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댄스 스포츠의 정의
*. 춤의 유래
*. 사회 문화적 효과
*. 에너지 이용의 생리학적 이해
*. APT의 무 산소적 생산과 유 산소적 생산
*. 뼈의 구조와 역할
*. 댄스 스포츠의 운동 효과
*. 한국에서의 댄스 스포츠 역사
*. 댄스 스포츠의 현재 역사
*. 볼륨댄스의 국제 기구 기능 및 현황
*. 국제 경기 규정 종목
*. 댄스 스포츠의 예절
*. 댄스 스포츠의 올바른 정립을 위하여
*. BALLROOM DANCE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용어
*. 춤의 유래
*. 사회 문화적 효과
*. 에너지 이용의 생리학적 이해
*. APT의 무 산소적 생산과 유 산소적 생산
*. 뼈의 구조와 역할
*. 댄스 스포츠의 운동 효과
*. 한국에서의 댄스 스포츠 역사
*. 댄스 스포츠의 현재 역사
*. 볼륨댄스의 국제 기구 기능 및 현황
*. 국제 경기 규정 종목
*. 댄스 스포츠의 예절
*. 댄스 스포츠의 올바른 정립을 위하여
*. BALLROOM DANCE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용어
본문내용
진하는 방향 백킹(Backing): 후진하는 방향
디시(DC): Diagonal to Center; LOD에서 중앙 쪽으로 1/8 좌회전한 방향
디더블유(DW): Diagonal to Wall; LOD 에서 벽쪽으로 1/8 우회전한 방향
어게인스트 엘오디(Against LOD): Against Line of Dance; 춤의 역방향 진행.
디시 어게인스트 엘오디(DC Against LOD): Against LOD에서 1/8 우회전 한 방향.
디더블유 어게인스트 엘오디(DW Against LOD): Against LOD에서 1/8 좌회전 한 방향.
포인팅(Pointing): 몸보다 발이 더 회전하는 상태를 Body turn less라 하며 이발의 위치를 Pointing이라 한다. 대체로 내측회전(inside of turn)에서 나타남.
*회전량(Amount of Turn)
1/8 - 45도 1/4 - 90도 3/8 - 135도 1/2 - 180도 1 - 360도
*발과 발 동작에 관한 용어
스텝(Step): 발의 움직임
휘이겨(Figure): 한 개 이상의 step이 모여 이루어진 복합 동작.
아말가메이션(Amalgamation): 둘 이상의 Figure가 모여서 이루어짐.
파트너(Partner): 함께 춤추는 상대방을 말함.
힐(Heel): 발의 뒤꿈치.
토(Toe): 발끝.
볼(Ball): Toe를 제외한 발의 앞부분.
인사이드 에지(Inside Edge): 발의 안쪽 부분.
포워드(Forward): 앞으로 Step 하는 것.
백(Back): 뒤로 Step 하는 것.
사이드(Side): 옆으로 Step 하는 것.
크로즈(Close): 체중이 있는 발에 붙이는 것(체중을 붙인 발에 옮겨야 함).
크로스(Cross): 체중이 있는 발의 앞에나 뒤에 교차되어 Step 하는 것.
락킹(Rocking): 진행없이 체중을 앞뒤로 옮기는 상태.
포인트(Point): 체중을 두지 않고 바닥에 Toe나 Heel을 대는 것(touch).
스위블(Swivel): 체중을 싣고서 회전할 때.
브라쉬(Brush): 체중이 없는 발이 체중이 얹힌 발(특히 무릅)을 스치고 지나가는 동작.
시비엠피(CBMP; Contrary Body Movement Position): 전진이나 후진하는 발이 몸의 회전 없이 체중이 실린 발의 일직선상에 위치한다. 그러나 PP Chasse 같은 경우에는 완전히 선을 넘어 교차되어 Step 함, 이를 across CBMP라고 한다.
*몸 동작에 관한 용어
시비엠(CBM; Contrary Body Movement): 회전하기 전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전진이나 후진할 때 Step하는 발의 반대편 몸이 척추를 중심으로 나아감. Natural Pivot 이나 Reverse Pivot 에는 강하게 CBM을 하여야 하며 전진할 때는 약간 Toe Turn Out이 되며 뒤로 Step할 때는 Toe Turn In이 됨.
레프트 또는 라잇 사이드 리드(Left or Right Side Lead): CBM의 반대임. 전진 혹은 후진할 때 Step하는 쪽의 몸도 함께 나아감. 보통 Out Side Partner하기 전에 이루어짐.
피봇(Pivot): 한발을 축으로하여 체중을 완전히 싣고 회전함. 체중이 없는 다리는 자연히 CBMP 상태가 됨 회전 양은 대채로 1/2이하임.
스핀(Spin): 일회전 이상의 회전을 말함. Spin Turn은 Pivot이 내재함.
아웃사이드 파트너(Out Side Partner): Partner 가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비스듬이(斜角) 있는 상태. 발은 CBMP.
