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목차
1. 청소년의 심리평가와 성격장애
2. 대상표상의 평가와 성장을 통한 인성교육의 원리
3. MMPI를 통한 성격장애의 평가와 HTP
2. 대상표상의 평가와 성장을 통한 인성교육의 원리
3. MMPI를 통한 성격장애의 평가와 HTP
본문내용
자아, 성적 무능감,
- 보통 이상의 지능을 가진 성인이 유치하게 머리를 그리면 심한 정도의 미숙함 혹은 퇴행적 경향, 혹은 상당한 정도의 불안을 경험하고 있음
- 머리카락을 지나치게 강조하면(혹은 가슴이나 얼굴의 털) 강한 성욕과 추구, 성적 집착, 성적 무력감에 대한 보상, 공격성, 위해 가능성, 자애적 경향
- 머리가 없을 때: 성적 부적절감, 정신분열증의 가능성, 정력의 쇠약
얼굴 특징
- 생략되었을 때: 정신병의 가능성, 피상적 대인관계, 환경에 대한 관심의 결여, 철수경향
- 얼굴이 지나치게 강조됨: 외모에 대한 지나친 관심, 공격적 지배적 행동
- 큰 눈(강조된 눈): 의심, 망상적 특징, 지나친 예민성, 사회적으로 활발함
- 작거나 감은 눔: 내성적, 자기에 대한 지나친 관심, 명상적
- 눈동자가 없는 얼굴: 철수적인 사람에게 있어서 내성적, 자기에 대한 지나친 관심, 모호한 지각 방식, 회피적 성격장애 시사(의사 소통의 곤란)
코: 성기의 상징 혹은 권력 욕구의 상징
- 큰 코(혹은 강조된): 성적 장애, 심리 성적 미성숙, 공격성
- 생략된 코: 수줍음, 철수, 우울한 성격, 거세불안
- 단추코 혹은 삼각형: 미성숙, 갈등이 있을 때 퇴행, 청소년이나 성인의 경우는 불안
- 그림자진 희미한 짤린 코: 거세불안
- 뾰쪽한 코: 행동화경향에 대한 뚜렷한 증거
입: 퇴행적 방어를 상징, 구강적 성격,
- 입이 강조되어 있을 때: 언어적 공격성, 의존적, 미성숙한 성격, 성적 곤란, 언어적 가학증, 우울하거나 원시적인 경향
- 입이 생략되어 있을 때: 구강적 공격성, 우울, 의사소통을 시작하기 어려움, 아동의 경우는 강박과 불안 혹은 수줍음, 철수, 우울
- 큐피드 화살 입(여자 그림에서) 노출 경향, 성적으로 조숙한 여자 청소년,
- 단일선에 미소 없는 입: 우울증
- 비스듬한 선으로 된 입: 언어적 공격성, 분노, 비판적, 가학적 경향
- 작은 입: 의존욕구의 부인
- 웃는 모습에 치아가 보일 때: 미성숙, 공격적 경향
귀
- 큰 귀: 비판에 지나치게 예민함, 관계 망상, 환청. 어른 그림에서 귀가 생략되는 일은 흔함
뺨
- 지나치게 강조된 빰: 공격적, 지배적 경향; 약한 느낌에 대한 보상적 경향
- 약하게 그려진 뺨: 사회적으로 빈약한 느낌. 신체적 혹은 심리적 무력감
목: 지성과 정서의 연결을 상징; 자아통제와 충동의 연결
- 강조된 목: 충동통제의 필요성에 관심
- 짧고 굵은 목: 고집스러움, 융통성 없음, 충동성, 충동통제의 욕구
- 긴 목: 지적인 생각과 감정을 분리하려는 경향
- 지나치게 길고 가는 목: 분열적, 정신병적 문제를 시사
- 생략된 목: 충동성 시사(10세 이상)
어깨
- 잘 그려진 어깨: 정상
- 넓은 어깨: 신체적 힘에 대한 욕구
- 어깨가 생략됨: 사고 장애
- 뾰쪽한 어깨: 행동화
- 좁은 어깨: 열등감
- 크거나 넓은 어깨: 공격성, 행동화, 지나친 방어; (여성의 경우) 성역할 혼미 혹은 남성적 저항
유방
- 남자가 큰 가슴을 그렸을 때: 정서적 미성숙; 어머니에 대한 의존
- 여자가 큰 가슴을 그렸을 때: 지배적 어머니와 동일시, 노출증, 자애적
