, and Malcolm E. Jewell. 1984. The
Legislative Connection: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in Kenya, Korea, and Turkey.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Loewenberg, Gerhard., and Samuel C. Patterson. 1979. Comparative Legislatures. Boston: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Norton, Philip., and David M. Wood. 1993. Back From Westminster: British Members of Parliament and their Constituents. Kentucky: Th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Packeham, Robert. 1970. "Legislature and Political Development." in Allan Kornberg and Lloyd Musolf (eds.). Legislatures in Developmental Perspective.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Wahlke, John C., Heinz Eulau, William Buchanan, LeRoy C, Ferguson. 1962. The Legislative System: Explorations in Legislative Behavior. New York: John Wiley.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2.07.15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86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