얼라인먼트(Alignment): 발의 방향임, 몸의 방향과는 상관 없음.
디렉션(Direction): 진행할 때 발과의 관계를 말함 (예) Prominade Chasse 때 제일보는 발은 DW를 향하나 진행은 LOD로 나감. 주로 Tango 에서 많이 나타남.
스웨이(Sway): 몸이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으로 몸의 균형을 잡기 위하여 일어나는 동작, 회전할때 원의 안쪽으로 기울어짐. CBM이 있는 곳에는 Sway가 일어나지 않고 다음에 일어남. (예) Natural Turn의 1. CBM 2-3.에 Sway가 잃어남.
아웃사이드 오브 턴(Outside of Turn): 전진하는 발에 회전이 일어날 때 (예) Natural Turn의 1-2 1/4 회전하고 3에는 1/8 회전함. Foot Swivel은 Step 2에 일어 남.
인사이드 오브 턴(Inside of Turn): 후진하는 발에 모든 회전이 일어나며 발이 몸보다 더 회전하며 Foot Swivel은 일어나지 않는다. 그리고 이 발의 상태를 Pointing이라고 하며 몸의 상태를 Body turn less 라고 한다. (예) Natural Turn의 4-5
*포지션(Position)에 관한 용어
크로우즈 포지선(Close Position): 남녀가 마주 향하여 홀드(hold)한 모양으로 가벼운 몸의 접촉이 있으며 여자가 약간 남자의 오른쪽에 위치한다.
크로우즈드 포지선(Closed Position): Close Position에서 남녀가 약간 떨어저서 홀드한다.
프로미네이드 포지선(Promenade Position): 남자의 오른쪽옆구리와 여자의왼쪽 옆구리가 붙은 상태로 남녀가 V자 모양이됨.
활어웨이 포지선(Fallaway Position): Promenade Position에서 후진할 때를 말함
오픈 포지선(Open Position): 남녀가 마주보는 상태에서 떨어저 손을 잡고 있는 모양.
*리듬(Rhythm)과 타이밍(Timing)
리듬밍(Rhythming): 스로우(Slow)와 퀵(Quick)으로 불리는 것.
타이밍(Timing): 리듬(Rhythm)을 숫자로 부르는 것.
슬로우(slow): 두 개의 퀵(Q)이 모인 것, 두 박자임 Q + Q = + = 1 + 1
퀵(quick): 한 박자로 이루어짐. Q = = 1박
앤(&): 반 박자임. & = = 1/2박
아(a): &을 반으로 나눈 것임. a = = 1/4박
2/4 박자나(Tango. Samba. Paso Doble), 3/4(Waltz) 박자에서는 다름.
디시(DC): Diagonal to Center; LOD에서 중앙 쪽으로 1/8 좌회전한 방향
디더블유(DW): Diagonal to Wall; LOD 에서 벽쪽으로 1/8 우회전한 방향
어게인스트 엘오디(Against LOD): Against Line of Dance; 춤의 역방향 진행.
디시 어게인스트 엘오디(DC Against LOD): Against LOD에서 1/8 우회전 한 방향.
디더블유 어게인스트 엘오디(DW Against LOD): Against LOD에서 1/8 좌회전 한 방향.
포인팅(Pointing): 몸보다 발이 더 회전하는 상태를 Body turn less라 하며 이발의 위치를 Pointing이라 한다. 대체로 내측회전(inside of turn)에서 나타남.
*회전량(Amount of Turn)
1/8 - 45도 1/4 - 90도 3/8 - 135도 1/2 - 180도 1 - 360도
*발과 발 동작에 관한 용어
스텝(Step): 발의 움직임
휘이겨(Figure): 한 개 이상의 step이 모여 이루어진 복합 동작.
아말가메이션(Amalgamation): 둘 이상의 Figure가 모여서 이루어짐.
파트너(Partner): 함께 춤추는 상대방을 말함.
힐(Heel): 발의 뒤꿈치.
토(Toe): 발끝.
볼(Ball): Toe를 제외한 발의 앞부분.
인사이드 에지(Inside Edge): 발의 안쪽 부분.
포워드(Forward): 앞으로 Step 하는 것.
백(Back): 뒤로 Step 하는 것.
사이드(Side): 옆으로 Step 하는 것.
크로즈(Close): 체중이 있는 발에 붙이는 것(체중을 붙인 발에 옮겨야 함).
크로스(Cross): 체중이 있는 발의 앞에나 뒤에 교차되어 Step 하는 것.
락킹(Rocking): 진행없이 체중을 앞뒤로 옮기는 상태.
포인트(Point): 체중을 두지 않고 바닥에 Toe나 Heel을 대는 것(touch).
스위블(Swivel): 체중을 싣고서 회전할 때.
브라쉬(Brush): 체중이 없는 발이 체중이 얹힌 발(특히 무릅)을 스치고 지나가는 동작.
