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학교육 연구의 스펙트럼
2. 이론성과 실제성의 동태적 층위
3. 맺음-다시 문제의 제기
참고문헌
2. 이론성과 실제성의 동태적 층위
3. 맺음-다시 문제의 제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실의 검증은 중간 항목인 모형과 전략의 국면을 충분히 확인함으로써 성립될 수 있는 것이다.
3. 맺음-다시 문제의 제기
문학교육연구에서 이론과 실제의 스펙트럼을 연속체적 구조로 보면서, 연구의 중간 결절 국면인 모형과 전략의 차원을 개입시켜, 응용 학문으로서의 문학교육연구가 지니는 이론/실제의 상관 층위를 제시해 보았다. 그 결과로 이론성 연구와 실제 성 연구가 상대적 관계에 놓임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그것의 이성적 체계는 상위 차원이 하위 차원을 다면적으로 분화시켜 나갈 수 있는 것이 된다는(되어야 한다는) 것도 지적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문학교육연구에서 이론 연구의 정체는 사실 여타 분야의 기존 이론을 문학교육의 입지에서 재개념화하는 '이론화'의 작업에 다름 아닐 수 있다는 점도 발견하였다.
이러한 발견점과 관련하여 우리 문학교육연구가 새롭게 과제화해야 할 문제를 간략히 제기하는 것으로 결언을 삼는다.
첫째, 문학교육 이론화의 전략을 좀더 적극적이고 다양하게 개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 부분을 미루어 두면 문학교육연구는 인문학으로서의 연구 방법이나 이론에 환원될 수방에 없는 위험을 여전히 안고 있게 된다. 문학 내의 이론을 문학교육 이론으로 이론화, 즉 재개념화하는 데는 발상의 새로움이 방법의 정치함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 경우에 해당하는 좋은 본보기로서 김대행의 '古典表現論을 위하여'(先淸語文 제20집, 1992.9)를 들고자 한다. 고전 표현의 실체를 표현 주체들의 인식론적 지향과 관련하여 세밀하게 검증해 내면서 문화교육의 지평 하나를 제시한다. 고전표현론이 문학교육의 이론화 장면에 동원되면서 커리큐럼적 세력을 얻을 수 있는 자리에까지 나아갈 수 있다면 그것은 실제로 좋은 성공 사례가 될 것이다.
문학 바깥 영역의 이론들을 문학교육 이론으로 재개념화하는 데는 발상의 새로움보다는 모형이나 전략의 정치함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교육학의 이론을 문학교육의 이론으로 재개념화하는 데 있어서는 문학교육 현상의 실제적 변인들에 현실감 있게 조회해 보는 것이 우선적으로 요청된다.
한때 풍미한 수업 모형 이론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문학교육현상에 대입된 연후에 수업 모형 이론이 문학 수업에 적용되어야 했었다.
둘째, 문학교육 실제에 관한 연구 기술이 세련되어 있지 아니하다는 점이다. 문학교육 연구 공동체의 형성이 일천한 탓으로 그간 이론화 작업에 치중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으나, 이는 앞으로 문학교육연구의 생동력과 현장 견인력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실제에 관한 연구 주체는 문학교사들이 된다 하더라도 그 연구 기술의 개발과 제공은 학자들의 몫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실제에 관한 연구 기술의 개발과 정련, 그것은 그 자체로 이론성 연구에 해당하는 것이다. 실제 차원의 연구가 가지는 검증 결과의 비생산성을 부정적으로 보는 우려도 있으나
김상욱,'문학교육의 목표 규정을 위한 시론', 국어교육연구 창간호, 서울사대 국어교육연구소, 1994. P.62.
실제 연구는 그것대로 현장 문학교육의 질적 두께를 쌓아가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대체로 실제성 연구는 연구와 교수가 배합되는 형태로 진행되기 때문에 학문적 성과만을 문제삼을 수는 없다.
셋째, 문학교육연구의 결과가 파편화 되는 일부 경향에 대한 주목이 있어야 할 것이다. 산출된 연구들이 어떤 결집점을 가지고 패러다임화하지 못하고 분산 또는 고립화되는 경향이 없지 않다. 이는 물론 연구 자체의 내적 결함을 먼저 살펴야 하겠지만, 문학교육연구가 백화제방의 시기를 맞으면서 결집의 틀을 찾지 못하고 연구 자체가 개별적 소재주의로 나아간 면에서도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철학-이론-모형-전략-실제의 연구 층위의 원용이 이 문제 해결의 한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아울러 지향이 같은 연구자 간에 중심 연구와 부심 연구의 역할 분담을 의도적으로 고려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실제를 연구하는 현장의 실천가들은 '실제'의 국면만을 대상으로 삼지 말고, 그 실제에 자동적으로 연계되는 '전략'의 국면까지를 실천가들의 탐구 몫이라고 생각하는 풍토가 일반화 되어야 한다. 그리고 모형이나 전략 자체를 연구의 목표로 삼는 경우에는 문학교육 이론 집단과 실천 집단의 공동 연구 패턴이 자연스러운 추세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참 고 문 헌 >
丘仁煥 외, 文學敎育論(2판), 三知院, 1993.