허리선
- 굵은 허리선: 급성 성적 갈등
- 아주 높거나 낮은 허리선: 성적 경향을 완전히 봉쇄하거나 갈등을 경험하고 있음
- 지나치게 꽉 죄인 허리선(코르셋이 있음): 정서적 변동이 심함: 충동적, 성질을 잘 냄
- 정교한 벨트: 성적 집착 가능성, 합리화나 승화로 충동 통제
몸통: 기본적 욕구를 상징, 욕구의 발달과 통합과 관련된 태도
- 조각조각으로된 몸통: 심각한 성격분열(정신병 혹은 성격장애)
- 타원이나 직사각형의 몸통(성인): 퇴행, 심한 미성숙, 심한 불안 가능성
- 큰 몸통: 불만족된 욕구
- 길고 가는 몸통: 분열형(사회적 철수) 성격
- 뚱둥한(rounded) 몸통: 수동적, 여성적, 유아적, 퇴행적 성격
- 생략된 몸통(성인): 심한 장애
- 작은 몸통: 욕구의 부인, 열등감
성기: 그려졌을 때, 심각한 정신병리, 공격성(아동의 경우), 성적 집착과 호기심(청소년)
팔, 손, 손가락
팔: 대인관계의 특질, 환경과의 접촉 방식
- 이완되고 부드러운 팔: 정상
- akimbo: 자애적,지배적(으시댐)
- 등 뒤로 두른 팔: 사람 만나기를 거리는 편, 공격성, 적대감, 죄책감을 통제 할 필요성
- 팔짱낀 자세: 의심, 적대적 태도, 폭력충동을 통제하려는 시도, 수동적, 주장성 결여, 사회적 접촉을 삼감
- 가늘고 약하며 작은 팔, 혹은 움추린 팔: 부적절감, 비효율감
- 길고 강한 팔: 성취욕구, 육체적 힘의 필요성을 느낌, 환경과의 공격적 접촉
- 팔의 생략: 죄책감, 우울감, 부적절, 비효율, 수동성, 퇴행, 비효율감, 환경에 대한 불만, 강력한 철수 경향, 수동성
- 손이 밖으로 뻗어있을 때: 환경적, 대인관계적 접촉을 바람, 도움을 요청하려는 욕구
- 짧은 팔: 야심의 결여, 부적절감, 수동성
손
- 등위에 손을 숨겼을 때: 회피적 대인관계, 다른 사람에 대한 죄책감, 자위로 인한 죄책감,
- 큰 손: 부적절감에 대한 보상
- 작은 손: 무력감(Helplessness)
- 장갑과 같은 손: 억압된 공격성, 간접적으로 표현되는 공격성
- 주먹쥔 손: 공격성, 반항심, 분노를 억제하고 있음
- 손 없이 손가락만 있거나 큰 손가락: 퇴행 혹은 유아적인 공격적 폭력 경향
- 긴 손가락: 퇴행적 경향
- 손가락의 생략: 대인관계의 어려움, 자위로 인한 죄책감
- 뾰쪽한 손가락: 유아적, 원시적, 공격적, 적대적 행동화 경향, 때로 망상적 신체적 특징
다리: 다리와 발은 안전감의 상징,
- 꼬인 다리: 성적 접근에 대한 방어
- 긴 다리: 자율에 대한 강한 욕구와 추구
- 짧은 다리: 움직이기 싫어하거나 움직일 수 없음, 제약된 행동
발
- 긴 발 혹은 큰 발: 안전감의 욕구가 강함, 성적 요인과 관련(강한 남성성 혹은 거세 공포)
- 발의 생략: 제약감, 독립감 결여, 자율성 상실, 무력감 (아동의 경우: 수줍음, 공격성, 정서 장애)
- 작은 발: 불안전감, 제약, 의존
조망
- 회피, 과묵, 철수, 반항, 망상 등을 확인할 것
- 보통 이상의 지능을 가진 성인이 유치하게 머리를 그리면 심한 정도의 미숙함 혹은 퇴행적 경향, 혹은 상당한 정도의 불안을 경험하고 있음
- 머리카락을 지나치게 강조하면(혹은 가슴이나 얼굴의 털) 강한 성욕과 추구, 성적 집착, 성적 무력감에 대한 보상, 공격성, 위해 가능성, 자애적 경향
- 머리가 없을 때: 성적 부적절감, 정신분열증의 가능성, 정력의 쇠약
얼굴 특징
- 생략되었을 때: 정신병의 가능성, 피상적 대인관계, 환경에 대한 관심의 결여, 철수경향
