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낱말과 형태소
1-단원 개관
2- 단원 학습 목표
3- 단원 학습 계획
4- 과제 학습
5- 지도상의 유의점
6- 교수-학습 활동
1-단원 개관
2- 단원 학습 목표
3- 단원 학습 계획
4- 과제 학습
5- 지도상의 유의점
6- 교수-학습 활동
본문내용
/을/ 읽는다 형태소 : 동생/이/그림/책/을/ 읽-/-는-/-다
<자료3> 1) 문장 2) 자립, 자립 3) 뜻 4) 자립, 의존, 실질, 형식
Ⅷ. 수준별 교수-학습 자료
1. 보충 학습 자료
<자료1> 다음 중, 형태소에 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① 자립하여 쓰일 수 있는 말의 단위 ② 말할 때 붙여 발음하는 단위
③ 발음할 수 있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 ④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
⑤ 하나의 독립된 생각을 나타내는 말의 단위
<자료2> '콩가루'에서 '콩'과 '가루'를 다른 말로 바꿀 수 있는가?
<자료3> 다음 낱말 중 형태소로 잘못 나눈 것은?
① 풋나물 : 풋 + 나물 ② 모르다 : 모르 + 다 ③ 돌다리 : 돌 + 다리
④ 사람답다 : 사람 + 답 + 다 ⑤ 잔다 : 잔 + 다
<자료4> 다음 낱말 중 둘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것은?
① 꽃밭 ② 재미 ③ 하늘 ④ 바다 ⑤ 사랑
<자료5> 다음 각 낱말의 형태소를 구분해 보자.
낱말
형태소
낱말
형태소
나무
새파랗다
개살구
짓밟다
덧신
솜이불
사과나무
일꾼
논밭
장난꾸러기
남녀
밟다
발
파랗다
장난
【정답】
<자료1> ④ <자료2> 바꿀 수 있다 <자료3> ⑤ <자료4> ①
<자료5>
낱말
형태소
낱말
형태소
나무
나무
새파랗다
새/파랗/다
개살구
개/살구
짓밟다
짓/밟/다
덧신
덧/신
솜이불
솜/이불
사과나무
사과/나무
일꾼
일/꾼
논밭
논/밭
장난꾸러기
장난/꾸러기
남녀
남/녀
밟다
밟/다
발
발
파랗다
파랗/다
장난
장난
2. 심화 학습 자료
<자료1> 다음 ( )에 알맞은 말을 보기에서 찾아 써 보자.
1) 끊어 읽는 대로 나누어진 도막도막의 마디를 ( )(이)라 한다.
2)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를 ( )(이)라 한다.
3) 혼자 설 수 있거나 혼자 설 수 있는 말에 쉽게 붙는 말을 ( )(이)라 한다.
<자료2> 다음 문장을 분석해 보자.
1) 어절 단위로 나누어 보자.
2) 낱말 단위로 나누어 보자.
3) 형태소 단위로 나누어 보자.
<자료3> 다음의 낱말들을 살펴 보고 물음에 답해 보자.
1) 자립 형태소로 이루어진 낱말은?
2) 의존 형태소로 이루어진 낱말은?
3) 자립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로 이루어진 낱말은 어느 것인가?
<자료4> 다음 낱말의 공통점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1) 지우개, 덮개, 깔개
2) 등불, 물병
<자료5> 다음 낱말들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생각해 보자.
1) 작은 아버지, 작은아버지
2) 넓게, 넓이
<자료6>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① 가을 하늘이 무척 푸르다. ② 들판도 누렇게 물들었다. ③ 추석 때 큰집에 다녀왔다. ④ 집안의 모든 사람들이 모여서 이야기를 나누었다. ⑤ 참 즐거웠다.
1) 위 글은 몇 개의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2) 각 문장은 몇 개의 낱말로 이루어져 있는가?
3) 위에서 밑줄 그어진 문장은 몇 개의 형태소로 이루어져 있는지 나누어 보자.
① 가을 하늘이 무척 푸르다.
② 집안의 모든 사람들이 모여서 이야기를 나누었다.
