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우리 나라 주요 수출입구조의 문제점
2. 우리 나라의 연도별 수출입추이
3. 우리 나라의 지역별 수출입추이
4.우리 나라의 주요 수출품목
1) 반도체산업
2) 철강산업
5. 우리 나라의 주요수입상품
1) 원유산업
6. 우리 나라 수출입 전망
7. 결 론
2. 우리 나라의 연도별 수출입추이
3. 우리 나라의 지역별 수출입추이
4.우리 나라의 주요 수출품목
1) 반도체산업
2) 철강산업
5. 우리 나라의 주요수입상품
1) 원유산업
6. 우리 나라 수출입 전망
7. 결 론
본문내용
933(-35.5)
100.0
376(14.3)
433(15.1)
425(-1.9)
443(4.2)
509(14.8)
675(32.7)
744(10.3)
761(2.2)
502(-34.0)
53.9
53.2
52.0
52.9
49.7
50.0
49.5
52.6
53.8
255(13.9)
302(18.4)
308(2.1)
308(-0.1)
407(32.1)
538(32.3)
592(10.1)
531(-10.3)
339(-36.1)
36.5
37.0
37.7
36.7
39.7
39.8
39.4
36.7
36.4
67(9.0)
80(19.4)
84(5.2)
87(3.2)
108(24.3)
138(27.4)
167(20.3)
155(-7.4)
92(-40.5)
9.6
9.8
10.3
10.4
10.6
10.2
11.1
10.7
9.9
주 : ( )내는 전년비 증감률
자료 : 한국무역협회, 「KOTIS」
우리 나라의 품목별 수입동향을 알아보면, 천연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우리 나라는 원자재의 수입이 많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1) 원유 수입
우리 나라 산업의 주 동력원은 석유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경우 원유를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수입량의 대부분을 중동지역의 산유국에 의존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공급되는 에너지원의 60.5%가 원유에 의존하고 있다.
6. 우리 나라 수출입 전망
경상수지는 수출(금액기준)의 높은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환율절상 및 내수증가에 따른 수입
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금년 중 작년에 비해 크게 축소된 수준인 약 90억 달러 내외의 흑
자를 보일것으로 전망, 그러나 최근의 고유가가 지속되어 무역수지 흑자는 50억 달러 이하
로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수출(금액기준)은 환율절상에도 불구하고 해외 경기회복 및 주요 품목의 수출단가 상승으로
인해 금년 중 작년보다 크게 증가된 수준인 약 20% 내외의 신장세 예상.
그러나 최근 우리의 주요 수출품목인 반도체 가격이 계속 떨어지고 있어서 국내 경상수지
관리에도 비상이 걸리고 있다.
수입(금액기준)은 내수증가, 환율절상 및 유가폭등에 따른 수입단가의 상승에 기하여 금년
중 약 38% 내외의 증가를 기록할 전망이다.
7. 결 론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 나라는 수출주도형 경제성장 정책에 힘입어 괄목할 만한
경제성장을 이룩했으며, 이제는 세계의 중진국 대열에 끼게 되었다. 그러나 지금 우리무역은
대외적으로는 선진국의 개방압력에 의한 통상마찰과 신 보호무역주의, 대내적으로는 관료주
의의 팽배, 생산코스트의 증가, 자금시장 불안, 정쟁심화 등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게다가 우리 상품의 경쟁력 또한 선진국의 기술과 개도국의 가격 경쟁력에 뒤져 그 위력을 잃어가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국제 유가가 급등하면서 우리의 거시경제지표 전망을 불안하게 하고있다.
이처럼 세계환경과 아울러 우리 나라는 1998년이래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무역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각 경제주체들의 합심된 노력이 필요하다.
정부는 안정적인 거시경제환경을 조성하고 수출촉진과 내수경기 육성을 위해 최선의 정책노력을 다해야 하겠다. 동시에 고유가시대에 대비한 중장기적 에너지 대책도 함께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기업도 적극적인 구조조정 노력을 통한 생산성 제고와 경쟁력 강화가 요구되는데 이를 위해 기술개발 및 품질향상, 디자인 개선과 합리적 투자, 적극적 마케팅 활동이 우선시 되야 한다. 이와 더불어 근로자는 국민경제와 기업의 사정의 잘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안정적 노사관계와 투철한 직업윤리를 확립해야 할 것이며 가계 역시 근검절약과 합리적 소비행위를 통해 참여해야 하겠다.