- 얼굴이 지나치게 강조됨: 외모에 대한 지나친 관심, 공격적 지배적 행동
- 큰 눈(강조된 눈): 의심, 망상적 특징, 지나친 예민성, 사회적으로 활발함
- 작거나 감은 눔: 내성적, 자기에 대한 지나친 관심, 명상적
- 눈동자가 없는 얼굴: 철수적인 사람에게 있어서 내성적, 자기에 대한 지나친 관심, 모호한 지각 방식, 회피적 성격장애 시사(의사 소통의 곤란)
코: 성기의 상징 혹은 권력 욕구의 상징
- 큰 코(혹은 강조된): 성적 장애, 심리 성적 미성숙, 공격성
- 생략된 코: 수줍음, 철수, 우울한 성격, 거세불안
- 단추코 혹은 삼각형: 미성숙, 갈등이 있을 때 퇴행, 청소년이나 성인의 경우는 불안
- 그림자진 희미한 짤린 코: 거세불안
- 뾰쪽한 코: 행동화경향에 대한 뚜렷한 증거
입: 퇴행적 방어를 상징, 구강적 성격,
- 입이 강조되어 있을 때: 언어적 공격성, 의존적, 미성숙한 성격, 성적 곤란, 언어적 가학증, 우울하거나 원시적인 경향
- 입이 생략되어 있을 때: 구강적 공격성, 우울, 의사소통을 시작하기 어려움, 아동의 경우는 강박과 불안 혹은 수줍음, 철수, 우울
- 큐피드 화살 입(여자 그림에서) 노출 경향, 성적으로 조숙한 여자 청소년,
- 단일선에 미소 없는 입: 우울증
- 비스듬한 선으로 된 입: 언어적 공격성, 분노, 비판적, 가학적 경향
- 작은 입: 의존욕구의 부인
- 웃는 모습에 치아가 보일 때: 미성숙, 공격적 경향
귀
- 큰 귀: 비판에 지나치게 예민함, 관계 망상, 환청. 어른 그림에서 귀가 생략되는 일은 흔함
뺨
- 지나치게 강조된 빰: 공격적, 지배적 경향; 약한 느낌에 대한 보상적 경향
- 약하게 그려진 뺨: 사회적으로 빈약한 느낌. 신체적 혹은 심리적 무력감
목: 지성과 정서의 연결을 상징; 자아통제와 충동의 연결
- 강조된 목: 충동통제의 필요성에 관심
- 짧고 굵은 목: 고집스러움, 융통성 없음, 충동성, 충동통제의 욕구
- 긴 목: 지적인 생각과 감정을 분리하려는 경향
- 지나치게 길고 가는 목: 분열적, 정신병적 문제를 시사
- 생략된 목: 충동성 시사(10세 이상)
어깨
- 잘 그려진 어깨: 정상
- 넓은 어깨: 신체적 힘에 대한 욕구
- 어깨가 생략됨: 사고 장애
- 뾰쪽한 어깨: 행동화
- 좁은 어깨: 열등감
- 크거나 넓은 어깨: 공격성, 행동화, 지나친 방어; (여성의 경우) 성역할 혼미 혹은 남성적 저항
유방
- 남자가 큰 가슴을 그렸을 때: 정서적 미성숙; 어머니에 대한 의존
- 여자가 큰 가슴을 그렸을 때: 지배적 어머니와 동일시, 노출증, 자애적
허리선
- 굵은 허리선: 급성 성적 갈등
- 아주 높거나 낮은 허리선: 성적 경향을 완전히 봉쇄하거나 갈등을 경험하고 있음
- 지나치게 꽉 죄인 허리선(코르셋이 있음): 정서적 변동이 심함: 충동적, 성질을 잘 냄
- 정교한 벨트: 성적 집착 가능성, 합리화나 승화로 충동 통제
몸통: 기본적 욕구를 상징, 욕구의 발달과 통합과 관련된 태도
- 조각조각으로된 몸통: 심각한 성격분열(정신병 혹은 성격장애)
- 타원이나 직사각형의 몸통(성인): 퇴행, 심한 미성숙, 심한 불안 가능성
- 큰 몸통: 불만족된 욕구
- 길고 가는 몸통: 분열형(사회적 철수) 성격
- 뚱둥한(rounded) 몸통: 수동적, 여성적, 유아적, 퇴행적 성격
- 생략된 몸통(성인): 심한 장애
- 작은 몸통: 욕구의 부인, 열등감
성기: 그려졌을 때, 심각한 정신병리, 공격성(아동의 경우), 성적 집착과 호기심(청소년)
팔, 손, 손가락
