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정보의 역사
2.정보혁명의 전개: 커뮤니케이션의 진화
<참고 문헌>
2.정보혁명의 전개: 커뮤니케이션의 진화
<참고 문헌>
본문내용
-----------------+
위에서 제시한 그림은 개별 인간들이 맺어가는 연결의 고리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연결망을 확장해 나아가게 되는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연결망은 궁극적으로 연결망 내부의 정보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연결되며, 연결망의 확장은 정보와 커뮤니케이션의 확장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정보와 커뮤니케이션의 연결망이 한 사회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그리고 이 속에서 흐르는 정보의 내용은 어떠한 성격의 것인지에 따라 한 사회의 정보문화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한국사회에서 혈연과 지연, 학연이 중요하다고 할 때 우리는 혈연과 지연, 학연을 통해 흐르는 정보가 인간들의 일상 생활 뿐 아니라 권력 관계, 그리고 자원의 흐름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여기에서 한 사회의 발전 정도를 판가름하는, 혹은 정보문화의 전개 정도를 판가름하는 지표를 추출할 수 있다. 이 지표는 정보적 네트웍의 확장과 개방성의 정도일 것이다. 정보적 네트웍이 확장되고 개방된다는 것은 그만큼 사회의 정보원들이 정보적 연결망을 만드는 데 성공적이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렇지 못하다는 것은 정보적 연결망의 확장에 실패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보적 연결망의 형태와 내용에 따라 한 사회가 어떠한 특성을 갖는지에 대해서는 더 깊은 성찰과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참고 문헌>
Rubenn, Brent (정근원 역). 1994. 『인간의 행동과 커뮤니케이션』, 민문사.
마쓰오카 세이코 (김승일, 박관선 옮김). 1998. 『정보의 역사를 읽는다』, 넥서스.
위에서 제시한 그림은 개별 인간들이 맺어가는 연결의 고리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연결망을 확장해 나아가게 되는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연결망은 궁극적으로 연결망 내부의 정보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연결되며, 연결망의 확장은 정보와 커뮤니케이션의 확장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정보와 커뮤니케이션의 연결망이 한 사회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그리고 이 속에서 흐르는 정보의 내용은 어떠한 성격의 것인지에 따라 한 사회의 정보문화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한국사회에서 혈연과 지연, 학연이 중요하다고 할 때 우리는 혈연과 지연, 학연을 통해 흐르는 정보가 인간들의 일상 생활 뿐 아니라 권력 관계, 그리고 자원의 흐름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여기에서 한 사회의 발전 정도를 판가름하는, 혹은 정보문화의 전개 정도를 판가름하는 지표를 추출할 수 있다. 이 지표는 정보적 네트웍의 확장과 개방성의 정도일 것이다. 정보적 네트웍이 확장되고 개방된다는 것은 그만큼 사회의 정보원들이 정보적 연결망을 만드는 데 성공적이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렇지 못하다는 것은 정보적 연결망의 확장에 실패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보적 연결망의 형태와 내용에 따라 한 사회가 어떠한 특성을 갖는지에 대해서는 더 깊은 성찰과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참고 문헌>
Rubenn, Brent (정근원 역). 1994. 『인간의 행동과 커뮤니케이션』, 민문사.
마쓰오카 세이코 (김승일, 박관선 옮김). 1998. 『정보의 역사를 읽는다』, 넥서스.
키워드
추천자료
정보 사회와 정보 불평등
정보화사회와 사이버문화의 특징과 양면성
정보 문명론 - 마뉴엘 카스텔을 중심으로
[정보전]공군 정보작전의 문제점 및 발전방향
정보사회와 행정의 대응과제
[알권리][초상권침해][정보공개법][미디어][은사권]알권리의 개념과 알권리의 발전, 알권리와...
지식정보화사회의 도래에 따른 우리나라의 행정
[정보화세계화] 정보화가 물리적 비물리적 세계화의 진행과정에 어떤 식으로 기여 하였는지에...
[BIT, BT 생명공학기술 IT 정보통신기술 융합]BIT(BT 생명공학기술 IT 정보통신기술 융합)의 ...
[일본정부, 네트워크, 국가적 정보기반비전, 행정개혁]일본정부의 네트워크, 일본정부의 국가...
[도서관 지식경영][지식정보자원관리]도서관 지식경영의 개념, 도서관 지식경영의 성격, 도서...
[국가정보론] 중국의 정보기구 - 국가안전부 (Ministry of State Security)
대한민국의 정보기관 [국가정보 운용체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