金大幸, '古典表現論을 위하여', 先淸語文 제20집, 1992.9.
김상욱, '문학교육의 목표 규정을 위한 시론', 국어교육연구 1호, 1994.
朴寅基, 문학교육과정의 구조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 논문, 1994.
, 국어과 敎材論 記述의 理論化 方向, 박붕배교수정년기념 논문집, 1992.
禹漢鎔, '리얼리즘 소설의 문학교육적 함의', 국어국문학 112호, 1994.
이돈희 외, 교과교육학 탐구, 교육과학사, 1994.
최현섭 외, 국어교육학의 이론화 탐색, 일지사, 1995.
최혜실, '文學理論과 文學敎育理論과의 關係 規定을 위한 試論, 국어교육85-86호, 1994.12.
황원구 외, 인문과학과 가치, 서문당, 1977.
Eisenhart, Margaret A., Howe Kenneth R., Validity in Educational Research, Th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Academic Press,Inc, 1992.
Mullin, John A.(ed), Intersections : Theory-Practice in the Writing Center, NCTE,1994.
Farrel, Edmund J., Squire, James R.(ed), Transaction with Literature : A Fifty-Year Perspective, NCTE, 1990.
Langer, Judith A.(ed), Literature Instruction : A Focus on Student Response, NCTE, 1992.
Miller, Bruce E., Teaching the Art of Literature, NCTE, 1980.
3. 맺음-다시 문제의 제기
문학교육연구에서 이론과 실제의 스펙트럼을 연속체적 구조로 보면서, 연구의 중간 결절 국면인 모형과 전략의 차원을 개입시켜, 응용 학문으로서의 문학교육연구가 지니는 이론/실제의 상관 층위를 제시해 보았다. 그 결과로 이론성 연구와 실제 성 연구가 상대적 관계에 놓임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그것의 이성적 체계는 상위 차원이 하위 차원을 다면적으로 분화시켜 나갈 수 있는 것이 된다는(되어야 한다는) 것도 지적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문학교육연구에서 이론 연구의 정체는 사실 여타 분야의 기존 이론을 문학교육의 입지에서 재개념화하는 '이론화'의 작업에 다름 아닐 수 있다는 점도 발견하였다.
이러한 발견점과 관련하여 우리 문학교육연구가 새롭게 과제화해야 할 문제를 간략히 제기하는 것으로 결언을 삼는다.
첫째, 문학교육 이론화의 전략을 좀더 적극적이고 다양하게 개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 부분을 미루어 두면 문학교육연구는 인문학으로서의 연구 방법이나 이론에 환원될 수방에 없는 위험을 여전히 안고 있게 된다. 문학 내의 이론을 문학교육 이론으로 이론화, 즉 재개념화하는 데는 발상의 새로움이 방법의 정치함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 경우에 해당하는 좋은 본보기로서 김대행의 '古典表現論을 위하여'(先淸語文 제20집, 1992.9)를 들고자 한다. 고전 표현의 실체를 표현 주체들의 인식론적 지향과 관련하여 세밀하게 검증해 내면서 문화교육의 지평 하나를 제시한다. 고전표현론이 문학교육의 이론화 장면에 동원되면서 커리큐럼적 세력을 얻을 수 있는 자리에까지 나아갈 수 있다면 그것은 실제로 좋은 성공 사례가 될 것이다.
문학 바깥 영역의 이론들을 문학교육 이론으로 재개념화하는 데는 발상의 새로움보다는 모형이나 전략의 정치함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교육학의 이론을 문학교육의 이론으로 재개념화하는 데 있어서는 문학교육 현상의 실제적 변인들에 현실감 있게 조회해 보는 것이 우선적으로 요청된다.
한때 풍미한 수업 모형 이론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문학교육현상에 대입된 연후에 수업 모형 이론이 문학 수업에 적용되어야 했었다.
