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없음..
본문내용
있다. 젊은 세대와 노인 세대가 사용하는 언어를 분석하거나, 과거의 사상과 예를 들면 최인호의 《商道》같은 다양한 문예작품, 또는 과거의 유물이나 유적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분석함으로써 어떻게 자본주의 정신이 형성되었고 변화되어 왔는지를 알 수가 있다.
어쨌든 저자가 자본주의 정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자본주의 정신을 분석하고 그 종류를 찾아내려고 하는 점은 이 저서를 돋보이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점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여기에서는 두 가지 점만을 지적할 수밖에 없다.
그 첫째는 자본주의 정신의 성격에 관한 것이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우리가 각별히 주목하고자 하는 점은 박 교수가 정직을 자본주의의 뿌리로 여기고 있다는 점이다. 그 두 번째는 反자본주의 정신에 관한 것이다.
어쨌든 저자가 자본주의 정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자본주의 정신을 분석하고 그 종류를 찾아내려고 하는 점은 이 저서를 돋보이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점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여기에서는 두 가지 점만을 지적할 수밖에 없다.
그 첫째는 자본주의 정신의 성격에 관한 것이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우리가 각별히 주목하고자 하는 점은 박 교수가 정직을 자본주의의 뿌리로 여기고 있다는 점이다. 그 두 번째는 反자본주의 정신에 관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