낱말과형태소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2. 낱말과 형태소


1-단원 개관

2- 단원 학습 목표

3- 단원 학습 계획

4- 과제 학습

5- 지도상의 유의점

6- 교수-학습 활동

본문내용

/을/ 읽는다 형태소 : 동생/이/그림/책/을/ 읽-/-는-/-다
<자료3> 1) 문장 2) 자립, 자립 3) 뜻 4) 자립, 의존, 실질, 형식
Ⅷ. 수준별 교수-학습 자료
1. 보충 학습 자료
<자료1> 다음 중, 형태소에 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① 자립하여 쓰일 수 있는 말의 단위 ② 말할 때 붙여 발음하는 단위
③ 발음할 수 있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 ④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
⑤ 하나의 독립된 생각을 나타내는 말의 단위
<자료2> '콩가루'에서 '콩'과 '가루'를 다른 말로 바꿀 수 있는가?
<자료3> 다음 낱말 중 형태소로 잘못 나눈 것은?
① 풋나물 : 풋 + 나물 ② 모르다 : 모르 + 다 ③ 돌다리 : 돌 + 다리
④ 사람답다 : 사람 + 답 + 다 ⑤ 잔다 : 잔 + 다
<자료4> 다음 낱말 중 둘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것은?
① 꽃밭 ② 재미 ③ 하늘 ④ 바다 ⑤ 사랑
<자료5> 다음 각 낱말의 형태소를 구분해 보자.
낱말
형태소
낱말
형태소
나무
새파랗다
개살구
짓밟다
덧신
솜이불
사과나무
일꾼
논밭
장난꾸러기
남녀
밟다

파랗다
장난
【정답】
<자료1> ④ <자료2> 바꿀 수 있다 <자료3> ⑤ <자료4> ①
<자료5>
낱말
형태소
낱말
형태소
나무
나무
새파랗다
새/파랗/다
개살구
개/살구
짓밟다
짓/밟/다
덧신
덧/신
솜이불
솜/이불
사과나무
사과/나무
일꾼
일/꾼
논밭
논/밭
장난꾸러기
장난/꾸러기
남녀
남/녀
밟다
밟/다


파랗다
파랗/다
장난
장난
2. 심화 학습 자료
<자료1> 다음 ( )에 알맞은 말을 보기에서 찾아 써 보자.
1) 끊어 읽는 대로 나누어진 도막도막의 마디를 ( )(이)라 한다.
2)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를 ( )(이)라 한다.
3) 혼자 설 수 있거나 혼자 설 수 있는 말에 쉽게 붙는 말을 ( )(이)라 한다.
<자료2> 다음 문장을 분석해 보자.
1) 어절 단위로 나누어 보자.
2) 낱말 단위로 나누어 보자.
3) 형태소 단위로 나누어 보자.
<자료3> 다음의 낱말들을 살펴 보고 물음에 답해 보자.
1) 자립 형태소로 이루어진 낱말은?
2) 의존 형태소로 이루어진 낱말은?
3) 자립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로 이루어진 낱말은 어느 것인가?
<자료4> 다음 낱말의 공통점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1) 지우개, 덮개, 깔개
2) 등불, 물병
<자료5> 다음 낱말들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생각해 보자.
1) 작은 아버지, 작은아버지
2) 넓게, 넓이
<자료6>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① 가을 하늘이 무척 푸르다. ② 들판도 누렇게 물들었다. ③ 추석 때 큰집에 다녀왔다. ④ 집안의 모든 사람들이 모여서 이야기를 나누었다. ⑤ 참 즐거웠다.
1) 위 글은 몇 개의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2) 각 문장은 몇 개의 낱말로 이루어져 있는가?
3) 위에서 밑줄 그어진 문장은 몇 개의 형태소로 이루어져 있는지 나누어 보자.
① 가을 하늘이 무척 푸르다.
② 집안의 모든 사람들이 모여서 이야기를 나누었다.
<자료7> 예문을 형태소로 분석하였다. 빈 칸에 형태소의 종류를 써 보자.
예문
철수

이야기




다.
자립성에 따라
자립
의존


의존

의존
의존
의미에 따라

형식

실질
형식
실질
형식

<자료8> 다음 낱말을 물음에 따라 나누어 보자.
1) 형태소로 나누어 보자.
2) 덧붙임 말과 어근으로 만들어진 말(파생어)을 찾아 보자.
3) 어근과 어근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말(합성어)을 찾아 보자.
【정답】
<자료1> 1) 어절 2) 형태소 3) 낱말
<자료2> 1) 도랑이/ 하나/ 있다 2) 도랑/이/ 하나/ 있다 3) 도랑/이/ 하나/ 있-/-다
<자료3> 1) 물병 2) 오가다 3) 맨손
<자료4> 1) 실질 형태소에 덧붙임말(-개)이 붙어 하나의 낱말이 만들어진 경우이다. 이런 낱말을 파생어라고 한다.
2) 자립 형태소 두 개가 나란히 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낱말을 만든 경우이다. 이런 낱말을 합성어라고 한다.
<자료5> 1) '작은 아버지'는 키가 작거나 눈이 작은 아버지라는 뜻으로 두 개의 낱말이다. '작은아버지'는 세 개의 형태소 '작-/-은/아버지'로 분석할 수 있는 하나의 낱말이다.
2) '넓게'는 '넓-'이라는 실질 형태소'넓-'에 '-게'라는 의존 형태소가 합쳐져 하나의 낱말을 이루고 있으며, 의존 형태소로 사용되나, '넓이'는 실질 형태소'넓-'에 의존 형태소 '-이'가 붙어 이루어진 하나의 낱말로, 자립 형태소로 사용된다.
<자료6> 1) 5개 2) ① 5개 ② 4개 ③ 5개 ④ 9개 ⑤ 2개
3) ① 가을/ 하늘/이/ 무척/ 푸르-/-다 (5개)
② 집/안/의/ 모든/ 사람/들/이/모이-/-어서/ 이야기/를/ 나누-/-었-/-다 (14개)
<자료7> ① 자립 ② 자립 ③ 의존 ④ 실질 ⑤ 실질 ⑥ 형식
<자료8> 1) 신/발, 등/불, 손/수레, 옷/소매, 오/가/다, 굳/세/다, 선/머슴, 가난/뱅이, 개/살구, 짓/밟/다, 풋/사과, 사냥/꾼
2) 선머슴, 가난뱅이, 개살구, 짓밟다, 풋사과, 사냥꾼
3) 신발, 등불, 손수레, 옷소매, 오가다, 굳세다.
<쉼터> 낱말 만들기
-------------------------------------------------------------------------------------------
▶ 아래의 글자들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말을 만들어 보자.
















































1) 하나의 형태소로 된 낱말을 만들어 보자.
2) 세 개 이상의 형태소로 된 낱말을 만들어 보자.
3) 동작이나 움직임을 나타내는 낱말을 만들어 보자.
4)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낱말을 만들어 보자.
5) 어절이나 문장도 만들 수 있는지 생각해 보자.
【정답 예시】
1) 머슴, 장기, 공기, 자랑, 고래, 은하수, 가루, 가시, 여름, 아우, 부자 등
2) 공부하자
3) 지나가도, 가자
4) 답답하고
5) ① 새여, 아름답구나. ② 우리 공부하자.

키워드

생활국어,   2단원,   낱말,   언어,   창의성,   교수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2.08.02
  • 저작시기200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01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