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진단과 평가에 의한 의사결정
3. 진단과 평가의 대상
4. 진단과 평가의 방법
5. 평가의 분류
2. 진단과 평가에 의한 의사결정
3. 진단과 평가의 대상
4. 진단과 평가의 방법
5. 평가의 분류
본문내용
검사 등
(4) 환경 영역
가정 환경 진단 검사, 교실 환경 검사, 어버이와 자녀 관계 검사 등
(5) 특수 목적 영역
특수교육 진단 검사, 정신지체 진단용 사회 성숙도 검사, 교사 자질 검사, 진로성향 검사, 임상용 신경 심리 검사, 문제행동 검사
(6) 종합적 영역
발달 검사, 준비도 검사, 종합 적응 검사
미국에서 발간 된 검사에 대한 자세한 열거는 Conoley와 Kramer(1989), Murphy et al. (1994)나 Sweetland et al. (1991)등을 참조하고, 국내의 표준화 검사 목록은 황정규외(발간중)나 김충기외(1995, p. 118-125)를 참고하도록 한다. 위에서 언급한 검사 영역들로는 현재까지 개발된 모든 검사들을 모두 분류할 수 없는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그러나 보다 포괄적이고 완벽한 검사 영역 분류체계가 출현하기 전에 잠정적으로나마 시도한 것이다. 검사 개발과 활용에 있어서 많은 관련 연구자가 이러한 영역 분류의 시도를 한다면, 보다 유용한 검사 영역 분류체계가 나타날 것이다.
2) 대상 연령
검사를 이해하기 위하여 쓰이는 또 하나의 분류 축으로 대상 연령을 들 수 있다. 특수 목적 검사인 경우, 생활연령보다는 정신연령에 입각하여 적용이 되지만, 대부분의 정상적인 상황하에서는 각 검사가 지향하는 연령대가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연령 구분은 영-유아기, 유치원 시기, 학령 초기(초등학교 등), 청소년기(중학교, 고등학교), 성인기로 나누어 볼 수 있지만, 이는 절대적이지 않고 융통성 있는 적용이 가능하다.
3) 집단-개인 검사
검사를 구분하는 중요한 분류의 형태로 개인검사와 집단검사로 나눌 수 있다. 개인검사와 집단검사의 차이는 확실하면서도 미묘하다. 첫째, 집단검사로 개발된 검사는 집단에게 실시할 수도 있고 개인에게 실시할 수 있다. 집단적으로 실시할 경우 피험자가 초등학교 3학년 보다 읽기 수준이 낮으면 실시에 따른 지시사항을 문자로 제시하지 않고 구두로 불러주는 것이 필요하다. 대량으로 실시하고 처리하는 간편성, 용이성과 실시자에 대한 전문적인 훈련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개인으로 실시하더라도 관찰이나 비형식적인 수준에서의 정보를 얻기 어렵다.
이에 반해 개인검사는 한사람의 피험자에게 특별히 훈련된 검사자가 실시하는 것이 특징이다. 피험자에게 질문을 하거나 어떤 과제를 부과하여 그 반응을 기록하는 것이다. 검사자는 검사실시의 순서와 시기를 조정할 수 있고, 표준화된 절차에 어긋나지 않는다면 의문나는 점을 명확히 하거나 다시 지시사항을 불러줄 수 있다. 또한 피험자의 상태가 최적이 아니고 피로나 과잉행동을 보일 경우 검사를 잠시 중단하거나 끝낼 수 있다. 많은 개인 검사들은 검사자가 피험자의 최대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노력을 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고 피험자의 강점과 약점을 유추할 수 있는 상당히 자세한 질적인 관찰이나 검사자의 의견을 함께 모을 수 있다.
