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목차
I. 서 론
II. 아동방임의 이론적 고찰
III. 방임아동 보호서비스의 생태학적 모델
IV. 방임아동을 위한 전문사회사업적 개입
V. 결 론
참고문헌
II. 아동방임의 이론적 고찰
III. 방임아동 보호서비스의 생태학적 모델
IV. 방임아동을 위한 전문사회사업적 개입
V.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책에 관한 세미나 보 고서』, 한국어린이재단, 1988.
2. 곽영숙·홍강의, "아동학대의 개념과 원인", 『정신건강연구』, 한양대학교 정신건강연구 소, 1987.
3. 곽영숙·홍강의, "아동학대의 개념과 원인", 『아동학대』, 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 1989.
4. 권은주, "아동학대의 원인과 대책에 관한 고찰",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77.
5. 김광일·고복자, "한국에서의 아동학대의 발생률", 『아동학대』, 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 1989.
6. 김기환, "아동학대의 세대간 전승을 단절시키는 생태학적 변인 연구", 『연세사회복지연 구』, 제2권, 1995.
7. 김석산, "육아시설아동의 입소원인분석을 통한 이들의 가정복귀가능성에 관한 연구", 숭 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8. 김혜영, "아동학대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가출아동과 일반아동간의 비교",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90.
9. 변화순, "영세지역 취업모의 자녀방치와 대책", 『아동학대』, 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 1989.
10. 송성자, "가정에서 버려진 아이들: 방임아동에 대한 임상적 접근에 관한 연구", 『한국 아동복지학』, 한국아동복지학회, 1993.
11. 이배근, "아동학대예방 및 치료사업", 『아동복지증진을 위한 새로운 방향모색』, '94 한국아동복지학회 제 5회 학술대회 자료집, 1994.
12. 이소희, "아동학대 확인을 위한 가정환경분석 연구", 숙명여대 박사학위논문, 1989.
13. 이종복·이배근, 『아동학대의 원인과 대책』, 홍익제, 1997.
14. 전유자, "한국 청소년의 가출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82.
15. 표갑수, "아동학대의 원인론과 그 대처방안", 『한국아동복지학』, 한국아동복지학회, 1993.
16. 홍강의, "아동구타의 대책과 예방", 『가정폭력』, 김광일 편저, 탐구당, 1988.
17. 황영희, "결혼만족도와 아동학대의 상관관계 연구", 숙명여대 석사학위논문, 1987.
18. Baily, Thelma Falk & Baily, Walter Hampton, Child Welfare Practice, Jossey-Bass Publisher, 1983.
19. Bowlby, John, Child Care and the Growth of Love, 2nd ed., Middlesex, England: Penguin Books, 1965.
20. Darmstadt, G. L., "Community-based Child Abuse Prevention", Social Work, 35(6), 1990.
21. Denholm, Carey, Roy Ferguson & Alan Pence ed., Professional Child and Youth Care: The Canadian Perspective, Uni. of British Columbia Press, Vancouver, 1987.
22. Faller, K. C., Social Work with Abused and Neglected Children, N. Y., Free Press, 1981.
23. Gustavsson, Nora S. & Segal, Elizabeth A., Critical Issues in Child Welfare, Sage Publications Inc., 1994.
24. Kadushin, A. & Martin, J. A., Child Welfare Services, Macmillan Publishing Co., 1988.
25. Kaufman, J. & Mannarino, A., Evaluation of Child Maltreatment, N. Y. Wiley, 1995.
26. Kempe, C. H. & Helfer, R. E., Helping the Battered Child & His Family, Philadelphia: J. B. Lippinott Co., 1972.
27. Kempe, Ruth S. & Kempe, C. Henry, Child Abuse, Harvard Uni. Press, 1978.
28. Korbin, Jill E., Child Abuse & Neglect: Cross-Cultural Perspectives, Uni. of California Press, 1981.
29. Laird, Joan & Hartman, Ann, A Handbook of Child Welfare, The Free Press, 1985.
30. Lujan, Carol, Lemyra DeBruyn, Philip & Bird Michael, "Profile of Abused and Neglected American Indian Children in the Southwest", Child Abuse and Neglect: The International Journal, Vol. 13, No. 4, New York, Pergamon Press, 1989. 31. Macgowan, Brenda G. & Meezan William, Child Welfare, F. E. Peacock Publisher Inc., 1983.
32. Phillari, Vimala, Scapegoating in Families: Intergenerational Patterns of Physical and Emotional Abuse, New York, Brunner Mazel Publishers, 1991.
33. Piction, C. & Boss, P., Child Welfare in Australia: An Introduction Syney, Harcount Brace Iovanich Group(Australia), Pty Limited, 1981.
34. Zastrow, Charles,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he Dorsey Press, 1982.
35. Zigler, Edward F. eds., Children, Families and Government, The Press Syndicate of The Uni. of Cambridge, 1996.
2. 곽영숙·홍강의, "아동학대의 개념과 원인", 『정신건강연구』, 한양대학교 정신건강연구 소, 1987.
3. 곽영숙·홍강의, "아동학대의 개념과 원인", 『아동학대』, 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 1989.
4. 권은주, "아동학대의 원인과 대책에 관한 고찰",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77.
5. 김광일·고복자, "한국에서의 아동학대의 발생률", 『아동학대』, 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 1989.
