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 경주의 관광이미지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이론적 배경

3.실증조사의 준비

4.실증조사의 분석 및 시사점

5.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08
12.9614
0.0000**
평균
-.3047
.3354
-.0480
표준편차
1.0640
1.0322
.7620
M.R.T
L
H
L
쾌적한 숙박 및 관광시설
(i3)
사례수
114
119
108
9.3249
0.0000**
평균
.2996
-.0524
-.2585
표준편차
.9423
1.0882
.8762
M.R.T
H
L
L
계절적 요소와 위락시설
(i4)
사례수
114
119
108
24.2943
0.0000**
평균
-.2888
-.1923
.5167
표준편차
.7531
1.2223
.7292
M.R.T
L
L
H
** p < 0.01 *** M.R.T.: Duncan's Multiple Range Test(유의수준 0.05내에서의 H: high mean, L: low mean을 의미함)
결론
본 연구는 천년의 문화관광도시인 경주를 세계적인 관광도시로 발전시키기 위해서 어떠한 이미지를 개선하여야 하는지 또한 어떤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구축해 나가야 하는지에 관해 미력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연구하였다.
먼저 중요도와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지역의 풍습, 정보의 접근성, 숙박시설 등이 보다 개선해야할 이미지요인이며,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편리한 관광지, 풍부한 관광위락시설 등은 긍정적이미지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경주지역 관광이미지에 관한 1차요인분석에서는 45개의 정제된 속성으로부터 12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2차 요인분석 결과 요인1은 전통과 현대의 조화, 요인2는 전통 풍습 및 정보의 접근성, 요인3은 쾌적한 숙박 및 관광시설, 요인4는 계절적 요소와 위락시설로 요약되었다. 또한 다중회귀분석결과 요인1, 요인2, 요인4, 요인3의 순서로 전체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경주지역 관광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은 기존의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통한 전반적인 관광정책 및 전통풍습의 지속적 개발, 정보접근이 용이한 커뮤니케이션, 계절적인 요소를 감안한 위락시설의 개발, 쾌적한 숙박시설 및 관광시설의 개선 등의 순서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경주지역 관광이미지 요인의 구매행동적·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정보인지경로에 따라서는 구전효과를 높이기 위한 관계마케팅의 시행, 여행사 및 호텔업계와의 긴밀한 협조체제구축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의 전개가 전제되어야 하며, 방문회수에 따라서는 재방문 관광객들을 증대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서비스개선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는 30-40대의 관광객들을 유인할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이 나타났고, 교육정도에 따라서는 보다 수준높은 문화관광상품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국적별 차이에 따라서는 전통과 현대의 조화 요인에 대해서 일본관광객들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며, 전통풍습 및 정보의 접근성 요인에 대해서는 내국인 및 일본관광객 수요를 위하여 전통풍습의 개발 및 정보채널을 더욱 보강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쾌적한 숙박 및 관광시설 요인에 대해서는 숙박 및 관광시설을 보다 국제적 수준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적 요소와 위락시설 요인에 대해서는 일본관광객들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며, 한국 및 미주관광객들에 대해서는 보다 유인적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한계점은 첫째, 설문조사시기가 7월과 8월로 한정되어서 여타의 계절적 관광객들에 대한 표본선정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과 표본의 선정이 한국, 일본, 미주인들로 한정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외국의 대표적 문화관광도시의 이미지개선방안과의 비교연구가 미흡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강한 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경주관광개발공사(1987). 「경주 보문단지 환경 및 조경종합계획」.
경주시(1997). 「21세기를 향한 경주시 장기종합개발계획」.
경주시(1998). 「경주시 통계연보」.
김충련(1994). 『SAS라는 통계상자』. 서울: 데이터리서치.
손대현(1986). 『관광마케팅론』. 서울: 일신사.
안광호·이진용(1997). 『브랜드파워』. 서울: 한국언론자료간행회: 116.
엄서호(1998). 관광지 이미지 측정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21(2): 53~65.
이태희(1997). 한국관광지 이미지 측정척도의 개발. 『관광학연구』, 20(2): 80~95.
한국관광연구원(1999). 「1998년도 관광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
Chon, K.S.(1991). Self-Image/Destination Image Congruity. Annals of Tourism Research, 19: 360~363.
Embacher, Johann & Francis Buttle(1989). A Repertory Grid Analysis of Austria's Image as a Summer Vacation Destination. Journal of Travel Research, 27(winter).
Fakeye, P.C. & J.L. Crompton(1991). Image Differences between Prospective, First Time and Repeat Visitors to the Lower Rio Grand Vally. Journal of Travel Research, 30: 10~16.
Gartner, W.C.(1989). Tourism Image: Attribute Measurement of State Tourism Products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Techniques. Journal of Travel Research, 28(2): 16~20.
Lewis, R.C., R.E. Chambers, H.E. Chacko(1995). Marketing Leadership in Hospitality: Foundation & Practice,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46~55.
1999년 11월 1일 원고접수
1999년 12월 24일 수정본 접수
2000년 3월 14일 최종 수정본 접수
3인 익명심사 畢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2.08.05
  • 저작시기200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02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