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정보기술 혁명
II. 정보와 정보혁명
III. 정보기술의 발전
IV. 정보기술과 사회구조 변화
VI. 정보사회의 발전과 의사소통
II. 정보와 정보혁명
III. 정보기술의 발전
IV. 정보기술과 사회구조 변화
VI. 정보사회의 발전과 의사소통
본문내용
우 중요하다. 정보화사회의 현실에 대한 냉엄한 성찰을 바탕으로 왜곡된 정보화가 미치는 실제의 영향에 대해 균형 잡힌 입장을 가질 수 있을 때, 정보사회에 대한 막연한 예찬이나 환상, 혹은 현실에 대한 합리화 이데올로기에 의한 오염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권력과 시장의 논리에 의한 의사소통의 왜곡과 식민화를 비판하고 정보의 고유한 개방성, 소통성, 그리고 비판성에 근거하여 민주적 사회관계를 지향하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게이츠, 빌(1995), <<미래로 가는 길>> 도서출판 삼성.
길더, 조지(1991), <<마이크로코즘>> 한국경제신문사.
김환석/홍성범/이영희(1992) <<세계경제의 장기파동과 신기술의 국제확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벨, 다니엘(1984) <<정보화 사회의 사회적 구조>> 한울.
세이코, 마쓰오카(1998) <<정보의 역사를 읽는다>> 넥서스.
백욱인(1995) "인터네트와 정보고속도로: 사회적 측면을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가을호.
아서, 브라이언 외(1997) <<복잡계 경제학 I>> 평범사.
아탈리, 자크(1990) <<21세기의 승자>> 다섯수레.
윤영민(1996) <<전자정보공간론: 컴퓨터 네트워크의 사회학적 탐색>> 전예원.
전석호. 1993. 『정보사회론』, 서울: 나남.
토플러, 엘빈(1989) <<제3의 물결>> 한국경제신문사.
____________(1990) <<권력 이동>> 한국경제신문사.
포리스터, 톰(1992) <<이것이 하이테크 혁명이다>> 동아일보사.
하비, 데이비드 하비(1994) <<포스트 모더니티의 조건>> 한울.
Beniger, James R.(1986) The Control Revolution: Technological and Economic
Origins of the Information Society. Cambridge MA. Harvard Univ. Press.
Capron, H. L.(1996) Computers: Tools for an Information Age. New York: Benjamin/Cummings.
Castells, Manuel(1996)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London: Blackwell.
Kidwell P. A. and Paul E. Ceruzzi(1994) Landmarks in Digital Computing. Washington: Smithsonial Institute Press.
Leiner, B. M.(1998) "A Brief History of the Internet and Related Networks", http://www.simmons.edu/ ~pomerant/techcomp/cerf.html.
Lyon, David(1994) The Electronic Eye: The Rise of Surveillance Society. Minneapolis: Univ. of Minnesota Press.
Reich, R.(1991) The Work of Nations. New York: Random House.
Rifkin, J.(1995) The End of Work. New York: Putnam.
U.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1995) Global Competitiveness of the U.S. Computer Software and Service Industries.
생각해볼 문제:
1. 산업혁명으로 인해 전통사회의 귀족이나 농민들은 서서히 역사의 무대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그렇다면 정보사회에서 서서히 자취를 감추거나 몰락하는 사회적 세력은 어떤 사람들이며, 그 이면에 새로 등장하는 사회의 주도세력은 어떤 사람들인가? 예를 들어 설명해 보자.
2. 정보를 불확실성의 감소 정도로 이해할 때 불확실성의 감소로부터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이익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생각해 보자.
3. 정보사회가 발전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사회적 환경은 어떠한 것인가? 미국의 실리콘 벨리나, 헐리우드 등이 어째서 정보화의 심장부라 불리우는가? 그 이유를 생각해 보자.
추천 도서:
세이코, 마쓰오카(1998) <<정보의 역사를 읽는다>> 넥서스.
아탈리, 자크(1990) <<21세기의 승자>> 다섯수레.