<자료7> 예문을 형태소로 분석하였다. 빈 칸에 형태소의 종류를 써 보자.
예문
철수
가
이야기
책
을
읽
었
다.
자립성에 따라
자립
의존
①
②
의존
③
의존
의존
의미에 따라
④
형식
⑤
실질
형식
실질
형식
⑥
<자료8> 다음 낱말을 물음에 따라 나누어 보자.
1) 형태소로 나누어 보자.
2) 덧붙임 말과 어근으로 만들어진 말(파생어)을 찾아 보자.
3) 어근과 어근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말(합성어)을 찾아 보자.
【정답】
<자료1> 1) 어절 2) 형태소 3) 낱말
<자료2> 1) 도랑이/ 하나/ 있다 2) 도랑/이/ 하나/ 있다 3) 도랑/이/ 하나/ 있-/-다
<자료3> 1) 물병 2) 오가다 3) 맨손
<자료4> 1) 실질 형태소에 덧붙임말(-개)이 붙어 하나의 낱말이 만들어진 경우이다. 이런 낱말을 파생어라고 한다.
2) 자립 형태소 두 개가 나란히 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낱말을 만든 경우이다. 이런 낱말을 합성어라고 한다.
<자료5> 1) '작은 아버지'는 키가 작거나 눈이 작은 아버지라는 뜻으로 두 개의 낱말이다. '작은아버지'는 세 개의 형태소 '작-/-은/아버지'로 분석할 수 있는 하나의 낱말이다.
2) '넓게'는 '넓-'이라는 실질 형태소'넓-'에 '-게'라는 의존 형태소가 합쳐져 하나의 낱말을 이루고 있으며, 의존 형태소로 사용되나, '넓이'는 실질 형태소'넓-'에 의존 형태소 '-이'가 붙어 이루어진 하나의 낱말로, 자립 형태소로 사용된다.
<자료6> 1) 5개 2) ① 5개 ② 4개 ③ 5개 ④ 9개 ⑤ 2개
3) ① 가을/ 하늘/이/ 무척/ 푸르-/-다 (5개)
② 집/안/의/ 모든/ 사람/들/이/모이-/-어서/ 이야기/를/ 나누-/-었-/-다 (14개)
<자료7> ① 자립 ② 자립 ③ 의존 ④ 실질 ⑤ 실질 ⑥ 형식
<자료8> 1) 신/발, 등/불, 손/수레, 옷/소매, 오/가/다, 굳/세/다, 선/머슴, 가난/뱅이, 개/살구, 짓/밟/다, 풋/사과, 사냥/꾼
2) 선머슴, 가난뱅이, 개살구, 짓밟다, 풋사과, 사냥꾼
3) 신발, 등불, 손수레, 옷소매, 오가다, 굳세다.
<쉼터> 낱말 만들기
-------------------------------------------------------------------------------------------
▶ 아래의 글자들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말을 만들어 보자.
산
래
서
지
장
바
종
새
하
고
러
나
기
시
가
그
사
은
복
과
소
공
도
무
름
아
개
우
부
수
들
살
하
호
리
구
을
여
랑
주
꼬
답
자
슴
머
롭
루
허
1) 하나의 형태소로 된 낱말을 만들어 보자.
2) 세 개 이상의 형태소로 된 낱말을 만들어 보자.
3) 동작이나 움직임을 나타내는 낱말을 만들어 보자.
4)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낱말을 만들어 보자.
5) 어절이나 문장도 만들 수 있는지 생각해 보자.
【정답 예시】
1) 머슴, 장기, 공기, 자랑, 고래, 은하수, 가루, 가시, 여름, 아우, 부자 등
2) 공부하자
3) 지나가도, 가자
4) 답답하고
5) ① 새여, 아름답구나. ② 우리 공부하자.