100.0
376(14.3)
433(15.1)
425(-1.9)
443(4.2)
509(14.8)
675(32.7)
744(10.3)
761(2.2)
502(-34.0)
53.9
53.2
52.0
52.9
49.7
50.0
49.5
52.6
53.8
255(13.9)
302(18.4)
308(2.1)
308(-0.1)
407(32.1)
538(32.3)
592(10.1)
531(-10.3)
339(-36.1)
36.5
37.0
37.7
36.7
39.7
39.8
39.4
36.7
36.4
67(9.0)
80(19.4)
84(5.2)
87(3.2)
108(24.3)
138(27.4)
167(20.3)
155(-7.4)
92(-40.5)
9.6
9.8
10.3
10.4
10.6
10.2
11.1
10.7
9.9
주 : ( )내는 전년비 증감률
자료 : 한국무역협회, 「KOTIS」
우리 나라의 품목별 수입동향을 알아보면, 천연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우리 나라는 원자재의 수입이 많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1) 원유 수입
우리 나라 산업의 주 동력원은 석유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경우 원유를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수입량의 대부분을 중동지역의 산유국에 의존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공급되는 에너지원의 60.5%가 원유에 의존하고 있다.
6. 우리 나라 수출입 전망
경상수지는 수출(금액기준)의 높은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환율절상 및 내수증가에 따른 수입
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금년 중 작년에 비해 크게 축소된 수준인 약 90억 달러 내외의 흑
자를 보일것으로 전망, 그러나 최근의 고유가가 지속되어 무역수지 흑자는 50억 달러 이하
로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수출(금액기준)은 환율절상에도 불구하고 해외 경기회복 및 주요 품목의 수출단가 상승으로
인해 금년 중 작년보다 크게 증가된 수준인 약 20% 내외의 신장세 예상.
그러나 최근 우리의 주요 수출품목인 반도체 가격이 계속 떨어지고 있어서 국내 경상수지
관리에도 비상이 걸리고 있다.
수입(금액기준)은 내수증가, 환율절상 및 유가폭등에 따른 수입단가의 상승에 기하여 금년
중 약 38% 내외의 증가를 기록할 전망이다.
7. 결 론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 나라는 수출주도형 경제성장 정책에 힘입어 괄목할 만한
경제성장을 이룩했으며, 이제는 세계의 중진국 대열에 끼게 되었다. 그러나 지금 우리무역은
대외적으로는 선진국의 개방압력에 의한 통상마찰과 신 보호무역주의, 대내적으로는 관료주
의의 팽배, 생산코스트의 증가, 자금시장 불안, 정쟁심화 등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게다가 우리 상품의 경쟁력 또한 선진국의 기술과 개도국의 가격 경쟁력에 뒤져 그 위력을 잃어가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국제 유가가 급등하면서 우리의 거시경제지표 전망을 불안하게 하고있다.
이처럼 세계환경과 아울러 우리 나라는 1998년이래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무역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각 경제주체들의 합심된 노력이 필요하다.
정부는 안정적인 거시경제환경을 조성하고 수출촉진과 내수경기 육성을 위해 최선의 정책노력을 다해야 하겠다. 동시에 고유가시대에 대비한 중장기적 에너지 대책도 함께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기업도 적극적인 구조조정 노력을 통한 생산성 제고와 경쟁력 강화가 요구되는데 이를 위해 기술개발 및 품질향상, 디자인 개선과 합리적 투자, 적극적 마케팅 활동이 우선시 되야 한다. 이와 더불어 근로자는 국민경제와 기업의 사정의 잘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안정적 노사관계와 투철한 직업윤리를 확립해야 할 것이며 가계 역시 근검절약과 합리적 소비행위를 통해 참여해야 하겠다.
추천자료
[관광산업][관광상품][관광정책][관광자원]관광산업의 정의, 관광산업의 기능, 관광산업의 분...
[컨벤션][컨벤션산업][컨벤션센터][국제회의][전시회]컨벤션산업의 중요성, 컨벤션산업의 구...
[구조주의][탈구조주의]구조주의의 정의, 구조주의의 조건, 구조주의의 비평, 구조주의와 탈...
[석유화학산업][석유화학산업 특성][석유화학산업 동향][석유화학산업 개선방안]석유화학산업...
음반산업(음악산업)의 개념, 음반산업(음악산업) 동향, 음반산업(음악산업) 규모, 음반산업(...
[건설업][건설산업]건설업(건설산업)의 특성, 건설업(건설산업)의 동향, 건설업(건설산업)의 ...
포터의 산업구조분석과 산업구조의 결정요인
관심있는 기업의 산업구조분석을 하고, 이 산업에 맞는 산업진화 단계를 선정하여 그에 맞는 ...
항공사 조직 구조와 항공산업현황 - 항공사 조직분석 & 항공산업 현황 - 항공사조직,항공...
[산업 국가간 비교][산업 국가][원자력산업]산업 정보시스템 국가간 비교, 산업 정부조직 국...
[자본주의와 구조][자본주의와 계층구조][자본주의와 모순구조][계층구조]자본주의와 동태구...
[세계산업 구조변화] 세계 산업질서의 변화(세계산업의 발전과정,역사,발달과정)
[지식기반산업의 발전] 지식기반경제로의 구조조정, 우리나라(한국), 미국, 일본의 지식기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