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맥경화에 대하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동맥경화(Atherosclerosis)의 개념

(1) 고혈압

(2) 당뇨병

(3) 고지혈증

(4) 스트레스

(5) 비만

(6) 흡연

(7) 운동부족

(8) 기타

Ⅱ. 동맥경화(Atherosclerosis)의 원인

Ⅲ. 동맥경화(Atherosclerosis)의 증상



⑴ 동맥경화와 뇌 ⑵ 동맥경화와 심장

⑶ 동맥경화와 신장



Ⅳ. 동맥경화(Atherosclerosis)의 예방

Ⅴ. 동맥경화(Atherosclerosis)의 치료

---

원래 동맥벽은 탄력성이 많고 내면이 매끈하여 심장박동에 따르는 피의 흐름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런 동맥벽이 굳어져서 탄력성이 감소하고 내면에 군데군데 기름기가 끼이고, 이상조직이 증식하여 내경이 좁아지는 현상을 동맥경화라 한다. 동맥 내경이 좁아지면 자연히 좁아진 부분을 통과하는 혈류는 장해를 받게 된다.

본문내용

방산은 상온에서 액체로 있는 지방으로 콩기름 올리브유, 옥수수기름 등 식물성 지방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포화 지방산은 LDL이 그리고 불포화지방산은 HDL이 된다. 동물성 지방이나 식물성 지방이나 어느 한쪽 지방산만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대체로 동물성 지방 쪽이 LDL 콜레스테롤의 기반이 되는 포화지방산이 많은 것이다. 그러므로 동맥경화의 원흉인 LDL 콜레스테롤을 줄이기 위해서는 동물성 지방을 줄여야 한다.
3) 당분을 줄인다.
당분이 직접 고혈압을 초래하는 것은 아니지만 당분을 과다 섭취하면 고지혈증이 되고 남은 당분은 중성지방으로서 체내에 축적된다. 중성지방을 과다 섭취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피하지방이 되어 비만의 원인이 되어 버린다. 서양인의 비만은 육류나 지방과다 섭취에 의한 것이 많다고 하지만 우리들의 원래 쌀밥을 먹는 민족이기 때문에 당분 과다 섭취에 원인이 있다고 한다.
4) 알콜은 삼간다.
① 술안주가 혈압을 올린다
술안주 중에는 염분이 많은 것이 대부분이다. 생선회, 절임, 말린 생선, 감염과도 관계가 먼 것뿐이다. 혈압을 걱정하면서 술을 마시는 것은 분명 재미없는 일이겠지만 고혈압이 되어 버리면 술도 금지해야 한다.
② 술은 고칼로리 음료
알콜 1g은 약 7Kcal의 에너지가 된다. 당분이 4Kcal이고 지방이 약 9Kcal이므로 거의 그 중간이다. 그리고 술을 마시면 위장 작용이 활발해짐으로 식욕이 난다. 또 적당량의 음주는 H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킨다는 보도도 있다. 이것은 술의 효능 중 하나이므로 좋은 면이기도 하지만 술을 많이 마시고 식욕도 충분히 발휘하여 벨트를 늘릴 정도로 식사를 하는 것은 비만으로의 지름길이며 곧 고혈압이 된다.
⑵ 운동에 의한 예방
음식물을 섭취하는 경향은 경제 성장에 따라 풍요로워 진데 비해 에너지를 소비하는 경향은 생활의 합리화와 교통수단의 발달로 충분치 못한 사람이 늘고 있다. 그러므로 적극적으로 에너지를 소비하는 운동을 필요하다.
1) 비만인 사람은 반드시 운동을
운동의 효과로서 가장 큰 것은 감량 또는 체중의 현상유지이다. 그리고 소비하는 칼로리가 섭취하는 칼로리를 약간 웃돌도록 하면 좋으므로 처음에는 운동이라고 할 수 없는 정도의 산책 등에 시간을 할애하는 것이 좋다.
① 산책
산책은 건강한 사람에게 있어서는 운동이라고도 할 수 없지만 동맥경화 환자나 노인에게 있어서는 최적의 운동이다. 날씨가 좋은 날 1시간이나 2시간 정도 가까운 곳을 느긋하게 걷는 것은 발목 쇠약을 막는 동시에 기분도 상쾌하여 안정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2) 운동으로 스트레스 해소를
운동의 효과로서 고혈압의 원인 중 하나이기도 한 정신적 스트레스 해소도 놓칠 수 없다. 장시간에 거쳐 사무적인 일을 하거나 복잡한 인간 관계 등 현대인은 스트레스가 쌓이기 쉬운 생활을 하고 있다. 신경을 긴장시켜 혈관을 팽팽하게 만드는 것은 고혈압의 원인이다.
