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교육에서 성평등에 관한 논의
(1)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성역할 사회화에 관한 연구
(2) 교육에서 성평등 실현을 위한 정책적 제안 연구
Ⅲ. 체육에서의 여성연구
(1) 혼성학급, 동등한 기회제공을 통한 성 평등 실현에 대한 방안 연구
(2) 학생의 교과 선호도와 참여유형에 관한 연구
(3) 교과내용과 성에 관한 연구
(4) 체육에서 성평등 실현을 위한 정책적 대안 연구
(5) 교사와 학생간에 발생하는 성불평등 상호작용 연구
Ⅳ. 성평등 체육교육의 실현 방안
(1) 체육수업의 상황 개선방안
(2) 교사교육의 개선 방안
(3) 학교체육의 성중립성 확립 방안
(4) 여성 연구 활성화와 연구접근의 개선 방안
참고문헌
Ⅱ. 교육에서 성평등에 관한 논의
(1)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성역할 사회화에 관한 연구
(2) 교육에서 성평등 실현을 위한 정책적 제안 연구
Ⅲ. 체육에서의 여성연구
(1) 혼성학급, 동등한 기회제공을 통한 성 평등 실현에 대한 방안 연구
(2) 학생의 교과 선호도와 참여유형에 관한 연구
(3) 교과내용과 성에 관한 연구
(4) 체육에서 성평등 실현을 위한 정책적 대안 연구
(5) 교사와 학생간에 발생하는 성불평등 상호작용 연구
Ⅳ. 성평등 체육교육의 실현 방안
(1) 체육수업의 상황 개선방안
(2) 교사교육의 개선 방안
(3) 학교체육의 성중립성 확립 방안
(4) 여성 연구 활성화와 연구접근의 개선 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최의창(1996). 스포츠교육학의 발전과 과제.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50주년 기념 학술대회. 81-105
강신복, 최의창(1997). 스포츠 교육학 연구의 발전과 전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4(2). 29-54
곽윤숙(1997). 학교 지식에 대한 페미니스트적 논의. 교육사회학 연구. 7(2). 54-67
권순정·곽은창(1999). 중학생의 남녀공학 체육수업 형태의 선호도와 체육활동에 관한 자아개념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6(2). 13-27
김아영(1999). 교사와 학생의 성역할태도 분석과 중등교사의 성평등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은실(1998). 대중문화와 성적 주체로서의 여성의 재현. 한국여성학. 14(1). 42-77
김현우(1996). 학생들의 경험과 목소리로 엮은 여성교육학. 교육과학연구. 37-61
문호준(1996). 학교체육의 잠재적 교육과정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3(2), 83-98.
문호준·이재정(1996). 체육교사 사회화 연구: 패러다임적 이해.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3(2). 13-27
박명기·이문수(1999). 간이축구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한 초등학생의 남녀평등 인식 변화.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6(2). 43-56
배미해(2000). 양성 평등적 관점에서 본 혼성 체육수업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배은경(1999). 여성의 몸과 정체성. 새 여성학 강의. 한국여성연구소. 서울: 동녘
범윤경(1998). 학교교육과 성평등의 관련 탐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오욱환(1996). 학교교육. 여성 그리고 계층 : 그 딜레마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접근. 학교교육과 불평등 : 교육사회학 논문묶음 Ⅰ, 오욱환(편저). 서울 : 교육과학사
오재림(1998). 중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탐색. 한국여성학. 14(2) 35-61
원영신·정희준(1999). 페미니즘과 여성스포츠. 한국여성체육학회지. 13(2). 223-237
이영국(1999).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성평등 상호작용유형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옥선(1996). 초등학생의 체육수업 참여유형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효진(1996). 초등학교 초임 체육지도교사의 교직사회화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3(2). 29-38
조순묵(1998). 수업반성을 통한 초등교사의 체육교수활동 변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최의창(1996). 체육교육과정 탐구. 태근문화사
최의창(2001). 체육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발전, 현황, 전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8(1). 25-58
홍원택·곽은창(2000). 여고생의 체육수업 인식에 관한 주요사건 기록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7(2). 61-74
Arnot, M. & G. Weiner(1987). Gender and the Politics of Schooling. London : Unwin Hyman.