둘째, 문학교육 실제에 관한 연구 기술이 세련되어 있지 아니하다는 점이다. 문학교육 연구 공동체의 형성이 일천한 탓으로 그간 이론화 작업에 치중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으나, 이는 앞으로 문학교육연구의 생동력과 현장 견인력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실제에 관한 연구 주체는 문학교사들이 된다 하더라도 그 연구 기술의 개발과 제공은 학자들의 몫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실제에 관한 연구 기술의 개발과 정련, 그것은 그 자체로 이론성 연구에 해당하는 것이다. 실제 차원의 연구가 가지는 검증 결과의 비생산성을 부정적으로 보는 우려도 있으나
김상욱,'문학교육의 목표 규정을 위한 시론', 국어교육연구 창간호, 서울사대 국어교육연구소, 1994. P.62.
실제 연구는 그것대로 현장 문학교육의 질적 두께를 쌓아가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대체로 실제성 연구는 연구와 교수가 배합되는 형태로 진행되기 때문에 학문적 성과만을 문제삼을 수는 없다.
셋째, 문학교육연구의 결과가 파편화 되는 일부 경향에 대한 주목이 있어야 할 것이다. 산출된 연구들이 어떤 결집점을 가지고 패러다임화하지 못하고 분산 또는 고립화되는 경향이 없지 않다. 이는 물론 연구 자체의 내적 결함을 먼저 살펴야 하겠지만, 문학교육연구가 백화제방의 시기를 맞으면서 결집의 틀을 찾지 못하고 연구 자체가 개별적 소재주의로 나아간 면에서도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철학-이론-모형-전략-실제의 연구 층위의 원용이 이 문제 해결의 한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아울러 지향이 같은 연구자 간에 중심 연구와 부심 연구의 역할 분담을 의도적으로 고려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실제를 연구하는 현장의 실천가들은 '실제'의 국면만을 대상으로 삼지 말고, 그 실제에 자동적으로 연계되는 '전략'의 국면까지를 실천가들의 탐구 몫이라고 생각하는 풍토가 일반화 되어야 한다. 그리고 모형이나 전략 자체를 연구의 목표로 삼는 경우에는 문학교육 이론 집단과 실천 집단의 공동 연구 패턴이 자연스러운 추세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참 고 문 헌 >
丘仁煥 외, 文學敎育論(2판), 三知院, 1993.
金大幸, '古典表現論을 위하여', 先淸語文 제20집, 1992.9.
김상욱, '문학교육의 목표 규정을 위한 시론', 국어교육연구 1호, 1994.
朴寅基, 문학교육과정의 구조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 논문, 1994.
, 국어과 敎材論 記述의 理論化 方向, 박붕배교수정년기념 논문집, 1992.
禹漢鎔, '리얼리즘 소설의 문학교육적 함의', 국어국문학 112호, 1994.
이돈희 외, 교과교육학 탐구, 교육과학사, 1994.
최현섭 외, 국어교육학의 이론화 탐색, 일지사, 1995.
최혜실, '文學理論과 文學敎育理論과의 關係 規定을 위한 試論, 국어교육85-86호, 1994.12.
황원구 외, 인문과학과 가치, 서문당, 1977.
Eisenhart, Margaret A., Howe Kenneth R., Validity in Educational Research, Th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Academic Press,Inc, 1992.
Mullin, John A.(ed), Intersections : Theory-Practice in the Writing Center, NCTE,1994.
Farrel, Edmund J., Squire, James R.(ed), Transaction with Literature : A Fifty-Year Perspective, NCTE, 1990.
Langer, Judith A.(ed), Literature Instruction : A Focus on Student Response, NCTE, 1992.
Miller, Bruce E., Teaching the Art of Literature, NCTE, 1980.
추천자료
문학교육원론 요약과 정리 논평
문학교육의 접근 방법
원광대학교 국어교육과 - 문학교육론(김진국 교수) 3장 요약
원광대학교 국어교육과 문학교육론(김진국 교수) 4장 요약본
2006년 2학기 유아문학 중간시험과제물 E형(통합적/반응중심 유아문학교육)
2006년 2학기 유아문학 중간시험과제물 D형(통합적/반응중심 유아문학교육)
[국어교육론] 문학교육
제4장 문학이론과 문학교육 요약
[유아문학] 아동문학교육의 방향
문학의 속성과 문학교육
[유아문학] 유아교사를 위한 유아문학교육
[문학교육론] 어린이 책 시장의 소비 주체인 부모의 특성 - 세대의 개념과 386세대, 정치 세...
[문학교육론] 문학 텍스트 광고의 호소 전략 - 구성 형식(줄거리와 외부 평가, 작가 이미지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