개인검사와 집단검사 중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은 평가 정보의 활용과 실시에 따른 편이성에 좌우된다. 기본적으로 선발, 프로그램 평가 등에는 집단검사로도 적절히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처치프로그램에 정치, 의뢰되는 경우에는 개인검사가 보다 적합하다. 개인 검사를 실시하는데 따른 경제적, 시간적 비용은 상당히 높기 때문에 먼저 검평가보로 어떠한 의사결정을 할 것인가를 정하고 집단과 개인검사 각각의 장점을 고려하여 알맞은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6. 학습장애 평가
학습장애 아동들에게 검사를 시행하는 주된 목적은 물론 학습장애의 판별과 진단을 하기 위함이지만, 또 다른 중요한 목적은 학습장애로 추정되는 아동의 학습 상의 강점과 약점 또는 질병이나 장애를 파악하고, 취약점들을 가장 효과적으로 보강하고 교정해 줄 지 계획을 세우기 위한 것이다.
<표2> 학습장애아동의 진단과 평가를 위한 국내 검사들
영역
검사명
대상
제작자
및
제작처
발행처
제작
(개정)
년도
인지-
지능
고대-비네검사
4세∼14세
전용식
고대행동과학연구소
문천사
1970
(1971)
인지-
지능
인물화검사에 의한
간편지능검사
3세∼12세
김재은, 김동주, 여광응
교육과학사
1973
인지-
지능
유아아동용 그림지능검사
4∼7세
서봉연,정보인,최옥순
중앙적성출판사
1986
인지-
지능
KEDI-WISC
5세∼15세
한국교육개발원
도서출판 특수교육
1987
(1991)
인지-
지능
KWPPSI
3세∼7세
박혜원, 곽금주, 박광배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6
인지-
지능
MCAT-C
종합인지능력검사(A·B형)
만 4∼7세
송인섭,문정화,박정옥
학지사
1995
인지-
학습
기초학습기능검사
유아
∼초등6학년
박경숙, 윤점룡, 박효정
도서출판 특수교육
1989
영역
검사명
대상
제작자
및
제작처
발행처
제작
(개정)
년도
인지-
학습
언어학습능력진단검사
(ITPA)
3세∼8세
S. A. Kirk 외 공저
여광응, 윤점룡, 이근매 편역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1
(편역)
인지-
학습
학습준비도검사
(초등학교 입학선별검사 및 특수아동조기선별검사)
유치원
∼초등1년
김정권, 여광응
도서출판 특수교육
1987
적응능력
사회성숙도검사
유아∼성인
김승국, 김옥기
중앙적성출판사
1977
(1995)
적응능력
적응행동검사
30세 이하
김승국, 김태련
중앙적성출판사
1986
지각
시각운동통합발달검사(VMI)
유아
박화문, 구본권
도서출판특수교육
1990
지각
시지각발달검사(DTVP)
유아
∼초등1년
여광응
도서출판특수교육
1989
특수
이화-자페아동행동발달척도
자페아
정신지체아
기타장앵가
김태련, 박량규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2
운동-
지각
지각-운동발달진단검사
3∼11세
발달지체아
中司利一 외(공저)
박화문, 구본권(편역)
도서출판특수교육
1990
(편역)
성격-
지각
BGT
아동∼성인
이상로, 변창진, 이희도
중앙적성출판사
1974
종합-
발달
KISE 발달척도
0-18세
정대영 외
국립특수교육원
1994
종합-
발달
한국판
덴버발육선별검사(KDDST)
6세 이상
이근
이화여자대학교
동대문병원
1985
환경
가정환경 진단검사
중학생∼
성인
정원식
코리안테스팅센터
1699
(4) 환경 영역
가정 환경 진단 검사, 교실 환경 검사, 어버이와 자녀 관계 검사 등
(5) 특수 목적 영역
특수교육 진단 검사, 정신지체 진단용 사회 성숙도 검사, 교사 자질 검사, 진로성향 검사, 임상용 신경 심리 검사, 문제행동 검사
(6) 종합적 영역
발달 검사, 준비도 검사, 종합 적응 검사
미국에서 발간 된 검사에 대한 자세한 열거는 Conoley와 Kramer(1989), Murphy et al. (1994)나 Sweetland et al. (1991)등을 참조하고, 국내의 표준화 검사 목록은 황정규외(발간중)나 김충기외(1995, p. 118-125)를 참고하도록 한다. 위에서 언급한 검사 영역들로는 현재까지 개발된 모든 검사들을 모두 분류할 수 없는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그러나 보다 포괄적이고 완벽한 검사 영역 분류체계가 출현하기 전에 잠정적으로나마 시도한 것이다. 검사 개발과 활용에 있어서 많은 관련 연구자가 이러한 영역 분류의 시도를 한다면, 보다 유용한 검사 영역 분류체계가 나타날 것이다.