<자료3> 1) 문장 2) 자립, 자립 3) 뜻 4) 자립, 의존, 실질, 형식
Ⅷ. 수준별 교수-학습 자료
1. 보충 학습 자료
<자료1> 다음 중, 형태소에 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① 자립하여 쓰일 수 있는 말의 단위 ② 말할 때 붙여 발음하는 단위
③ 발음할 수 있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 ④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
⑤ 하나의 독립된 생각을 나타내는 말의 단위
<자료2> '콩가루'에서 '콩'과 '가루'를 다른 말로 바꿀 수 있는가?
<자료3> 다음 낱말 중 형태소로 잘못 나눈 것은?
① 풋나물 : 풋 + 나물 ② 모르다 : 모르 + 다 ③ 돌다리 : 돌 + 다리
④ 사람답다 : 사람 + 답 + 다 ⑤ 잔다 : 잔 + 다
<자료4> 다음 낱말 중 둘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것은?
① 꽃밭 ② 재미 ③ 하늘 ④ 바다 ⑤ 사랑
<자료5> 다음 각 낱말의 형태소를 구분해 보자.
낱말
형태소
낱말
형태소
나무
새파랗다
개살구
짓밟다
덧신
솜이불
사과나무
일꾼
논밭
장난꾸러기
남녀
밟다
발
파랗다
장난
【정답】
<자료1> ④ <자료2> 바꿀 수 있다 <자료3> ⑤ <자료4> ①
<자료5>
낱말
형태소
낱말
형태소
나무
나무
새파랗다
새/파랗/다
개살구
개/살구
짓밟다
짓/밟/다
덧신
덧/신
솜이불
솜/이불
사과나무
사과/나무
일꾼
일/꾼
논밭
논/밭
장난꾸러기
장난/꾸러기
남녀
남/녀
밟다
밟/다
발
발
파랗다
파랗/다
장난
장난
2. 심화 학습 자료
<자료1> 다음 ( )에 알맞은 말을 보기에서 찾아 써 보자.
1) 끊어 읽는 대로 나누어진 도막도막의 마디를 ( )(이)라 한다.
2)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를 ( )(이)라 한다.
3) 혼자 설 수 있거나 혼자 설 수 있는 말에 쉽게 붙는 말을 ( )(이)라 한다.
<자료2> 다음 문장을 분석해 보자.
1) 어절 단위로 나누어 보자.
2) 낱말 단위로 나누어 보자.
3) 형태소 단위로 나누어 보자.
<자료3> 다음의 낱말들을 살펴 보고 물음에 답해 보자.
1) 자립 형태소로 이루어진 낱말은?
2) 의존 형태소로 이루어진 낱말은?
3) 자립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로 이루어진 낱말은 어느 것인가?
<자료4> 다음 낱말의 공통점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1) 지우개, 덮개, 깔개
2) 등불, 물병
<자료5> 다음 낱말들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생각해 보자.
1) 작은 아버지, 작은아버지
2) 넓게, 넓이
<자료6>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① 가을 하늘이 무척 푸르다. ② 들판도 누렇게 물들었다. ③ 추석 때 큰집에 다녀왔다. ④ 집안의 모든 사람들이 모여서 이야기를 나누었다. ⑤ 참 즐거웠다.
1) 위 글은 몇 개의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2) 각 문장은 몇 개의 낱말로 이루어져 있는가?
3) 위에서 밑줄 그어진 문장은 몇 개의 형태소로 이루어져 있는지 나누어 보자.
① 가을 하늘이 무척 푸르다.
② 집안의 모든 사람들이 모여서 이야기를 나누었다.
<자료7> 예문을 형태소로 분석하였다. 빈 칸에 형태소의 종류를 써 보자.
예문
철수
가
이야기
책
을
읽
었
다.
자립성에 따라
자립
의존
①
②
의존
③
의존
의존
의미에 따라
④
형식
⑤
실질
형식
실질
형식
⑥
<자료8> 다음 낱말을 물음에 따라 나누어 보자.
1) 형태소로 나누어 보자.
2) 덧붙임 말과 어근으로 만들어진 말(파생어)을 찾아 보자.
3) 어근과 어근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말(합성어)을 찾아 보자.
