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90년대 현대소설 연구에 나타난 특징
1. 연도별 논문 수의 추이
2. 연구 대상 시기에 따른 특징
3. 연구 대상 작가에 따른 특징
4. 연구 주제에 따른 특징
Ⅲ. 실증적 연구에 대한 일견해
1. 작가의 생몰 연대 문제
2. 원본 비평 문제
Ⅳ. 현대 소설 연구의 기대
Ⅱ. 90년대 현대소설 연구에 나타난 특징
1. 연도별 논문 수의 추이
2. 연구 대상 시기에 따른 특징
3. 연구 대상 작가에 따른 특징
4. 연구 주제에 따른 특징
Ⅲ. 실증적 연구에 대한 일견해
1. 작가의 생몰 연대 문제
2. 원본 비평 문제
Ⅳ. 현대 소설 연구의 기대
본문내용
김동리 소설 연구, 경북대
한희수, 한국 근·현대 소설에서의 죽음의 변화 양상 연구, 한남대
허명숙, 황순원 소설의 이미지 분석을 통한 동일성 연구, 숭실대
황효일, 황순원 소설 연구, 국민대
1998
강상희,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소설의 내면성 연구, 서울대
강운석, 한국 모더니즘 소설에 나타난 현대성 연구, 숭실대
김동석, 김동리 소설의 설화모티프 연구, 명지대
김성수, 이상 소설 연구, 연세대
김재국, 한국현대소설의 매체적 상상력 연구 : 사이버소설을 중심으로, 청주대
김재영, 임꺽정의 현실성 연구, 연세대
김종건, 『구인회』소설의 공간 설정 연구, 대구대
김종욱, 1930년대 한국 장편소설의 시간-공간 구조 연구, 서울대
김주현, 이상 소설의 글쓰기 양상 연구, 서울대
김효정, 1930연대 전향소설의 의식 변모 양상 연구 : 이기영·한설야·김남천을 중심으로, 효성가톨릭대
문영진, 한국 근대 소설의 신체성 중심의 읽기에 대한 연구, 서울대
문흥술,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소설에 나타난 언술 주체의 분열 양태 연구, 서울대
심영덕, 손창섭 소설의 심리학적 연구, 영남대
유숙자, 1945년 이후 재일한국인 소설에 나타난 민족적 정체성 연구, 고려대
이경호, 황순원 소설의 주체성 연구 : 전후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한양대
이상진, 박경리의 토지 연구 : 인물형상화를 중심으로, 한양대
임영천, 한국현대소설의 다성성과 기독교정신 연구, 서울시립대
장병호, 한국 현대소설의 소외 의식 연구, 한국교원대
장소진, 현대 소설의 플롯 유형 연구 : 지연과 탐색의 역학 관계를 중심으로, 서강대
장수익, 1920년대 초기 소설의 시점 연구, 서울대
전명희, 한국 근대 소년소설 연구, 영남대
조수웅, 한설야 현실주의 소설의 변모 양상 연구, 조선대
최선희, 한국 현대소설의 가족의식 연구, 효성가톨릭대
최영호, 한국 해양 소설 연구 : 현대 소설에 묘사된 바다를 중심으로, 고려대
최인자, 한국 현대소설 담논 생산 방법 연구 : 반담논과 문학교육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서울대
한상규, 1930년대 모더니즘 문학의 미적 자율성 연구, 서울대
1999
김혜정, 박경리 소설의 여성성 연구, 충북대
나은진, 1950년대 소설의 서사적 세 모형 연구 : 장용학, 손창섭, 김성한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양은창, 1950연대 단편소설의 구조 연구, 단국대
오종호, 개화기 소설의 대중화 과정 연구 , 효성가톨릭대
이미향, 일제 강점기 애정갈등형 대중소설 연구, 숙명여대
이영희, 김동리 소설의 사상적 배경 연구, 성신여대
이인숙, 최인훈 소설의 담론특성 연구 : 서술층위를 중심으로, 고려대
임진영, 황순원 소설의 변모양상 연구, 연세대
조구호, 일제강점기 이향소설 연구, 경상대
조성면, 한국 근대 탐정소설 연구 : 김내성을 중심으로, 인하대
조윤아, 박경리 토지의 생명사상적 변모에 관한 연구, 서울여대
최익현, 이효석의 미적 자의식에 관한 연구 : 식민체제에서의 글쓰기 비판, 중앙대
최재선, 한국 현대소설의 기독교 사상 연구 : 해방 전 작품을 중심으로, 숙명여대
최택균, 김동리 소설 연구 : 초월성과 현실성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최현주, 한국 현대 성장소설의 서사 시학 연구, 전남대
Trend and Prospests of Contemporary Novel Research in the 1990's
-With an emphasis on doctoral dissertations-
Roh, Sang-ra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and prospects in doctoral dissertations about contemporary novels in the 1990's.
Compared with prior periods, the frequency of dissertations increased at an explosive rate in the 1990's. The target period of the reserch has changed from before the Independence to after the Independence. Moreover, before the 1990's, most researchers emphasized the works of Kwang-soo Lee, Dong-in Kim, Man-shik Chae, Sang-sub Yeom, and Hyo-seuk Lee who wrote mainly before the Independence. But in the 1990's, they started to illuminate certain authors such as Kee-young Lee, Seul-ya Han, Tae-won Park, Tae-jun Lee, and Nam-cheun Kim, who went north-Korea and Dong-ri Kim and Soon-won Hwang who producted their works after the Independence. Recently, it is affirmed in certain areas, that the feminism movement is reflected in doctoral dissertations.