팔: 대인관계의 특질, 환경과의 접촉 방식
- 이완되고 부드러운 팔: 정상
- akimbo: 자애적,지배적(으시댐)
- 등 뒤로 두른 팔: 사람 만나기를 거리는 편, 공격성, 적대감, 죄책감을 통제 할 필요성
- 팔짱낀 자세: 의심, 적대적 태도, 폭력충동을 통제하려는 시도, 수동적, 주장성 결여, 사회적 접촉을 삼감
- 가늘고 약하며 작은 팔, 혹은 움추린 팔: 부적절감, 비효율감
- 길고 강한 팔: 성취욕구, 육체적 힘의 필요성을 느낌, 환경과의 공격적 접촉
- 팔의 생략: 죄책감, 우울감, 부적절, 비효율, 수동성, 퇴행, 비효율감, 환경에 대한 불만, 강력한 철수 경향, 수동성
- 손이 밖으로 뻗어있을 때: 환경적, 대인관계적 접촉을 바람, 도움을 요청하려는 욕구
- 짧은 팔: 야심의 결여, 부적절감, 수동성
손
- 등위에 손을 숨겼을 때: 회피적 대인관계, 다른 사람에 대한 죄책감, 자위로 인한 죄책감,
- 큰 손: 부적절감에 대한 보상
- 작은 손: 무력감(Helplessness)
- 장갑과 같은 손: 억압된 공격성, 간접적으로 표현되는 공격성
- 주먹쥔 손: 공격성, 반항심, 분노를 억제하고 있음
- 손 없이 손가락만 있거나 큰 손가락: 퇴행 혹은 유아적인 공격적 폭력 경향
- 긴 손가락: 퇴행적 경향
- 손가락의 생략: 대인관계의 어려움, 자위로 인한 죄책감
- 뾰쪽한 손가락: 유아적, 원시적, 공격적, 적대적 행동화 경향, 때로 망상적 신체적 특징
다리: 다리와 발은 안전감의 상징,
- 꼬인 다리: 성적 접근에 대한 방어
- 긴 다리: 자율에 대한 강한 욕구와 추구
- 짧은 다리: 움직이기 싫어하거나 움직일 수 없음, 제약된 행동
발
- 긴 발 혹은 큰 발: 안전감의 욕구가 강함, 성적 요인과 관련(강한 남성성 혹은 거세 공포)
- 발의 생략: 제약감, 독립감 결여, 자율성 상실, 무력감 (아동의 경우: 수줍음, 공격성, 정서 장애)
- 작은 발: 불안전감, 제약, 의존
조망
- 회피, 과묵, 철수, 반항, 망상 등을 확인할 것
추천자료
목회자의 성격장애 유형과 치유 연구
반사회성 성격장애의 사례, 유형, 분류, 원인,특성, 문제점, 치료방안 레포트 (2007년 ★★★★★ ...
반사회성 성격장애의 특징과 원인 및 치료방안 (실제사례 포함)
[발달심리학][심리발달이론][현실과 인터넷공간 심리][청소년심리][비행청소년심리]발달심리...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성격장애
[정신건강론] 성격장애의 정의와 원인, 성격장애의 진단과 치료, 성격장애 분류(A군 성격장애...
대상관계이론에서 자기애성과 경계선 성격장애 병리적 현상에 대해서 _ 해밀턴(N. Gregory Ha...
[아동청소년이상심리 兒童靑少年異常心理] 놀이 심리치료의 개념 & 심리치료의 임상적 증...
[아동청소년이상심리 兒童靑少年異常心理] 아동과 청소년 정신보건 - 아동·청소년 정신질환, ...
성격장애란,성격장애의 유형,연극성 성격장애,자기애성 성격장애,성격 장애 치료,치료프로그램
최근 대두되고 있는 사회문제와 관련된 반사회적 성격장애에 대해 설명하시오
DSM-5를 기본으로 한 문헌이나 서적을 참고하여, B집단 성격장애 4가지{히스테리성 성격장애(...
성격장애의 특징과 종류(편집성 성격장애, 분열성 성격장애, 분열형 성격장애, 히스테리성 성...
[정신건강론]성격장애의 개념과 유형을 쓰고 그 원인과 증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