2) 대상 연령
검사를 이해하기 위하여 쓰이는 또 하나의 분류 축으로 대상 연령을 들 수 있다. 특수 목적 검사인 경우, 생활연령보다는 정신연령에 입각하여 적용이 되지만, 대부분의 정상적인 상황하에서는 각 검사가 지향하는 연령대가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연령 구분은 영-유아기, 유치원 시기, 학령 초기(초등학교 등), 청소년기(중학교, 고등학교), 성인기로 나누어 볼 수 있지만, 이는 절대적이지 않고 융통성 있는 적용이 가능하다.
3) 집단-개인 검사
검사를 구분하는 중요한 분류의 형태로 개인검사와 집단검사로 나눌 수 있다. 개인검사와 집단검사의 차이는 확실하면서도 미묘하다. 첫째, 집단검사로 개발된 검사는 집단에게 실시할 수도 있고 개인에게 실시할 수 있다. 집단적으로 실시할 경우 피험자가 초등학교 3학년 보다 읽기 수준이 낮으면 실시에 따른 지시사항을 문자로 제시하지 않고 구두로 불러주는 것이 필요하다. 대량으로 실시하고 처리하는 간편성, 용이성과 실시자에 대한 전문적인 훈련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개인으로 실시하더라도 관찰이나 비형식적인 수준에서의 정보를 얻기 어렵다.
이에 반해 개인검사는 한사람의 피험자에게 특별히 훈련된 검사자가 실시하는 것이 특징이다. 피험자에게 질문을 하거나 어떤 과제를 부과하여 그 반응을 기록하는 것이다. 검사자는 검사실시의 순서와 시기를 조정할 수 있고, 표준화된 절차에 어긋나지 않는다면 의문나는 점을 명확히 하거나 다시 지시사항을 불러줄 수 있다. 또한 피험자의 상태가 최적이 아니고 피로나 과잉행동을 보일 경우 검사를 잠시 중단하거나 끝낼 수 있다. 많은 개인 검사들은 검사자가 피험자의 최대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노력을 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고 피험자의 강점과 약점을 유추할 수 있는 상당히 자세한 질적인 관찰이나 검사자의 의견을 함께 모을 수 있다.
개인검사와 집단검사 중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은 평가 정보의 활용과 실시에 따른 편이성에 좌우된다. 기본적으로 선발, 프로그램 평가 등에는 집단검사로도 적절히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처치프로그램에 정치, 의뢰되는 경우에는 개인검사가 보다 적합하다. 개인 검사를 실시하는데 따른 경제적, 시간적 비용은 상당히 높기 때문에 먼저 검평가보로 어떠한 의사결정을 할 것인가를 정하고 집단과 개인검사 각각의 장점을 고려하여 알맞은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6. 학습장애 평가
학습장애 아동들에게 검사를 시행하는 주된 목적은 물론 학습장애의 판별과 진단을 하기 위함이지만, 또 다른 중요한 목적은 학습장애로 추정되는 아동의 학습 상의 강점과 약점 또는 질병이나 장애를 파악하고, 취약점들을 가장 효과적으로 보강하고 교정해 줄 지 계획을 세우기 위한 것이다.
