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 스포츠의 전개양상과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 (댄스스포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댄스 스포츠의 이해
1. 댄스 스포츠의 개념
2. 댄스 스포츠의 종류
3. 댄스 스포츠의 효과

Ⅲ. 댄스 스포츠의 육성방안

Ⅳ.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여 기존의 사교춤 적인 이미지와 실제 수업모형에서의 정확한 구분이 뒤따르지 못한다면 과거의 잔재와 후진성을 면하지 못할 것이다.
댄스 스포츠를 열린교육의 차원에서 수용하여 평생교육은 물론 학교체육(초·중·고)의 일환으로 채택하여 학교현장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수용하고 이에 올바르게 교수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학술적인 연구가 수반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김광득(1995). 현대여가론. 백산출판사.
김문겸(1993). 여가의 사회학. 한울아카데미.
김복희·김화숙(1997). 무용론. 보진재.
김옥진(1996). 무용의 이해. 한양대 출판원.
김종기(1978). 볼륨댄싱. 한국무도교육협회.
김종기(1981). Modern Ballroom Dancing의 본질과 에티켓. 한국무도교육협회.
문정옥(1987). 무용학원론. 보경문화사.
박계순(1997). 한국 댄스스포츠의 발전과제, 한국댄스스포츠연맹. 인천대연구소.
염옥남(1986). Ballroom Dance의 생리학적 현상으로 본 운동효과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오성편집부(1991). 사교댄스 교본. 오성출판사.
이순원(1998). 댄스 스포츠. 도서출판 금광.
이은주(1984). 왈츠에 대한 소고.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제르멘느 프뤼도모(1990). 무용의 역사. 삼신각.
조규청(1998). 댄스스포츠의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홍경.
조규청(1998). 에어로빅 운동학 개론. 도서출판:홍경.
조규청(1999). 댄스스포츠 실제. 도서출판:홍경.
최세창(1984). 볼륨댄스. 서린문화사.
한왕택(1995). 스포츠 교육의 역사. 태근문화사.
홍용표(1996). 한국사교춤 스터디. 대왕사.
Victor, Silvester(1993). Modern Ballroom Dancing, Trafalgar Square Publish.
Gerbes, A.(1988). Dance History, The Ohio state University.
Moore, Alex(1968). The Revised Techniques of Ballroom Dance, AM Zeeta Dance studios.
ABSTRACT
A Study on the Development Aspect and Upbringing Plan of Dance Sport
Cho, Kyu-Chung
This study was to accurately describe the Dance Sport and Looking for the upbringing plan of development. The historical research was used to summarize development of Dance Sport, recognition given by IOC.
The Dance Sport consisted of 10 Dance. It's Standard Dance 5 and Latin American Dance 5. So, The Standard Dance composed of Waltz, Tango, Quick step, Slow Foxtrot, and Viennese Waltz. The Latin American Dance composed of Rumba, Cha Cha Cha, Jive, Samba, and Pasodoble.
The Dance Sport(Part of Social Dance) had some negative image in Korea. But Nowadays, Dance Sport was gradually turning into positive image. Dance Sport had much merit from the old to the young. That is, Offering a sound recreational Movement and Promoting quality of life and effect of Mental, Social value.
The Upbringing Plan of Dance Sport were as follows.
The first, Dance Sport curriculum and the teaching method had to be standard.
The second, Dance Sport is not as a entertainment. It needed to promote the government support because of World Sport.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2.09.11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29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