Catherine D. Ennis, Donetta J. Cothran, Keren S. Davidson, Susan J. Loftus, Lynn Owens, Lisa Swanson, and Peter Hopsicker(1997). Implementing Curriculum Within a Context of Fear and Disengagement.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17. 52-71
Griffin, P. (1983). Gymnastic is a girl's thing: Student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patterns in a middle school gymnastics unit. In T. Templin & J. Olson(Eds.), CIC Big Ten symposium research on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pp. 71-85). Champaign, IL: Human Kinetics
Griffin, P. (1984). Girl's participation patterns in middle school team sport unit.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4(1), 30-38
Griffin, P. (1985). Teacher's perceptions of and responses to sex equity problems in a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56, 103-110
Kate R. Barrett & Adrian P. Turner(2000). Sandy's Challenge: New Game, New Paradigm.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2000. 19. 162-181
Lynda M. Nilges(1998). I Thought Only Fairy Tales Had Supernatural Power: A Radical Feminist Analysis of Title Ⅸ in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1998. 17. 172-194
Niki Tsangaridou & O'Sullivan(1997). The Role of Reflection in Shap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ducational Values and Practices.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17. 2-25
Peter A. Hastie(1998). The Participation and Perception of Girls Within a Unit of Sport Education.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17. 157-171
강신복, 최의창(1997). 스포츠 교육학 연구의 발전과 전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4(2). 29-54
곽윤숙(1997). 학교 지식에 대한 페미니스트적 논의. 교육사회학 연구. 7(2). 54-67
권순정·곽은창(1999). 중학생의 남녀공학 체육수업 형태의 선호도와 체육활동에 관한 자아개념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6(2). 13-27
김아영(1999). 교사와 학생의 성역할태도 분석과 중등교사의 성평등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은실(1998). 대중문화와 성적 주체로서의 여성의 재현. 한국여성학. 14(1). 42-77
김현우(1996). 학생들의 경험과 목소리로 엮은 여성교육학. 교육과학연구. 37-61
문호준(1996). 학교체육의 잠재적 교육과정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3(2), 83-98.
문호준·이재정(1996). 체육교사 사회화 연구: 패러다임적 이해.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3(2). 13-27
박명기·이문수(1999). 간이축구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한 초등학생의 남녀평등 인식 변화.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6(2). 43-56
배미해(2000). 양성 평등적 관점에서 본 혼성 체육수업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배은경(1999). 여성의 몸과 정체성. 새 여성학 강의. 한국여성연구소. 서울: 동녘
범윤경(1998). 학교교육과 성평등의 관련 탐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오욱환(1996). 학교교육. 여성 그리고 계층 : 그 딜레마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접근. 학교교육과 불평등 : 교육사회학 논문묶음 Ⅰ, 오욱환(편저). 서울 : 교육과학사
오재림(1998). 중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탐색. 한국여성학. 14(2) 35-61
원영신·정희준(1999). 페미니즘과 여성스포츠. 한국여성체육학회지. 13(2). 223-237
이영국(1999).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성평등 상호작용유형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옥선(1996). 초등학생의 체육수업 참여유형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효진(1996). 초등학교 초임 체육지도교사의 교직사회화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3(2). 29-38
조순묵(1998). 수업반성을 통한 초등교사의 체육교수활동 변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최의창(1996). 체육교육과정 탐구. 태근문화사
최의창(2001). 체육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발전, 현황, 전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8(1). 25-58
홍원택·곽은창(2000). 여고생의 체육수업 인식에 관한 주요사건 기록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7(2). 61-74
Arnot, M. & G. Weiner(1987). Gender and the Politics of Schooling. London : Unwin Hyman.
Catherine D. Ennis, Donetta J. Cothran, Keren S. Davidson, Susan J. Loftus, Lynn Owens, Lisa Swanson, and Peter Hopsicker(1997). Implementing Curriculum Within a Context of Fear and Disengagement.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17. 52-71
Griffin, P. (1983). Gymnastic is a girl's thing: Student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patterns in a middle school gymnastics unit. In T. Templin & J. Olson(Eds.), CIC Big Ten symposium research on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pp. 71-85). Champaign, IL: Human Kinetics
Griffin, P. (1984). Girl's participation patterns in middle school team sport unit.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4(1), 30-38
Griffin, P. (1985). Teacher's perceptions of and responses to sex equity problems in a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56, 103-110
Kate R. Barrett & Adrian P. Turner(2000). Sandy's Challenge: New Game, New Paradigm.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2000. 19. 162-181
Lynda M. Nilges(1998). I Thought Only Fairy Tales Had Supernatural Power: A Radical Feminist Analysis of Title Ⅸ in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1998. 17. 172-194
Niki Tsangaridou & O'Sullivan(1997). The Role of Reflection in Shap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ducational Values and Practices.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17. 2-25
Peter A. Hastie(1998). The Participation and Perception of Girls Within a Unit of Sport Education.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17. 157-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