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의 생화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아미노산 Amino Acids

Ⅱ.펩티드 Peptides

Ⅲ.단백질:구조 및 성질6
Proteins:Structure & Properties

본문내용

. 여기에 약품처리를 해서 이황화물결합을 모두 풀어 놓은 뒤 머리카락을 구부러트리고 그 상태에서 다시 이황화물결합이 생성되도록 하면 전체적으로 보아 머리카락은 구불구불해질 것이다. 반대의 경우도 성립한다. 곱슬머리가 스트레이트 머리를 동경하여 스트레이트 파마를 하고 있지 않은가? 다른 예를 든다면 계란의 흰자위를 가열하거나 식초에 넣었을 때 하얗게 변하는 것도 일종의 변성이다. 복잡한 단백질은 병에 넣고 심하게 흔드는 것만으로도 변성된다고 한다. 이러한 단백질의 변성은 가역적일 수도 있고, 비가역적일 수도 있다. 가역적인 경우는 변성이 그리 심하지 않아서 오래두면 평형이 다시 원래의 상태로 이동하여 원래의 구조를 되찾을 수 있는 경우로서 이러한 현상을 탈변성 또는 원형재현(renaturation)이라고 한다. 그러나 변성이 너무 심할 경우에는 이러한 탈변성이 일어나지 못한다.
5.섬유상 단백질(fibrous protein)
전체적인 모양에 의해 단백질을 분류할 때는 단백질을 크게 섬유상 단백질과 구상 단백질로 나눈다. 섬유상 단백질이란 폴리펩티드 사슬이 긴 섬유상 또는 평면상으로 배열된 단백질을 일컫는다. 섬유상 단백질은 척추동물에서 전체 단백질의 1/3 이상을 차지한다. 손톱, 머리카락, 피부 등을 구성하는 것은 모두 섬유상 단백질이다. 조직학에서 자주 나오는 콜라겐도 섬유상 단백질이다. 대부분의 생화학 교과서에서는 섬유상 단백질의 구조에 대한 설명을 할 때, 케라틴을 예로 든다. 모발의 주성분인 케라틴, 명주나 거미줄의 주성분인 케라틴을 들어 그 구조적 차이를 설명한다. 케라틴에는 헬릭스(helix) 구조가 존재하고, 케라틴에는 conformation에 의한 병풍구조가 존재한다. 같은 케라틴이지만 이른바 이성질체인 셈인데(엄밀히 따지면 이런 고분자에서는 이성질체라는 말을 쓰기가 좀 힘들지만) 이러한 성질의 차이는 conformation의 차이에서 온 것이다. conformation이 무엇인지 자세히 알고 싶으면 여러분의 먼지 낀 유기화학 책이나 레닌져 생화학을 찾아보기 바란다.
6.구상 단백질(glubular protein)
구상 단백질은 폴리펩티드 사슬이 빈틈없이 구상으로 접혀져 있다. 효소, 헤모글로빈 등 구상 단백질은 생체내에서 매우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효소는 따로 자세히 공부하게 되고, 헤모글로빈이나 미오글로빈의 구성단위인 헴(heme)의 생합성 및 대사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다룬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07.31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00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