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주요 예측기관의 미국경제성장 전망 수정
2.연준 인사 및 정부 관료의 미국경기에 대한 견해 변화
3.미국 가계 및 기업의 부채지표 추이
4.과거 침체기 이후 경제성장률 및 재고의 성장기여도 추이
2.연준 인사 및 정부 관료의 미국경기에 대한 견해 변화
3.미국 가계 및 기업의 부채지표 추이
4.과거 침체기 이후 경제성장률 및 재고의 성장기여도 추이
본문내용
제외하고는 나머지 4차례는 2重沈滯를 경험
과거 침체기 이후 경제성장률 및 재고의 성장기여도 추이
주: 경제성장률(%)은 실선, 재고의 GDP성장기여도(%p)는 점선
ㅇ과거에는 在庫變動이 2중침체의 주된 요인이었으나 이번에는 最終需要 특히 消費支出이 가계의 부채과다, 주택담보대출금리 반등, 실업률 상승 등으로 다시 위축되어 2重沈滯가 나타날 것이라는 주장
ㅇ 이러한 2重沈滯論에 대해 Deutsche Bank, Morgan Stanley, BusinessWeek誌 등은 다음의 근거를 들어 반박
― 과거 4차례의 2重沈滯期중 공통적으로 나타난 높은 재고수준, 낮은 소비수요, 경기선행지수의 하락이 이번 침체기간에는 해당되지 않음
― 지난해 聯邦公開市場委員會(FOMC) 회의시마다 페드럴펀드목표금리를 인하해 온 聯準이 금년 1월 첫 회의에서 동 금리의 인하를 중단
― 지난해 대폭적인 金利引下 및 대규모 減稅와 油價下落의 효과가 크게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민간의 消費行爲가 자동차 외에 家電, 家具 등으로도 확산되고 테러사건 후 억제된 旅行支出이 다시 늘어나는 등 消費의 호전이 이어질 전망
ㅇ 한편 이처럼 美國景氣의 回復時期에 대한 不確實性이 아직 남아 있는 가운데서도 낙관론과 신중론의 어느 경우이든 回復速度가 완만할 것이라는 데는 의견이 일치
― 그간의 경기부진에도 불구하고 소비둔화가 두드러지지 않아 과거 경기회복기에 나타났던 潛在된 需要(pent-up demand)의 발현을 기대하기 어렵고
製造業稼動率이 70%대 초반의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어 당분간 設備投資의 부진이 지속될 것이라는 점 등이 걸림돌
과거 침체기 이후 경제성장률 및 재고의 성장기여도 추이
주: 경제성장률(%)은 실선, 재고의 GDP성장기여도(%p)는 점선
ㅇ과거에는 在庫變動이 2중침체의 주된 요인이었으나 이번에는 最終需要 특히 消費支出이 가계의 부채과다, 주택담보대출금리 반등, 실업률 상승 등으로 다시 위축되어 2重沈滯가 나타날 것이라는 주장
ㅇ 이러한 2重沈滯論에 대해 Deutsche Bank, Morgan Stanley, BusinessWeek誌 등은 다음의 근거를 들어 반박
― 과거 4차례의 2重沈滯期중 공통적으로 나타난 높은 재고수준, 낮은 소비수요, 경기선행지수의 하락이 이번 침체기간에는 해당되지 않음
― 지난해 聯邦公開市場委員會(FOMC) 회의시마다 페드럴펀드목표금리를 인하해 온 聯準이 금년 1월 첫 회의에서 동 금리의 인하를 중단
― 지난해 대폭적인 金利引下 및 대규모 減稅와 油價下落의 효과가 크게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민간의 消費行爲가 자동차 외에 家電, 家具 등으로도 확산되고 테러사건 후 억제된 旅行支出이 다시 늘어나는 등 消費의 호전이 이어질 전망
ㅇ 한편 이처럼 美國景氣의 回復時期에 대한 不確實性이 아직 남아 있는 가운데서도 낙관론과 신중론의 어느 경우이든 回復速度가 완만할 것이라는 데는 의견이 일치
― 그간의 경기부진에도 불구하고 소비둔화가 두드러지지 않아 과거 경기회복기에 나타났던 潛在된 需要(pent-up demand)의 발현을 기대하기 어렵고
製造業稼動率이 70%대 초반의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어 당분간 設備投資의 부진이 지속될 것이라는 점 등이 걸림돌
추천자료
미국의 경제 지배자들 요약
[경제협력]경제협력의 개념, 북중경제협력(북한과 중국의 경제협력), 미중경제협력(미국과 중...
엘살바도르의 노동관련법제, 엘살바도르의 노사관계, 엘살바도르의 미국기업 및 노조와 인권...
(영어레포트) Financial Concerns in America ( 미국의 경제 문제 )
향후 미국 경제의 전망에 대하여
[경영,경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경제의 빠른 회복세 분석
[1950년대][미일안전보장조약]1950년대의 미일안전보장조약, 1950년대의 미국정책, 1950년대...
제2차세계대전 이후의 탈식민지현상, 제2차세계대전 이후의 한국경제, 제2차세계대전 이후의 ...
[경제학 세미나]재정위기,미국 금융 위기 ,그리스의 유로존 퇴출,그리스의 재정위기와 신뢰도...
[사회복지개론] 경제발전에 따른 사회복지의 발전과정과 사회복지법 _미국의 사회복지 역사와...
문화산업 클러스터 (미국의 할리우드) 영화산업 클러스터의 정의와 가치, 영화산업 클러스터...
세계정치와경제(중상주의, 신중상주의, 자유주의, 사상흐름, 자유주의무역이론, WTO, 미국FTA...
빈곤한 노인의 여러가지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