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사회봉사활동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사회봉사활동에 관한 이론적 접근
1. 자원봉사 및 사회봉사의 개념
2. 자원봉사활동의 필요성

Ⅲ. 대학 사회봉사활동의 의의와 방법
1. 대학 사회봉사활동의 의의
2. 대학 사회봉사활동의 방법
3. 외국대학의 사회봉사활동

Ⅳ. 상지대학 사회봉사활동의 실제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2. 사회봉사 관련 교과목에 대한 평가
3. 상지대생들의 자원봉사 활동 현황
4.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의견

Ⅴ. 결론 : 상지대학 사회봉사활동의 활성화 방안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타인과 조화롭게 살아가는 방법을 배우게 하는 등 개인적으로도 매우 유익한 경험을 제공해 주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상지대학의 '인간과 복지' 교과목이 사회봉사 교과목으로서 체계를 갖추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상지대생들의 봉사활동 시간이 타 대학에 비해 짧고 학습과 연계된 사회봉사 처 발굴이 제대로 되지 않으며, 사회봉사를 어디서 어떻게 해야 될지 필요한 정보를 제대로 제공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상지대학이 지역사회 봉사, 사회 지도자적 인재의 양성이라는 대학으로서의 소명을 다하기 위해서는 그 주요 방법으로 사회봉사활동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그 첫 번째 과제는 '인간과 복지'(또는 다른 교과목 명칭으로) 교과목을 사회봉사 교과목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할 것이다. 이미 이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의 93.4%가 교양 필수 또는 교양 선택과목이 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고 또 과반수 이상의 학생은 '교양 필수' 교과목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두 번째, 대학의 사회봉사 전담기구의 설치를 검토해 보아야 할 것이다. 사회봉사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는 대학의 대부분은 별도 조직의 사회봉사센터를 운영하고 있거나 아니면 학생처 등에 전담 직원을 배치해 관리하고 있다. 앞에서 대학 사회봉사센터의 필요성을 살펴보았지만 사회봉사교과목은 다른 교과목과는 성격이 다르며 또 외부 기관 특히 지역사회 기관 및 단체, 사회복지 전문기관 등과의 지속적인 연계 속에서 교과목을 효과적으로 진행시켜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조직 또는 최소한 전담부서는 있어야 할 것이다.
세 번째, 대학생들의 사회봉사활동이 사회적으로나 개인적으로 많은 이익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회봉사 처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 상지대생들이 자원봉사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곳은 대부분이 노인시설, 장애인시설, 육아시설 등의 사회복지시설이며 이곳에서의 봉사활동도 단순한 노력봉사인 경우가 많다. 이 경우 개인적으로 어려운 사람을 도울 수 있었다는 보람을 가질 수도 있으나 개인적 자질을 향상시키거나 직업 탐구를 하는 등의 도움을 받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사회봉사활동이 자기계발의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도록 대학생들의 전공, 특기 등을 살리는 봉사활동을 개발하고 또 지역사회 연구사업, 환경보존 사업 등 중고등학생이나 주부 자원봉사자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보다 전문화된 영역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네 번째, 학생들이 봉사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학교측의 인센티브제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봉사활동은 그 자체로도 충분한 가치를 가지고 있고, 또 교과목과 연계하여 봉사활동을 학습의 연장선상에서 실시하고 있지만 이외 자원봉사자 표창, 우수 자원봉사자에 대한 장학금, 자원봉사자 축제 등의 방법으로 활성화시키는 것 또한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자원봉사활동을 학생들의 자발적 선택으로 남겨 놓는 일은 이제 우리 사회에서도 낡은 사고방식에 속하게 되었다.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해석과 유용성이 시대에 따라 변하게 되었고 21세기의 제 3섹터로 부상되는 자원봉사영역을 수동적으로 이해해서는 21세기 대학의 반열에 올라서기가 어렵고 21세기 지도자를 배출하기도 어렵게 될 것이다. 이제 대학은 캠퍼스 중심 사고에서 벗어나 탈캠퍼스 사고를 갖고 지역사회 공동체 성격인 콤버시티(comversity)로서 기능해야 한다는 시대적 사명을 생각해야 할 때이다.
< 참 고 문 헌 >
김남순, [사회 자원봉사활동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1997
김동배, 조학래, [청소년 자원봉사의 길잡이], 동인, 1996
김명철 외, [대학생 사회봉사 핸드북], 성공회대학교출판부, 1995
김영호, [자원복지활동의 활성화 방법], 학문사, 1997
김종량, "대학의 실용학풍과 사회봉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과 사회봉사], 학술세미나 자료집, 1996
문진영, "자원봉사의 기초적 이해", 김명철 외, [대학생 사회봉사 핸드북], 성공회대학교출판부, 1995
삼성사회봉사단, [자원봉사의 이해와 활동 방법], 1996
이가옥, "성공회대학교의 사회봉사실천", 김명철 외, [대학생 사회봉사 핸드북], 성공회대학교출판부, 1995
이강현, "미국대학의 사회봉사", [대학의 사회봉사], 제 1회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심포지엄 자료집,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1996
장현, [대학사회봉사론], 형설출판사, 1998
주성수, "대학의 사회봉사센터의 운영과 대학생의 지역사회 봉사활동", [대학의 사회봉사], 제 1회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심포지엄 자료집,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1996
최일섭, [미국의 자원봉사 유래와 현황], 한국사회복지관협회, 1996
최일섭, 임현진, 김혜란, [서울대학교 사회봉사활동 추진 방안],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ㆍ사회발전연구소, 1997. 2.
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 [대학봉사], 1998년 봄호
현외성, 조추용, 박차상, [대학사회봉사론], 유풍출판사, 1998
大阪ボランテイア協會 ■[ボランテイアハンドブツ久], 東京: 全國社會福祉協議會, 1980, in 양창삼, "사회봉사의 철학과 기능", 한양대학교사회봉사단 편, [대학의 사회봉사], 한양대학교출판원, 1995
NASW(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Encylopedia of Social Work, 18th ed., Silver Spring, Maryland: NASW, 1987
Francies, G. F., The Volunteer Needs Profile, Greenbay, Wisconsin: Univ. of Wisconsin, 1982 in 조휘일, '한국 사회복지분야의 자원봉사 행동과 관련된 개인 및 조직특성에 관한 연구", 숭실대 박사학위논문, 1991
Kammer, R. M., Voluntary Agencies in the Welfare State, L.A.: Univ. of California Press, 1981 in 최일섭, 류진석, [지역사회복지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2.09.06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26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