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독일의 보건의료체계
2. 독일의 간호교육제도
3. 독일의 노인의 보건복지
가. 노인보건복지 재정
나. 양로 주거 시설
다. 양로시설
라. 노인치매시설
4. 독일의 지역사회 방문간호
가. 지역사회방문간호 역사
나. 지역사회방문간호 내용
다. 지역사회방문간호 비용
*한글97
2. 독일의 간호교육제도
3. 독일의 노인의 보건복지
가. 노인보건복지 재정
나. 양로 주거 시설
다. 양로시설
라. 노인치매시설
4. 독일의 지역사회 방문간호
가. 지역사회방문간호 역사
나. 지역사회방문간호 내용
다. 지역사회방문간호 비용
*한글97
본문내용
·매달 지불해야 하는 비용
- 요양보험에서 지불 + 본인 지불
1등급 3,500유로 + 2,480유로
2등급 3,800유로 + 2580유로
3등급 4,000유로 + 2,604유로
·아우구스티니눔 "계"에서도 지원
·입소자격
① 노인(연령제한없음) + 치매
② 다른 정신병에 걸려있지 않아야 함 ┐
③ 자살 위험요소 없어야 함 ┘ 정신과의사가 판정함
·입소 전 확인사항
① 정신과의사의 판정 (치매이면서, 정신병이 없음 진단)
② 법원 동의 (감금시설이므로)
·가족방문은 자유이나 함께 자는 것은 안됨
·죽음까지는 시설에서 보살피나, 장례는 연고자에게 연락
·종사자(간호, 간병 인력) 45명중 15명이 full time
·독일 치매유병율 - 65세 이상 20%
- 80세 이상 25%
- 전체 이상 7-8%
- 95세 이상 35% 이상
4. 독일의 지역사회 방문간호
가. 지역사회방문간호 역사
·100년전 지역사회 어려움이 있어 사업시작
·전문인력에 의해서 환자가 돌봐지지 않아서 이 일을 교회에서 담당함
·교회가 그 당시에 선교사업에는 관심 있었으나 병자, 가난한 자에
대한 관심이 없었기 때문에 시민단체에서 이런 대상자를 위해 연합체를 만듬. 따라서, 현 재도 시민 단체의 연합 성격을 지님
·간호 수행은 수녀들이 많이 담당함
·수녀들이 그 당시 방문하여 불 때는 일, 산파, 아기 돌봐주는 일등을 수행함
·간호사들이 3년 교육을 받으면 병원에서 3년 간 실전교육을 받은 후에 방문간호 자격 주 워짐
·1950년대
- 방문간호를 수행할 수녀가 없어 문제 대두
·1970년대
- 수녀가 거의 없어 심각한 문제점으로 대두
- 그래서 결국 지역사회 요구를 "시"에서 담당하게 됨
- 현재 비텐베르크주 내에 5개 사회복지원에서 방문간호 수행
·1980년대부터
- 주정부에서 이 역할을 담당함
- 정부에서 지원하게 됨
- 정부가 경제적 지원을 하면서 각 지역사회를 하나로 묶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함
- 최소 단위가 2만명 주민이 있는 지역사회에서 방문간호를 하도록 함
- 연합으로 하면서 큰 기관에서는 6만명 주민을 담당하기도 함
- 1980년대부터 교회도 방문 간호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함
나. 방문간호내용
·3년간 교육후 RN 자격 취득후에 방문간호에 참여함, RN이 아니면 참여할 수 없음
① 환자 다루기 / 노인 방문 간호
② 아동방문간호
③ 상담 (따라서, RN 이어야 지역방문간호를 할 수 있음)
④ 가사도우미
예전에는 자원봉사자가 많았으나, 현재는 자원봉사자가 거의 없어서, 유료로 가정 도우미 를 고용해야 하므로 이 또한 경제적으로 부담이 됨. 따라서 지역사회 노인회 구성하여 여 기서 자발적으로 지원하고 있음
각 지역 노인회의 도움(금전적인 도움) 없었으면 현재 지역방문간호 불가능했었을 것임
⑤ 수술 환자의 퇴원 후 간호
- 재가 환자와 주거시설과의 연계 안되는 것이 문제임
⑥ 중환자의 재가 간호
- 중환자들을 위한 기기 필요 ( 의료보험에서 대여 )
