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로마의 성립과 원로원의 등장
1-1. 로마의 성립
1-2. 원로원의 등장
2. 초기 로마에서의 원로원
3. 로마 공화정에서의 원로원
3-1. 공화정 초기 로마와 원로원의 변화
3-2 공화정 중기 제국으로의 발전과 원로원의 역할
3-3. 공화정 후기의 혼란과 원로원의 움직임
4. 로마 제정에서의 원로원
5. 원로원의 평가
1-1. 로마의 성립
1-2. 원로원의 등장
2. 초기 로마에서의 원로원
3. 로마 공화정에서의 원로원
3-1. 공화정 초기 로마와 원로원의 변화
3-2 공화정 중기 제국으로의 발전과 원로원의 역할
3-3. 공화정 후기의 혼란과 원로원의 움직임
4. 로마 제정에서의 원로원
5. 원로원의 평가
본문내용
은 사라져갔고, 따라서 출신 성분이 황제가 될 자격을 좌우하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황제들은 자기 가문을 신격화함으로써 권력을 정당화하려 했는데, 이는 곧 절대군주정에 이르는 길이었다. 황제들은 처음에는 원로원을 통해 법을 정했으나 2세기에는 원로원과 민회의 손을 빌리지 않고 직접 법을 제정했으며 점차 입법권을 독점해갔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본질이 아니라 정도의 문제였을 뿐이다. 한편 공화정의 제도는 쇠퇴했고 제국관리의 중요성은 더 커진 반면 도시의 행정관이 지닌 권위는 쇠락했다. 원로원의 지위가 낮아지는 동시에 더 많은 숙주 출신이 원로원에 들어오게 되었으며, 관료층을 이룬 에퀴테스는 점점 더 둥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리고 디오클레티아누스제의 도미나투스 성립 뒤에 원로원은 명예적인 칭호로 변하였다. 이렇듯 약해진 듯이 보이는 원로원이었지만 원로원은 국법상 최고 기구로써 뿐만 아니라 황제의 정책결정에 대한 자문을 통하여 그리고 정무관을 배출하는 인적 자원의 저수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실질적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합리적인 방식으로 분명한 목적과 과제들을 추구한 하나의 통합체였으며 제국의 통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것은 극도의 혼란했던 AD 68년~69년의 내란기 동안 주요인물들이 모두 국법상 최고기구인 "원로원과 로마인민"에 대한 충성을 자신의 대의로 내걸었으며 최종승자인 베스파시아누스가 원로원으로부터 황제권을 수여 받았다는 사실은 이를 입증해준다 하겠다.
결론 - 원로원의 평가
로마시대와 함께 시작한 원로원은 왕의 충실한 조언자로, 때로는 야심에 찬 권력가로, 때로는 뛰어난 행정 실무자로서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시대와 상황, 권력자들의 정책에 따라 그들의 위상이나 위치에는 변화가 많았다. 그러한 와중에서 원로원은 공화정때 민회, 정무관 등과 함께 로마를 지탱하는 3개의 기둥으로 우뚝 서면서 그후 국정운영의 실질적인 중심기관으로 최상급 신분으로서 존재하였다. 비록 그들이 자신의 안위와 이익을 위해 특권 계층으로써 배타적이고 이기적인 태도를 가지기도 했지만 로마의 발전에 많은 공헌을 했음을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리고 원로원이 단순히 이름만으로 존재만 한 것이 아니란 것을 여실히 깨달았을 것이다. 하지만 그들에게 아쉬운 점이 있다면 역사를 움직이는 주체적 구실을 하지 못하고 역사의 흐름에 이끌려 다니는 모습으로 축소되는 권한 속에 로마의 멸망과 함께 사라져 간 것이 아쉬울 따름이다.
결론 - 원로원의 평가
로마시대와 함께 시작한 원로원은 왕의 충실한 조언자로, 때로는 야심에 찬 권력가로, 때로는 뛰어난 행정 실무자로서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시대와 상황, 권력자들의 정책에 따라 그들의 위상이나 위치에는 변화가 많았다. 그러한 와중에서 원로원은 공화정때 민회, 정무관 등과 함께 로마를 지탱하는 3개의 기둥으로 우뚝 서면서 그후 국정운영의 실질적인 중심기관으로 최상급 신분으로서 존재하였다. 비록 그들이 자신의 안위와 이익을 위해 특권 계층으로써 배타적이고 이기적인 태도를 가지기도 했지만 로마의 발전에 많은 공헌을 했음을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리고 원로원이 단순히 이름만으로 존재만 한 것이 아니란 것을 여실히 깨달았을 것이다. 하지만 그들에게 아쉬운 점이 있다면 역사를 움직이는 주체적 구실을 하지 못하고 역사의 흐름에 이끌려 다니는 모습으로 축소되는 권한 속에 로마의 멸망과 함께 사라져 간 것이 아쉬울 따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