6. 김기환, "아동학대의 세대간 전승을 단절시키는 생태학적 변인 연구", 『연세사회복지연 구』, 제2권, 1995.
7. 김석산, "육아시설아동의 입소원인분석을 통한 이들의 가정복귀가능성에 관한 연구", 숭 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8. 김혜영, "아동학대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가출아동과 일반아동간의 비교",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90.
9. 변화순, "영세지역 취업모의 자녀방치와 대책", 『아동학대』, 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 1989.
10. 송성자, "가정에서 버려진 아이들: 방임아동에 대한 임상적 접근에 관한 연구", 『한국 아동복지학』, 한국아동복지학회, 1993.
11. 이배근, "아동학대예방 및 치료사업", 『아동복지증진을 위한 새로운 방향모색』, '94 한국아동복지학회 제 5회 학술대회 자료집, 1994.
12. 이소희, "아동학대 확인을 위한 가정환경분석 연구", 숙명여대 박사학위논문, 1989.
13. 이종복·이배근, 『아동학대의 원인과 대책』, 홍익제, 1997.
14. 전유자, "한국 청소년의 가출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82.
15. 표갑수, "아동학대의 원인론과 그 대처방안", 『한국아동복지학』, 한국아동복지학회, 1993.
16. 홍강의, "아동구타의 대책과 예방", 『가정폭력』, 김광일 편저, 탐구당, 1988.
17. 황영희, "결혼만족도와 아동학대의 상관관계 연구", 숙명여대 석사학위논문, 1987.
18. Baily, Thelma Falk & Baily, Walter Hampton, Child Welfare Practice, Jossey-Bass Publisher, 1983.
19. Bowlby, John, Child Care and the Growth of Love, 2nd ed., Middlesex, England: Penguin Books, 1965.
20. Darmstadt, G. L., "Community-based Child Abuse Prevention", Social Work, 35(6), 1990.
21. Denholm, Carey, Roy Ferguson & Alan Pence ed., Professional Child and Youth Care: The Canadian Perspective, Uni. of British Columbia Press, Vancouver, 1987.
22. Faller, K. C., Social Work with Abused and Neglected Children, N. Y., Free Press, 1981.
23. Gustavsson, Nora S. & Segal, Elizabeth A., Critical Issues in Child Welfare, Sage Publications Inc., 1994.
24. Kadushin, A. & Martin, J. A., Child Welfare Services, Macmillan Publishing Co., 1988.
25. Kaufman, J. & Mannarino, A., Evaluation of Child Maltreatment, N. Y. Wiley, 1995.
26. Kempe, C. H. & Helfer, R. E., Helping the Battered Child & His Family, Philadelphia: J. B. Lippinott Co., 1972.
27. Kempe, Ruth S. & Kempe, C. Henry, Child Abuse, Harvard Uni. Press, 1978.
28. Korbin, Jill E., Child Abuse & Neglect: Cross-Cultural Perspectives, Uni. of California Press, 1981.
29. Laird, Joan & Hartman, Ann, A Handbook of Child Welfare, The Free Press, 1985.
30. Lujan, Carol, Lemyra DeBruyn, Philip & Bird Michael, "Profile of Abused and Neglected American Indian Children in the Southwest", Child Abuse and Neglect: The International Journal, Vol. 13, No. 4, New York, Pergamon Press, 1989. 31. Macgowan, Brenda G. & Meezan William, Child Welfare, F. E. Peacock Publisher Inc., 1983.
32. Phillari, Vimala, Scapegoating in Families: Intergenerational Patterns of Physical and Emotional Abuse, New York, Brunner Mazel Publishers, 1991.
33. Piction, C. & Boss, P., Child Welfare in Australia: An Introduction Syney, Harcount Brace Iovanich Group(Australia), Pty Limited, 1981.
34. Zastrow, Charles,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he Dorsey Press, 1982.
35. Zigler, Edward F. eds., Children, Families and Government, The Press Syndicate of The Uni. of Cambridge, 1996.
추천자료
(아동복지) 아동학대 문제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선방안 - 2007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 아...
아동학대의 개념, 원인, 실태, 현황, 문제점 및 학대 아동에 대한 복지방안과 아동보호서비스...
아동복지>> 아동학대의 원인과 대처방안과 예방 - 아동학대 개념, 현황, 대처방안 등
[아동학대]아동학대에 대한 아동복지법의 향후과제A+
매스컴을 통한 아동학대의 실태사례를 예로 들어 본인이 생각하는 아동학대 예방대책과 아동...
아동복지실천 대상별 중(학대아동, 보육아동, 장애아동, 한부모가정아동, 입양아동) 한 분야...
우리 주변에서 무심결에 일어날 수 있는 아동학대에 대한 사례를 살펴보고 왜 그러한 행위가 ...
아동학대 보호대책 및 아동보호전문기관 과 아동학대 예방프로그램에 관하여 알아보자
아동학대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 설명하고 요즘 우리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아동학대의 사례...
<<아동복지>> 아동학대의 원인을 제시하고, 아동학대 예방을 위해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
(아동학대 예방교육 프로그램) 아동, 보육교사,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아동학대 ...
장애아동을 교육할 때 문제행동 수정을 지도함에 있어 강제적인 힘을 사용하는 것이 아동학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