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생명에 깃든 정보
2. 정보처리 기관, 생체컴퓨터로서의 생명
3. 정보 획득, 공유, 처리 기제의 진화
2. 정보처리 기관, 생체컴퓨터로서의 생명
3. 정보 획득, 공유, 처리 기제의 진화
본문내용
하면서 진화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정보 획득, 공유, 처리 기제의 진화
우선 지구상의 생명체들은 정보를 획득하고 공유하는 극히 다양한 방식들을 갖고 있다. 이들의 정보획득 방식들은 그 나름대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노력의 과정에서 얻어진 생존의 수단과 방식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 1: 박쥐, 돌고래 등...
예 2: 개미, 벌...
생물들의 정보 전달 방식은 매우 다양하다. 얼굴의 표정, 몸짓, 소리, 화학 물질 등이 정보 전달의 수단이다. 그런데, 이러한 수단들의 대부분은 비언어적이라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즉 동물들은 아직 상징과 언어를 교묘하게 조작하는 능력을 발전시키지는 못하였는데, 이 점에서 동물이나 곤충의 정보 전달 방식과 인간의 그것은 차이가 있다.
생명체들은 정보의 획득 뿐 아니라 획득된 정보를 처리하고 공유하는 다양한 방식들을 발전시켰다. 생명체의 정보처리 방식이 어떻게 진화해 왔는가는 중추신경계의 진화를 통해 어느 정도 그 발자취를 엿볼 수 있다. 원시적 신경계로부터 뇌의 진화는 생명의 정보전달 방식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잘 보여준다.
생명과 정보 진화의 세 단계
여기에서 우리는 생명과 정보 진화를 크게 세 단계로 구분해 볼 수 있다. 그 첫 번째 단계는 유전자를 통한 정보 진화의 단계(genetic stage)이며, 두 번째는 신경계(somatic stage)를 통한 정보 진화의 단계이고, 세 번째는 문화(culture)를 통한 정보 진화의 단계이다.
- 유전적 정보 진화
- 신경계를 통한 정보 진화
- 문화를 통한 정보 진화
뇌의 진화가 일정한 수준에 달하면서 인간의 두뇌는 언어와 상징이라는 새로운 정보 전달의 기제를 출현시킨다. 언어와 상징은 지금까지 신경계와 유전자에 의존하던 정보의 처리, 축적, 변화, 통제 등이 갖고 있는 기능들의 상당한 부분을 인간의 신체 외부로 전환시키는 것을 가능케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문화와 유기체를 직접적으로 매개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뇌의 역할이 존재한다. 인간의 뇌는 문화라는 새로운 진화의 양식을 출현시킨 생물학적 진화의 가장 위대한 혁신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참고 문헌:
마쓰오카 세이코(1998)
Capra, Fritjof. 1996. The Web of Life, New York: Anchor Books.
Sagan, Carl. 1977. The Dragon of Eden. New York: Ballantine Books.
정보 획득, 공유, 처리 기제의 진화
우선 지구상의 생명체들은 정보를 획득하고 공유하는 극히 다양한 방식들을 갖고 있다. 이들의 정보획득 방식들은 그 나름대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노력의 과정에서 얻어진 생존의 수단과 방식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 1: 박쥐, 돌고래 등...
예 2: 개미, 벌...
생물들의 정보 전달 방식은 매우 다양하다. 얼굴의 표정, 몸짓, 소리, 화학 물질 등이 정보 전달의 수단이다. 그런데, 이러한 수단들의 대부분은 비언어적이라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즉 동물들은 아직 상징과 언어를 교묘하게 조작하는 능력을 발전시키지는 못하였는데, 이 점에서 동물이나 곤충의 정보 전달 방식과 인간의 그것은 차이가 있다.
생명체들은 정보의 획득 뿐 아니라 획득된 정보를 처리하고 공유하는 다양한 방식들을 발전시켰다. 생명체의 정보처리 방식이 어떻게 진화해 왔는가는 중추신경계의 진화를 통해 어느 정도 그 발자취를 엿볼 수 있다. 원시적 신경계로부터 뇌의 진화는 생명의 정보전달 방식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잘 보여준다.
생명과 정보 진화의 세 단계
여기에서 우리는 생명과 정보 진화를 크게 세 단계로 구분해 볼 수 있다. 그 첫 번째 단계는 유전자를 통한 정보 진화의 단계(genetic stage)이며, 두 번째는 신경계(somatic stage)를 통한 정보 진화의 단계이고, 세 번째는 문화(culture)를 통한 정보 진화의 단계이다.
- 유전적 정보 진화
- 신경계를 통한 정보 진화
- 문화를 통한 정보 진화
뇌의 진화가 일정한 수준에 달하면서 인간의 두뇌는 언어와 상징이라는 새로운 정보 전달의 기제를 출현시킨다. 언어와 상징은 지금까지 신경계와 유전자에 의존하던 정보의 처리, 축적, 변화, 통제 등이 갖고 있는 기능들의 상당한 부분을 인간의 신체 외부로 전환시키는 것을 가능케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문화와 유기체를 직접적으로 매개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뇌의 역할이 존재한다. 인간의 뇌는 문화라는 새로운 진화의 양식을 출현시킨 생물학적 진화의 가장 위대한 혁신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참고 문헌:
마쓰오카 세이코(1998)
Capra, Fritjof. 1996. The Web of Life, New York: Anchor Books.
Sagan, Carl. 1977. The Dragon of Eden. New York: Ballantine Books.
추천자료
[컴퓨터바이러스][악성코드]컴퓨터바이러스의 개념, 컴퓨터바이러스의 발전 단계, 컴퓨터바이...
[컴퓨터교육][학교컴퓨터교육][컴퓨터교과][컴퓨터과]컴퓨터교육의 개념, 컴퓨터교육의 목표...
[컴퓨터교육][컴퓨터교육 제고 방안]컴퓨터교육의 의의, 컴퓨터교육의 목적, 컴퓨터교육의 필...
컴퓨터과(컴퓨터수업, 컴퓨터교육)의 성격과 목표, 컴퓨터과(컴퓨터수업, 컴퓨터교육)의 실태...
[컴퓨터교육][컴퓨터교육 교사역할][컴퓨터교육 개선방안]컴퓨터교육의 의미, 컴퓨터교육의 ...
컴퓨터보조학습(CAI, 컴퓨터보조수업)의 기원, 컴퓨터보조학습(CAI, 컴퓨터보조수업)의 현황...
컴퓨터보조학습(CAI, 컴퓨터보조수업)의 개념과 종류, 컴퓨터보조학습(CAI, 컴퓨터보조수업)...
[컴퓨터교육][컴퓨터교육 뉴질랜드 사례][컴퓨터교육 개선방안]컴퓨터교육의 정의, 컴퓨터교...
[컴퓨터활용교육]컴퓨터활용 영어교육(영어과교육), 컴퓨터활용 수학교육(수학과교육), 컴퓨...
[컴퓨터교육][컴퓨터교육의 교사역할][컴퓨터교육의 제고방안]컴퓨터교육의 의의, 컴퓨터교육...
[컴퓨터프로그램]컴퓨터프로그램저작권의 제한, 컴퓨터프로그램저작권의 증권화, 컴퓨터프로...
[컴퓨터상식, 메인보드, 소프트웨어, 파일확장자, 바이러스]메인보드관련 컴퓨터상식, 소프트...
[컴퓨터바이러스]컴퓨터바이러스의 개념, 종류, 컴퓨터바이러스의 약력, 증상, 컴퓨터바이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