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자리의 시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별자리의 시초

2.가을철의 별자리

3.별자리 신화

4.가을철의 별 자리2

본문내용

하루의 반을 의자에 앝은 채 하늘에 거꾸로 매달려 있는 벌을 받고 있다.
-찾는법
독특한 W자 모양으로 북두칠성과 함께 우리들에게 가장 잘 알려진 별자리이다. 북극성을 중심으로 북두칠성의 반대편에 있으며, 밝은 별로 이루어져 있어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이 별자리에서는 은하수가 중심을 지나기 때문에 쌍안경으로 멋진 별세계를 관측할 수 있다.
*조랑말*
전령의 신 헤르메스가 쌍둥이자리의 카스토르에게 준 켈레리스라는 명마이거나 헤라 여신이 폴록스에게 준 킬라루스라는 명마이다. 일설에는 바다의 신 포세이돈이 아테나 여신과 우위를 다투기 위해 싸웠을 때 삼지창으로 바위를 때려 튀어나오게 한 말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모양으로는 도저히 말을 상상할 수 있는 별자리가 아니다.
-찾는법
조랑말자리는 남십자자리 다음으로 온 하늘에서 두번째로 작은 별자리이며, 우리나레어서 볼 수 있는 별자리 중에서는 가장 작은 별자리이다. 독수리자리의 견우와 페가수스자리의 엡실론 별을 이은 선에서 엡실론별 쪽으로 3/4쯤 되는 곳에서 윗부분이 걸려있는 찌그러진 사다리꼴 모양을 찾으면 된다.
*물고기*
유프라테스 강변을 거닐던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와 그의 아들 에로스가 티폰의 공격을 받고 물 속으로 도망치면서 변신한 모습으로 아테나여신이 이들의 탈출을 기념하기 위해 그 모습을 별자리로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물고기자리는 황도12궁의 마지막 별자리로 태양은 해마다 3월 중순에서 4월 하순까지 이 별자리를 지난다. 따라서 춘분에 태양이 머무는 곳이 바로 이곳이다.
-찾는법
가을철의 대표적인 길잡이 별인 페가수스자리의 남쪽과 동쪽으로 두 마리의 물고기가 끈오로 묶여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먼저 페가수스사각형의 남쪽에서 오각형으로 된 물고기를 찾고 성도를 참고하면서 나머지 별들을 연결해 보자. 그러나 특별히 밝은 별이 없어서 큰별자리인데도 초보자가 바로 찾기는 힘들다.
*물병*
아름다운 미소년 가니메데가 물병에서 물을 따르고 있는 모습의 별자리이다. 가니메데는 크로이의 왕자였으나 신에게 술을 나르던 청춘의 여신 헤베가 발목을 다친후 그녀의 역할을 대신하기 위해 독수리에게 납치당해 올림푸스 산에서 살게 되었다고 한다. 물병자리라고 부르고 있으나 정확한 이름은 '물을 나르는 사람'이다. 물병자리는 황도 위의 11번째 별자리로 태양은 해마다 2월 중순에서 3월 중순사이에 이 별자리를 지나간다.
-찾는법
가을철의 대표적 길잡이인 페가수스자리의 바로 남쪽에 있는 커다란 별자리이나 뚜렷한 특징이 없다. 이 별자리를 찾는 가장 빠른 방법은 페가수스의 머리 아래에서 Y자 형태로 된 4등성의 물병을 찾는 것이다. 물병 서쪽으로 보이는 두개의 3등성은 가니메데의 어깨에 해당한다. 그러나 별들이 놓인 모양만으로는 물병 외에 사람의 모습을 상상하기는 무척 힘들다.
*고래*
그리스 신화 속에서 이디오피아의 왕비 카시오페이아(Cassiopeia, 카시오페이아자리)를 벌하기 위해 바다의 신 포세이돈이 보낸 괴물고래이다. 공주 안드로메다(Andromeda, 한드로메다자리)를 해치기 직전 페르세우스(Perseus,페르세우스자리)가 돌로 변하게 한다.
-찾는법
천구의 적도에 있는 커다란 별자리로 가을철 '페가수스 사각형'이 머리위에 보일 무렵 그 남동쪽 하늘에서 볼 수 있다. 동서로 50°(보름달 지름의 100배)에 걸쳐 있는 커다란 별자리이지만 밝은 별도 별로 없고 이렇다 할 특징도 없어서 모양을 그리기가 쉽지 않다. 페가수스 사각형의 동쪽 변을 남쪽으로 이으면 지평선 위에서 고래의 꼬리에 해당하는 2등급의 베타별(Ceti, Deneb Kaitos 고래의 꼬리)을 찾을 수 있다. 한편 고래의 머리 부분은 양자리의 남쪽에서 찾을 수 있는데 3등급인 알파별(Ceti, Menkar 코)을 포함해서 5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남쪽물고기*
아프로디테여신이 괴물 티폰의 습격을피하기 위하여 변신한 모습이라고 전해진다. 티폰은 100개의 뱀머리를 가진 괴물로 오늘날 태풍이라는 말이 그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을 정도로 무서운 존재였다. 그래서 올림포스 산의 신들은 그가 공격 해 올때마다 그의 눈을 피하기 위해 동물로 변신하여 도망치곤 했다.
-찾는법
가을철 남쪽 하늘에 보이는 별자리로 으뜸별 포말하우트를 빼고는 특별히 눈에 띄는 별이 없다. 포말하우트느 가을철 남쪽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페가수스자리가 높이 떠 있을 때 그 남쪽지평선 위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포말하우트가 이 별자리의 동쪽 끝부분이라는 것을 생각하고 다른별을 찾기 바란다.

키워드

별자리,   가을철,   신화,   점성가,   천체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2.07.26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92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