【정답】
<자료1> 1) 어절 2) 형태소 3) 낱말
<자료2> 1) 도랑이/ 하나/ 있다 2) 도랑/이/ 하나/ 있다 3) 도랑/이/ 하나/ 있-/-다
<자료3> 1) 물병 2) 오가다 3) 맨손
<자료4> 1) 실질 형태소에 덧붙임말(-개)이 붙어 하나의 낱말이 만들어진 경우이다. 이런 낱말을 파생어라고 한다.
2) 자립 형태소 두 개가 나란히 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낱말을 만든 경우이다. 이런 낱말을 합성어라고 한다.
<자료5> 1) '작은 아버지'는 키가 작거나 눈이 작은 아버지라는 뜻으로 두 개의 낱말이다. '작은아버지'는 세 개의 형태소 '작-/-은/아버지'로 분석할 수 있는 하나의 낱말이다.
2) '넓게'는 '넓-'이라는 실질 형태소'넓-'에 '-게'라는 의존 형태소가 합쳐져 하나의 낱말을 이루고 있으며, 의존 형태소로 사용되나, '넓이'는 실질 형태소'넓-'에 의존 형태소 '-이'가 붙어 이루어진 하나의 낱말로, 자립 형태소로 사용된다.
<자료6> 1) 5개 2) ① 5개 ② 4개 ③ 5개 ④ 9개 ⑤ 2개
3) ① 가을/ 하늘/이/ 무척/ 푸르-/-다 (5개)
② 집/안/의/ 모든/ 사람/들/이/모이-/-어서/ 이야기/를/ 나누-/-었-/-다 (14개)
<자료7> ① 자립 ② 자립 ③ 의존 ④ 실질 ⑤ 실질 ⑥ 형식
<자료8> 1) 신/발, 등/불, 손/수레, 옷/소매, 오/가/다, 굳/세/다, 선/머슴, 가난/뱅이, 개/살구, 짓/밟/다, 풋/사과, 사냥/꾼
2) 선머슴, 가난뱅이, 개살구, 짓밟다, 풋사과, 사냥꾼
3) 신발, 등불, 손수레, 옷소매, 오가다, 굳세다.
<쉼터> 낱말 만들기
-------------------------------------------------------------------------------------------
▶ 아래의 글자들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말을 만들어 보자.
산
래
서
지
장
바
종
새
하
고
러
나
기
시
가
그
사
은
복
과
소
공
도
무
름
아
개
우
부
수
들
살
하
호
리
구
을
여
랑
주
꼬
답
자
슴
머
롭
루
허
1) 하나의 형태소로 된 낱말을 만들어 보자.
2) 세 개 이상의 형태소로 된 낱말을 만들어 보자.
3) 동작이나 움직임을 나타내는 낱말을 만들어 보자.
4)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낱말을 만들어 보자.
5) 어절이나 문장도 만들 수 있는지 생각해 보자.
【정답 예시】
1) 머슴, 장기, 공기, 자랑, 고래, 은하수, 가루, 가시, 여름, 아우, 부자 등
2) 공부하자
3) 지나가도, 가자
4) 답답하고
5) ① 새여, 아름답구나. ② 우리 공부하자.
추천자료
국어 지식 교육의 방향
[교육학]국문과 레슨플랜 - 중학국어 1-2 4단원 시의세계
[국어학]잘못된 외래어 표현의 예와 실태
국어 교수학습과정안- 경험한일 말하기
국어 속의 외래어
광고 언어의 특성을 활용한 국어교육
중학교(중등) 국어과(국어교육) 편제, 중학교(중등) 국어과(국어교육)와 교수학습, 중학교(중...
초등학교1학년 국어과(국어교육) 목표와 교육중점, 초등학교1학년 국어과(국어교육) 실태와 ...
국어과 생각, 문학영역 교수학습자료(교육자료), 국어과 교육연극, 학습부진아 교수학습자료(...
국어교과서 수록 근대 소설 교육의 실제 -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
인터넷 신문과 국어교육 - 기사 제시방식과 답글 생산방식 등을 중심으로
어휘 능력과 학교 교육과정 (어휘 능력의 중요성,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어휘 능력 및 어휘 교...
우리말의역사,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