<표2> 학습장애아동의 진단과 평가를 위한 국내 검사들
영역
검사명
대상
제작자
및
제작처
발행처
제작
(개정)
년도
인지-
지능
고대-비네검사
4세∼14세
전용식
고대행동과학연구소
문천사
1970
(1971)
인지-
지능
인물화검사에 의한
간편지능검사
3세∼12세
김재은, 김동주, 여광응
교육과학사
1973
인지-
지능
유아아동용 그림지능검사
4∼7세
서봉연,정보인,최옥순
중앙적성출판사
1986
인지-
지능
KEDI-WISC
5세∼15세
한국교육개발원
도서출판 특수교육
1987
(1991)
인지-
지능
KWPPSI
3세∼7세
박혜원, 곽금주, 박광배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6
인지-
지능
MCAT-C
종합인지능력검사(A·B형)
만 4∼7세
송인섭,문정화,박정옥
학지사
1995
인지-
학습
기초학습기능검사
유아
∼초등6학년
박경숙, 윤점룡, 박효정
도서출판 특수교육
1989
영역
검사명
대상
제작자
및
제작처
발행처
제작
(개정)
년도
인지-
학습
언어학습능력진단검사
(ITPA)
3세∼8세
S. A. Kirk 외 공저
여광응, 윤점룡, 이근매 편역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1
(편역)
인지-
학습
학습준비도검사
(초등학교 입학선별검사 및 특수아동조기선별검사)
유치원
∼초등1년
김정권, 여광응
도서출판 특수교육
1987
적응능력
사회성숙도검사
유아∼성인
김승국, 김옥기
중앙적성출판사
1977
(1995)
적응능력
적응행동검사
30세 이하
김승국, 김태련
중앙적성출판사
1986
지각
시각운동통합발달검사(VMI)
유아
박화문, 구본권
도서출판특수교육
1990
지각
시지각발달검사(DTVP)
유아
∼초등1년
여광응
도서출판특수교육
1989
특수
이화-자페아동행동발달척도
자페아
정신지체아
기타장앵가
김태련, 박량규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2
운동-
지각
지각-운동발달진단검사
3∼11세
발달지체아
中司利一 외(공저)
박화문, 구본권(편역)
도서출판특수교육
1990
(편역)
성격-
지각
BGT
아동∼성인
이상로, 변창진, 이희도
중앙적성출판사
1974
종합-
발달
KISE 발달척도
0-18세
정대영 외
국립특수교육원
1994
종합-
발달
한국판
덴버발육선별검사(KDDST)
6세 이상
이근
이화여자대학교
동대문병원
1985
환경
가정환경 진단검사
중학생∼
성인
정원식
코리안테스팅센터
1699
추천자료
[아동학습지도] 의존성 성격장애(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의 특징, 진단과 평가 및 치료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에 관한 고찰(주의력결핍과잉행...
발달 장애 아동 개별 학습 계획표
ADHD 아동의 이해와 지도(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진단, 원인, 치료, 지도 방법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ADHD의 개념과 특징, 현황, 원인, 진단 및 평가, 치료방법, A...
학습 장애 아동의 상담 지도 사례
학습 장애 아동의 상담 지도 사례
유야기,아동기,청소년기에 진단되는장애,배설장애,틱장애,섭식장애,행동장애
남북경협(남북경제협력) 지원체제(지원체계), 중소기업행정, 인터넷쇼핑몰 지원체제(지원체계...
[발달장애] PDD[전반적 발달장애] - 아동 OT 진단
[특수아동지도] 자폐성 장애의 진단기준과 치료
[아동청소년이상심리 兒童靑少年異常心理] 정신지체(지적장애) - 정신지체 원인, 정신지체 기...
[애착장애 진단의 평가] 낯선상황절차(SPP, 낯선상황실험), 성인애착면접(AAI), 놀이를 통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