⑦ 가족 간호
(부모 중 한 명 입원시 부모 역할 부재에 따른 그 역할 수행 )
- 의료보험 문제 : 이러한 환자들에 대한 간호 비용에 대해 국가의료보험에서는 부담할 수 없다고 함
- 국민건강차원에서 민간요법(개인이 부담)을 대상자들이 원함
⑧ 재활간호
⑨ 정신간호
⑩ 기본간호
다. 방문간호 비용
□ 의료보험
·국가 의료보험으로는 의료시술에 필요한 부분 지불
(예: 수술비, 약값, 주사비)
·의무적 가입
□ 요양보험(Pflegekasie) 1995 시작
·개인에게 필요한 도움 필요시간 계산하여 이에 따라 보험 지급 계산
(예: 개인위생, 영양, 이동훈련, 가사보조)
·요양보험 대상은 모든 연령계층
·옵션 가입
·6개월 이상의 간병이 필요한 환자에게 해당되는 보험(정신장애제외)
·1인 간호사가 15명 환자 담당
·환자 관리에 있어서 주치의와의 관계 긴밀하게 함
·지역방문간호대상
- 부유한 사람들도 있는데 이 경우 비용을 많이 지불해야 함
·대상과 선별 기준
- 아직은 모든 대상자 care하나 앞으로 기준 마련 예정(데모중)
·자국 환자 care를 위해 한국 등에서의 간호사 들어오는 일은 없도록 하고 있음
·국가보건의료체계 내 Home Care System
- 지역사회 내 시민단체에서만 구성되어 있음
·주요문제
- 국가 의료보험에서는 환자 직접 치료에 해당하는 부분만 지불
·간호사자격 - 연방정부에서 자격 부여
·home visiting care nurse : 760 시간 특별 교육 받은 후 practice 함
- 요양보험에서 지불 + 본인 지불
1등급 3,500유로 + 2,480유로
2등급 3,800유로 + 2580유로
3등급 4,000유로 + 2,604유로
·아우구스티니눔 "계"에서도 지원
·입소자격
① 노인(연령제한없음) + 치매
② 다른 정신병에 걸려있지 않아야 함 ┐
③ 자살 위험요소 없어야 함 ┘ 정신과의사가 판정함
·입소 전 확인사항
① 정신과의사의 판정 (치매이면서, 정신병이 없음 진단)
② 법원 동의 (감금시설이므로)
·가족방문은 자유이나 함께 자는 것은 안됨
·죽음까지는 시설에서 보살피나, 장례는 연고자에게 연락
·종사자(간호, 간병 인력) 45명중 15명이 full time
·독일 치매유병율 - 65세 이상 20%
- 80세 이상 25%
- 전체 이상 7-8%
- 95세 이상 35% 이상
4. 독일의 지역사회 방문간호
가. 지역사회방문간호 역사
·100년전 지역사회 어려움이 있어 사업시작
·전문인력에 의해서 환자가 돌봐지지 않아서 이 일을 교회에서 담당함
·교회가 그 당시에 선교사업에는 관심 있었으나 병자, 가난한 자에
대한 관심이 없었기 때문에 시민단체에서 이런 대상자를 위해 연합체를 만듬. 따라서, 현 재도 시민 단체의 연합 성격을 지님
·간호 수행은 수녀들이 많이 담당함
·수녀들이 그 당시 방문하여 불 때는 일, 산파, 아기 돌봐주는 일등을 수행함
·간호사들이 3년 교육을 받으면 병원에서 3년 간 실전교육을 받은 후에 방문간호 자격 주 워짐
·1950년대
- 방문간호를 수행할 수녀가 없어 문제 대두
·1970년대
- 수녀가 거의 없어 심각한 문제점으로 대두
- 그래서 결국 지역사회 요구를 "시"에서 담당하게 됨
- 현재 비텐베르크주 내에 5개 사회복지원에서 방문간호 수행
·1980년대부터
- 주정부에서 이 역할을 담당함
- 정부에서 지원하게 됨
- 정부가 경제적 지원을 하면서 각 지역사회를 하나로 묶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함
- 최소 단위가 2만명 주민이 있는 지역사회에서 방문간호를 하도록 함
- 연합으로 하면서 큰 기관에서는 6만명 주민을 담당하기도 함
- 1980년대부터 교회도 방문 간호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함
나. 방문간호내용