윤영민(1996) <<전자정보공간론: 컴퓨터 네트워크의 사회학적 탐색>> 전예원.
토플러, 엘빈(1989) <<제3의 물결>> 한국경제신문사.
기본 개념:
정보: 정보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사람들마다 다양한 견해가 가능하다. 이에 대한 가장 그럴듯한 정의의 하나는 이것을 불확실성의 감소 정도로 파악하는 것이다. 우리가 사물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는 가장 큰 이유는 그 상황과 대상이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정보는 우리에게 상황이나 대상에 대한 불확실성을 감소시켜 줌으로써 불안감을 감소시켜 준다. 우리가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면 이로부터 엄청난 이득을 누릴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정보기술혁명: 정보기술혁명은 곧 대량의 정보를 적은 비용으로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인간의 기술적 능력의 획기적 신장을 의미한다. 이 혁명은 인간이 지닌 누뇌의 능력, 지적 능력을 정보기술을 통해 획기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인간의 지적 능력의 무한적한 확장을 가능케 하였다.
상징분석 서비스: 상징분석 서비스란 문제의 인식, 문제의 해결, 전략적 중개 등을 전세계적 규모에서 담당하고, 이들의 서비스를 판매하거나 거래하는 직업 영역을 지칭한다. 이러한 서비스 종사자들은 제조된 물건의 판매 보다는 자료, 단어, 언어 표현이나 시각적 표현 같은 상징조작과 정보를 통해 거래를 수행한다. 과학자, 외환투자가, 법률가, 전략 수립가, 시스템 분석가, 디자이너, 영상제작자, 대학교수 등이 이러한 서비스 직업에 포함된다.
소통성: 정보 소통의 기본 원리는 이를 필요로하는 사람들 사이에 끊임없이 주고 받는 교환 관계에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발달한 정보사회는 정보의 소통성이 높은 사회라 정의할 수 있다. 정보의 소통성이 증대할수록 그 사회 전체의 정보처리 능력이 증대하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게이츠, 빌(1995), <<미래로 가는 길>> 도서출판 삼성.
길더, 조지(1991), <<마이크로코즘>> 한국경제신문사.
김환석/홍성범/이영희(1992) <<세계경제의 장기파동과 신기술의 국제확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벨, 다니엘(1984) <<정보화 사회의 사회적 구조>> 한울.
세이코, 마쓰오카(1998) <<정보의 역사를 읽는다>> 넥서스.
백욱인(1995) "인터네트와 정보고속도로: 사회적 측면을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가을호.
아서, 브라이언 외(1997) <<복잡계 경제학 I>> 평범사.
아탈리, 자크(1990) <<21세기의 승자>> 다섯수레.
윤영민(1996) <<전자정보공간론: 컴퓨터 네트워크의 사회학적 탐색>> 전예원.
전석호. 1993. 『정보사회론』, 서울: 나남.
토플러, 엘빈(1989) <<제3의 물결>> 한국경제신문사.
____________(1990) <<권력 이동>> 한국경제신문사.
포리스터, 톰(1992) <<이것이 하이테크 혁명이다>> 동아일보사.
하비, 데이비드 하비(1994) <<포스트 모더니티의 조건>> 한울.
Beniger, James R.(1986) The Control Revolution: Technological and Economic
Origins of the Information Society. Cambridge MA. Harvard Univ. Press.
Capron, H. L.(1996) Computers: Tools for an Information Age. New York: Benjamin/Cummings.
Castells, Manuel(1996)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London: Blackwell.
Kidwell P. A. and Paul E. Ceruzzi(1994) Landmarks in Digital Computing. Washington: Smithsonial Institute Press.
Leiner, B. M.(1998) "A Brief History of the Internet and Related Networks", http://www.simmons.edu/ ~pomerant/techcomp/cerf.html.
Lyon, David(1994) The Electronic Eye: The Rise of Surveillance Society. Minneapolis: Univ. of Minnesota Press.
Reich, R.(1991) The Work of Nations. New York: Random House.
Rifkin, J.(1995) The End of Work. New York: Putnam.
