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거등왕
2.마품왕
3.거즐미왕
4.이시품왕
5.좌지왕
6.취희왕
7.질지왕
8.겸지왕
9.구형왕
2.마품왕
3.거즐미왕
4.이시품왕
5.좌지왕
6.취희왕
7.질지왕
8.겸지왕
9.구형왕
본문내용
있다.- 왕비는 분즐수이
즐의 딸 계화로, 세 아들을 낳았는데 첫째는 세종각간, 둘째는 무도각간, 셋째는 무득
각간이다. 개황록에 보면,
'양의 무제 중대통 4년 임자(532)에 신라에 항복했다.'
고 했다.
논평하여 본다. 삼국사를 살펴보건대, 구형왕은 양의 무제 중대통 4년 임자에 땅
을 바쳐 신라에 항복했다고 했다. 그렇다면 처음 수로왕이 즉위한 동한(東漢)의 건무
18년 임인(42)으로부터 구형왕 말년 임자(532)까지를 계산하면 490년이 된다. 만약 이
기록으로 살펴본다면 땅을 바친 것은 원위(元魏)보정 2년 임오(562)에 해당한다. 그런
까닭에 30년을 더하게 되면 도합 520년이나 되는 셈이다. 여기에 두 설을 다 적어 둔
다.-법흥왕 10년(532)의 일이니 490년의 계산이 맞다.-
즐의 딸 계화로, 세 아들을 낳았는데 첫째는 세종각간, 둘째는 무도각간, 셋째는 무득
각간이다. 개황록에 보면,
'양의 무제 중대통 4년 임자(532)에 신라에 항복했다.'
고 했다.
논평하여 본다. 삼국사를 살펴보건대, 구형왕은 양의 무제 중대통 4년 임자에 땅
을 바쳐 신라에 항복했다고 했다. 그렇다면 처음 수로왕이 즉위한 동한(東漢)의 건무
18년 임인(42)으로부터 구형왕 말년 임자(532)까지를 계산하면 490년이 된다. 만약 이
기록으로 살펴본다면 땅을 바친 것은 원위(元魏)보정 2년 임오(562)에 해당한다. 그런
까닭에 30년을 더하게 되면 도합 520년이나 되는 셈이다. 여기에 두 설을 다 적어 둔
다.-법흥왕 10년(532)의 일이니 490년의 계산이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