Ⅴ. 동맥경화(Atherosclerosis)의 치료
동맥경화를 치료하는 것도 역시 식이요법이 중요한 방법이다. 그리고 또한 운동요법, 약물요법, 수술요법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동맥경화를 판별하는 방법에는 안저검사에 의한 세동맥 검사, 소변검사에 의한 신장검사, 혈액검사에 의한 동맥경화 검사, X-ray 촬영에 의한 신장비대증 검사, C. T.에 의한 심장과 혈관이상 검사 등이 있는데, 이를 통해서 동맥경화임이 판명되면, 먼저 생활습관을 바꿈으로 치료효과를 볼 수 있다. 이 방법으로는 식염을 줄이고, 동물성 지방을 줄이고, 당분을 줄이고, 섭취하는 총 칼로리를 제한하고, 적당한 운동을 하며,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 등이 있다. 이와 더불어 약물요법을 병행하면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하지만 생활습관을 개선하지 않고 약물에만 의존한다면, 평생동안 약물요법을 수행해도 효과를 보지 못할 것이다.
또한 운동요법이 있는데, 동맥경화증이 있는 사람들은 혈압이 높고, 혈액이 조직에 충분히 공급되지 않으므로 의사와 상의한 뒤에 보행, 게이트볼, 켓치볼 정도의, 자신의 체력에 맞는 가벼운 운동을 해야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식이요법이 있는데, 이 방법의 기본 방침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방침은, 동맥경화의 원흉이 되는 식염의 양을 제한하는 것이다. 일반인의 경우 하루에 80g이 넘지 않도록 하고, 동맥경화증이 있는 경우에는 5∼6g을 넘지 않도록 한다. 두 번째 방침은, 칼로리를 계산해서 에너지를 과다섭취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 에너지를 과다 섭취하게 되면 비만하게 되고 비만하게 되면, 고혈압, 동맥경화, 뇌졸중, 심장병 등을 유발하게 되므로 반드시 실천해야할 치료 요법이다. 세 번째는, 단백질은 충분히 섭취하고, 지방과 당분의 섭취는 제한하는 방침이다. 네 번째 방침은, 비타민과 미네랄이 많은 균형있는 식사를 하는 것이다. 위의 방법을 살펴보면 균형있는 식사를 하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요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신장병이 있는 경우에는 하루에 섭취하는 식염의 양은 6g이하, 총칼로리는 200kcal미만으로 하고, 뇌혈관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하루 식염 섭취량은 5∼6g이하로, 총칼로리 섭취량은 1200∼1800kcal미만, 지방은 총칼로리 섭취량의 20%정도로 유지하고, 허혈성 심장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하루 식염량은 6g이하, 총칼로리는 1800kcal이하, 지방은 총칼로리의 20%정도를 섭취하도록 하며, 당뇨병이 있는 경우에는 하루에 섭취하는 총칼로리를 1200∼1800kcal로 제한하고, 단백질은 70∼80g, 지방은 30∼40g, 탄수화물은 280g, 식염은 6g정도만 섭취하도록 하는 요법을 병행해야 한다.
특별히, 동맥경화가 생겨서 뇌나 심장에 문제가 발생했다면, 의사의 전문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 뇌졸중이나 협심증, 심근경색증은 갑자기 일어나는 수도 많고, 일반인이 치료하기에는 매우 어렵고 복잡하므로 발작이 일어나면 무엇보다도 환자를 안정시키고, 그 다음에 의사의 치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의사의 치료를 직접적으로 받고 있다면, 환자가 정상적인 모습으로 다시 사회와 가정 생활에 복귀할 수 있도록 희망을 주고, 격려를 해주어야 한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2.09.17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34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