U.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1995) Global Competitiveness of the U.S. Computer Software and Service Industries.
생각해볼 문제:
1. 산업혁명으로 인해 전통사회의 귀족이나 농민들은 서서히 역사의 무대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그렇다면 정보사회에서 서서히 자취를 감추거나 몰락하는 사회적 세력은 어떤 사람들이며, 그 이면에 새로 등장하는 사회의 주도세력은 어떤 사람들인가? 예를 들어 설명해 보자.
2. 정보를 불확실성의 감소 정도로 이해할 때 불확실성의 감소로부터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이익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생각해 보자.
3. 정보사회가 발전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사회적 환경은 어떠한 것인가? 미국의 실리콘 벨리나, 헐리우드 등이 어째서 정보화의 심장부라 불리우는가? 그 이유를 생각해 보자.
추천 도서:
세이코, 마쓰오카(1998) <<정보의 역사를 읽는다>> 넥서스.
아탈리, 자크(1990) <<21세기의 승자>> 다섯수레.
윤영민(1996) <<전자정보공간론: 컴퓨터 네트워크의 사회학적 탐색>> 전예원.
토플러, 엘빈(1989) <<제3의 물결>> 한국경제신문사.
기본 개념:
정보: 정보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사람들마다 다양한 견해가 가능하다. 이에 대한 가장 그럴듯한 정의의 하나는 이것을 불확실성의 감소 정도로 파악하는 것이다. 우리가 사물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는 가장 큰 이유는 그 상황과 대상이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정보는 우리에게 상황이나 대상에 대한 불확실성을 감소시켜 줌으로써 불안감을 감소시켜 준다. 우리가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면 이로부터 엄청난 이득을 누릴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정보기술혁명: 정보기술혁명은 곧 대량의 정보를 적은 비용으로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인간의 기술적 능력의 획기적 신장을 의미한다. 이 혁명은 인간이 지닌 누뇌의 능력, 지적 능력을 정보기술을 통해 획기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인간의 지적 능력의 무한적한 확장을 가능케 하였다.
상징분석 서비스: 상징분석 서비스란 문제의 인식, 문제의 해결, 전략적 중개 등을 전세계적 규모에서 담당하고, 이들의 서비스를 판매하거나 거래하는 직업 영역을 지칭한다. 이러한 서비스 종사자들은 제조된 물건의 판매 보다는 자료, 단어, 언어 표현이나 시각적 표현 같은 상징조작과 정보를 통해 거래를 수행한다. 과학자, 외환투자가, 법률가, 전략 수립가, 시스템 분석가, 디자이너, 영상제작자, 대학교수 등이 이러한 서비스 직업에 포함된다.
소통성: 정보 소통의 기본 원리는 이를 필요로하는 사람들 사이에 끊임없이 주고 받는 교환 관계에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발달한 정보사회는 정보의 소통성이 높은 사회라 정의할 수 있다. 정보의 소통성이 증대할수록 그 사회 전체의 정보처리 능력이 증대하는 것을 의미한다.
추천자료
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혁명, 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발전, 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영향과...
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전문인력 범위, 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전문인력 현황, IT산업(정보...
[IT산업][정보기술산업]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특성, 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전문인력, IT...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ICT)의 의미, 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ICT)의 종류, 정보통...
국어과의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영어과의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수학과의 ICT(정...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의 정의와 특징,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의 필요성과 기반조성,...
미국의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 네덜란드의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 캐나다와 핀란드...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의 정의와 도입배경,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의 현황과 지침, I...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개념과 형태,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목표와 기본방향, I...
네덜란드와 뉴질랜드의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정책, 캐나다와 미국의 정보통신기술(ICT)...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개념, 유형, 필요성,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과 교수활동, I...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수업설계의 이론적 기초, 중요성, 요소와 ICT(정보통신기술)활용...
국어과와 수학과의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 사회과와 과학과의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
미국IT(정보기술)와 국세청(IRS), 미국IT(정보기술)와 IT아웃소싱(정보기술아웃소싱), 미국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