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킹의 예방 및 해결방안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1.스토킹이란?
2.사이버 스토킹등장

[2] 본론
1.스토킹 예방수칙
2.스토킹 악몽
3.상대에 대한 지나친 집착 범죄행위

[3] 결론
1.스토킹의 피해사례 및 해결방안

본문내용

1년간 스토킹을 당해온 가수 김창완씨가 견디다 못해 광적인 팬을 고소했고 직접적인 관련 법이 없어 고심한 경찰은 일단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위반 혐의로 가해자를 구속했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스토킹 피해가 일부 스타나 저명인사에 그치지 않고 일반인에게도 나타난다는 데 있다.
한국폭력상담소 조중신 부장은 “스토킹을 당하는 여성들은 신체적 상해뿐만 아니라 지나친 경계심, 대인공포, 전화공포, 외출공포, 사회생활기피 등 심각한 피해후유증을 보인다”고 말한다.
지금까지는 경찰에 도움을 요청해도 「사생활」이라는 이유로 소홀히 넘겨왔는데 갈수록 문제가 심각해져가고 고소까지 하게된 사례를 보면 최소한의 법적 조치를 치하더라도 스토킹이 범죄행위라는 사실을 가르쳐줄 필요가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우리나라에서도 미국처럼 스토킹 방지법을 제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강북삼성병원 신영철 교수는 "스토커를방치하면 결국 폭행이나 심하면 살인에 이르는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므로, 현재 직접적인 피해가 없더라도 반드시 격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에는 현재 48개주에 스토킹 방지법이 제정돼 있다.
서울대병원 정신과 류인균 교수는 "우리나라에서는 스토킹이 벌어지면 대개 '쫘아 다닐 만한 짓을 했겠지'라는 식으로 생각한다"며 "스토킹을 범죄로 규정하지 않으면 '피해자가 스토킹의 원인을 제공했을 것'이라는 잘못된 인식이 확산된다"고 말했다. "스토킹은 유괴와 같이 피해자가 일방적으로 당하는 범죄"라며 "유괴 사건이 공개 수사를 해야 풀리듯, 스토킹도 공개적으로 대책을 찾지 않으면 해결할수 없다"고 강조했다.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08.01
  • 저작시기200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00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