시비엠피(CBMP; Contrary Body Movement Position): 전진이나 후진하는 발이 몸의 회전 없이 체중이 실린 발의 일직선상에 위치한다. 그러나 PP Chasse 같은 경우에는 완전히 선을 넘어 교차되어 Step 함, 이를 across CBMP라고 한다.
*몸 동작에 관한 용어
시비엠(CBM; Contrary Body Movement): 회전하기 전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전진이나 후진할 때 Step하는 발의 반대편 몸이 척추를 중심으로 나아감. Natural Pivot 이나 Reverse Pivot 에는 강하게 CBM을 하여야 하며 전진할 때는 약간 Toe Turn Out이 되며 뒤로 Step할 때는 Toe Turn In이 됨.
레프트 또는 라잇 사이드 리드(Left or Right Side Lead): CBM의 반대임. 전진 혹은 후진할 때 Step하는 쪽의 몸도 함께 나아감. 보통 Out Side Partner하기 전에 이루어짐.
피봇(Pivot): 한발을 축으로하여 체중을 완전히 싣고 회전함. 체중이 없는 다리는 자연히 CBMP 상태가 됨 회전 양은 대채로 1/2이하임.
스핀(Spin): 일회전 이상의 회전을 말함. Spin Turn은 Pivot이 내재함.
아웃사이드 파트너(Out Side Partner): Partner 가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비스듬이(斜角) 있는 상태. 발은 CBMP.
얼라인먼트(Alignment): 발의 방향임, 몸의 방향과는 상관 없음.
디렉션(Direction): 진행할 때 발과의 관계를 말함 (예) Prominade Chasse 때 제일보는 발은 DW를 향하나 진행은 LOD로 나감. 주로 Tango 에서 많이 나타남.
스웨이(Sway): 몸이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으로 몸의 균형을 잡기 위하여 일어나는 동작, 회전할때 원의 안쪽으로 기울어짐. CBM이 있는 곳에는 Sway가 일어나지 않고 다음에 일어남. (예) Natural Turn의 1. CBM 2-3.에 Sway가 잃어남.
아웃사이드 오브 턴(Outside of Turn): 전진하는 발에 회전이 일어날 때 (예) Natural Turn의 1-2 1/4 회전하고 3에는 1/8 회전함. Foot Swivel은 Step 2에 일어 남.
인사이드 오브 턴(Inside of Turn): 후진하는 발에 모든 회전이 일어나며 발이 몸보다 더 회전하며 Foot Swivel은 일어나지 않는다. 그리고 이 발의 상태를 Pointing이라고 하며 몸의 상태를 Body turn less 라고 한다. (예) Natural Turn의 4-5
*포지션(Position)에 관한 용어
크로우즈 포지선(Close Position): 남녀가 마주 향하여 홀드(hold)한 모양으로 가벼운 몸의 접촉이 있으며 여자가 약간 남자의 오른쪽에 위치한다.
크로우즈드 포지선(Closed Position): Close Position에서 남녀가 약간 떨어저서 홀드한다.
프로미네이드 포지선(Promenade Position): 남자의 오른쪽옆구리와 여자의왼쪽 옆구리가 붙은 상태로 남녀가 V자 모양이됨.
활어웨이 포지선(Fallaway Position): Promenade Position에서 후진할 때를 말함
오픈 포지선(Open Position): 남녀가 마주보는 상태에서 떨어저 손을 잡고 있는 모양.
*리듬(Rhythm)과 타이밍(Timing)
리듬밍(Rhythming): 스로우(Slow)와 퀵(Quick)으로 불리는 것.
타이밍(Timing): 리듬(Rhythm)을 숫자로 부르는 것.
슬로우(slow): 두 개의 퀵(Q)이 모인 것, 두 박자임 Q + Q = + = 1 + 1
퀵(quick): 한 박자로 이루어짐. Q = = 1박
앤(&): 반 박자임. & = = 1/2박
아(a): &을 반으로 나눈 것임. a = = 1/4박
2/4 박자나(Tango. Samba. Paso Doble), 3/4(Waltz) 박자에서는 다름.
추천자료
사교댄스
밸리댄스에 대하여
댄스댄스댄스(무라카미 하루키)를 읽고
포스트 모던댄스의 한국적 수용의 과제
더티댄싱과 쉘위댄스 영화감상문
생활무용과 재즈댄스
쉘위댄스 감상문
댄스 댄스 댄스 REMIX(타이핑 레슨)를 읽고나서
[모던댄스][현대춤]현대무용(모던댄스, 현대춤)의 특징과 전개, 현대무용(모던댄스, 현대춤)...
[교육활동][교수학습활동][수업활동][학습활동]바른행동교육활동, 인성교육활동, 독서교육활...
[동작, 스트레칭 동작, 일상생활 동작, 달리기 동작, 춤(댄스) 동작, 스트레칭, 일상생활, 달...
재즈댄스(Jazz Dance)의 역사와 종류 및 가치
에어로빅댄스의 본질 탐구
(취미와예술 B형) 독립영화 댄스타운 감상문-영화의 제작진, 내용 등 개요 간략히 정리, 상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