·3년간 교육후 RN 자격 취득후에 방문간호에 참여함, RN이 아니면 참여할 수 없음
① 환자 다루기 / 노인 방문 간호
② 아동방문간호
③ 상담 (따라서, RN 이어야 지역방문간호를 할 수 있음)
④ 가사도우미
예전에는 자원봉사자가 많았으나, 현재는 자원봉사자가 거의 없어서, 유료로 가정 도우미 를 고용해야 하므로 이 또한 경제적으로 부담이 됨. 따라서 지역사회 노인회 구성하여 여 기서 자발적으로 지원하고 있음
각 지역 노인회의 도움(금전적인 도움) 없었으면 현재 지역방문간호 불가능했었을 것임
⑤ 수술 환자의 퇴원 후 간호
- 재가 환자와 주거시설과의 연계 안되는 것이 문제임
⑥ 중환자의 재가 간호
- 중환자들을 위한 기기 필요 ( 의료보험에서 대여 )
⑦ 가족 간호
(부모 중 한 명 입원시 부모 역할 부재에 따른 그 역할 수행 )
- 의료보험 문제 : 이러한 환자들에 대한 간호 비용에 대해 국가의료보험에서는 부담할 수 없다고 함
- 국민건강차원에서 민간요법(개인이 부담)을 대상자들이 원함
⑧ 재활간호
⑨ 정신간호
⑩ 기본간호
다. 방문간호 비용
□ 의료보험
·국가 의료보험으로는 의료시술에 필요한 부분 지불
(예: 수술비, 약값, 주사비)
·의무적 가입
□ 요양보험(Pflegekasie) 1995 시작
·개인에게 필요한 도움 필요시간 계산하여 이에 따라 보험 지급 계산
(예: 개인위생, 영양, 이동훈련, 가사보조)
·요양보험 대상은 모든 연령계층
·옵션 가입
·6개월 이상의 간병이 필요한 환자에게 해당되는 보험(정신장애제외)
·1인 간호사가 15명 환자 담당
·환자 관리에 있어서 주치의와의 관계 긴밀하게 함
·지역방문간호대상
- 부유한 사람들도 있는데 이 경우 비용을 많이 지불해야 함
·대상과 선별 기준
- 아직은 모든 대상자 care하나 앞으로 기준 마련 예정(데모중)
·자국 환자 care를 위해 한국 등에서의 간호사 들어오는 일은 없도록 하고 있음
·국가보건의료체계 내 Home Care System
- 지역사회 내 시민단체에서만 구성되어 있음
·주요문제
- 국가 의료보험에서는 환자 직접 치료에 해당하는 부분만 지불
·간호사자격 - 연방정부에서 자격 부여
·home visiting care nurse : 760 시간 특별 교육 받은 후 practice 함
키워드
추천자료
보건,의료와 사회복지서비스 연계의 필요성
노인복지서비스정책, 소득보충제도, 의료지원제도, 재가복지사업, 시설보호사업, 경로우대제...
[보건행정]노인의료비 무료화제도에 대한 경제학적 고찰
사회복지서비스법 - 노인복지법, 장애인복지법, 아동복지법, 모, 부자복지법, 정신보건법
다양해진 사회복지실천현장을 실천영역별(아동, 노인, 장애인, 가족, 정신보건 등)로 구분하...
[사회복지개론] 의료 및 정신보건 사회복지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장 (사회복지실천, 노인복지 분야, 정신보건사회사업 분야)
고령사회의 노인(노년기)문제를 인구, 사회학적 측면, 보건, 복지적 측면, 경제, 산업적 측면...
의료 및 정신보건 사회복지의 이해
의료 시장 개방이 국내 보건 의료 체계에 야기하는 문제점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人間行動 社會環境] 한국(우리나라) 향후 사회복지제도를 사회보험, 공...
사회복지법제)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정신보건법에 따른 의료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프...
사회복지 프로그램) 복지 혜택 소외 지역 노인들을 위한 보건, 복지 프로그램 (노인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