Developed in quality and quantity, they still have insufficient areas. In terms of the viewpoint of comparative literature, there is a need for the acquisition of specialization as well as a need for general analysis of Korean Literature. There are also need for ; discovering the inner workings of cyber novels, escaping from human centered thinking, thus creating a more human-God, human-natured approach.
한희수, 한국 근·현대 소설에서의 죽음의 변화 양상 연구, 한남대
허명숙, 황순원 소설의 이미지 분석을 통한 동일성 연구, 숭실대
황효일, 황순원 소설 연구, 국민대
1998
강상희,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소설의 내면성 연구, 서울대
강운석, 한국 모더니즘 소설에 나타난 현대성 연구, 숭실대
김동석, 김동리 소설의 설화모티프 연구, 명지대
김성수, 이상 소설 연구, 연세대
김재국, 한국현대소설의 매체적 상상력 연구 : 사이버소설을 중심으로, 청주대
김재영, 임꺽정의 현실성 연구, 연세대
김종건, 『구인회』소설의 공간 설정 연구, 대구대
김종욱, 1930년대 한국 장편소설의 시간-공간 구조 연구, 서울대
김주현, 이상 소설의 글쓰기 양상 연구, 서울대
김효정, 1930연대 전향소설의 의식 변모 양상 연구 : 이기영·한설야·김남천을 중심으로, 효성가톨릭대
문영진, 한국 근대 소설의 신체성 중심의 읽기에 대한 연구, 서울대
문흥술,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소설에 나타난 언술 주체의 분열 양태 연구, 서울대
심영덕, 손창섭 소설의 심리학적 연구, 영남대
유숙자, 1945년 이후 재일한국인 소설에 나타난 민족적 정체성 연구, 고려대
이경호, 황순원 소설의 주체성 연구 : 전후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한양대
이상진, 박경리의 토지 연구 : 인물형상화를 중심으로, 한양대
임영천, 한국현대소설의 다성성과 기독교정신 연구, 서울시립대
장병호, 한국 현대소설의 소외 의식 연구, 한국교원대
장소진, 현대 소설의 플롯 유형 연구 : 지연과 탐색의 역학 관계를 중심으로, 서강대
장수익, 1920년대 초기 소설의 시점 연구, 서울대
전명희, 한국 근대 소년소설 연구, 영남대
조수웅, 한설야 현실주의 소설의 변모 양상 연구, 조선대
최선희, 한국 현대소설의 가족의식 연구, 효성가톨릭대
최영호, 한국 해양 소설 연구 : 현대 소설에 묘사된 바다를 중심으로, 고려대
최인자, 한국 현대소설 담논 생산 방법 연구 : 반담논과 문학교육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서울대
한상규, 1930년대 모더니즘 문학의 미적 자율성 연구, 서울대
1999
김혜정, 박경리 소설의 여성성 연구, 충북대
나은진, 1950년대 소설의 서사적 세 모형 연구 : 장용학, 손창섭, 김성한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양은창, 1950연대 단편소설의 구조 연구, 단국대
오종호, 개화기 소설의 대중화 과정 연구 , 효성가톨릭대
이미향, 일제 강점기 애정갈등형 대중소설 연구, 숙명여대
이영희, 김동리 소설의 사상적 배경 연구, 성신여대
이인숙, 최인훈 소설의 담론특성 연구 : 서술층위를 중심으로, 고려대
임진영, 황순원 소설의 변모양상 연구, 연세대
조구호, 일제강점기 이향소설 연구, 경상대
조성면, 한국 근대 탐정소설 연구 : 김내성을 중심으로, 인하대
조윤아, 박경리 토지의 생명사상적 변모에 관한 연구, 서울여대
최익현, 이효석의 미적 자의식에 관한 연구 : 식민체제에서의 글쓰기 비판, 중앙대
최재선, 한국 현대소설의 기독교 사상 연구 : 해방 전 작품을 중심으로, 숙명여대
최택균, 김동리 소설 연구 : 초월성과 현실성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최현주, 한국 현대 성장소설의 서사 시학 연구, 전남대
Trend and Prospests of Contemporary Novel Research in the 1990's
-With an emphasis on doctoral dissertations-
Roh, Sang-ra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and prospects in doctoral dissertations about contemporary novels in the 1990's.
Compared with prior periods, the frequency of dissertations increased at an explosive rate in the 1990's. The target period of the reserch has changed from before the Independence to after the Independence. Moreover, before the 1990's, most researchers emphasized the works of Kwang-soo Lee, Dong-in Kim, Man-shik Chae, Sang-sub Yeom, and Hyo-seuk Lee who wrote mainly before the Independence. But in the 1990's, they started to illuminate certain authors such as Kee-young Lee, Seul-ya Han, Tae-won Park, Tae-jun Lee, and Nam-cheun Kim, who went north-Korea and Dong-ri Kim and Soon-won Hwang who producted their works after the Independence. Recently, it is affirmed in certain areas, that the feminism movement is reflected in doctoral dissertations.
Developed in quality and quantity, they still have insufficient areas. In terms of the viewpoint of comparative literature, there is a need for the acquisition of specialization as well as a need for general analysis of Korean Literature. There are also need for ; discovering the inner workings of cyber novels, escaping from human centered thinking, thus creating a more human-God, human-natured appro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