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차이코프스키의 명반과 작품해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차이코프스키(Peter Ilyich Tchaikovsky:1840-1893, 러시아)
교향곡 제4번 f단조 작품 36
*에프게니 므라빈스키/레닌그라드 필하모닉
*게오르그 솔티/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

2.교향곡 제5번 e단조 작품 64
.에프게니 므라빈스키/레닌그라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리카르도 샤이/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3.교향곡 제6번 b단조 <비창>
*에프게니 므라빈스키(Cond)/레닌그라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DG
.유진 올만디(Cond)/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Columbia

4.서곡 `1812년` 작품49
*유진 올만디(Cond)/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RCA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Cond)/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DG

5.이탈리아 기상곡 작품45
.로스트로포비치(Cond)/베를린 필하모닉. DG
.유진 올만디(Cond)/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RCA

6.`로미오와 줄리엣` 작품13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Cond)/베를린 필하모닉. DG
*로스트로포비치(Cond)/런던 필하모닉. Angel
.샤를르 뮌시(Cond)/보스톤 심포니. RCA

7.`백조의 호수` 작품20
*에르네스트 앙세르메(Cond)/스위스 로망드 오케스트라. London
.게나디 로제스트벤스키(Cond)/볼쇼이 극장 관현악단. CBS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Cond)/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DG

8.잠자는 숲속의 미녀
*에르네스트 앙세르메(Cond)/스위스 로망드 오케스트라. London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Cond)/1.베를린 필. DG, 2.빈 필하모닉. London
.게나디 로제스트벤스키(Cond)/BBC 심포니. Euro

9.`호두까기 인형` 작품71
*에르네스트 앙세르메(Cond)/스위스 로망드 오케스트라. London
.게나디 로제스트벤스키(Cond)/볼쇼이 극장 관현악단. Melodiya, Columbia
.앙드레 프레빈(Cond)/런던 심포니. Angel

10.`현악 세레나데` C장조 작품48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Cond)/베를린 필하모닉. DG

11.피아노 협주곡 제1번 작품23
.스비아토슬라브 리히터(Pf)/헤르베르트 폰 카라얀(Cond)/빈 필하모닉. DG
.아르투르 루빈시타인(Pf)/라인스토르프(Cond)/보스톤 심포니. RCA
.마르타 아르게리히(Pf)/키릴 콘드라신(Cond)/바바리안 라디오 심포니. Philips

12.바이얼린 협주곡 D장조 작품35
.야샤 하이페츠(Vn)/프리츠 라이너(Cond)/시카고 심포니. RCA
.아이작 스턴(Vn)/므스티슬라브 로스트로포비치((Cond)/내셔널 필하모닉. Col
.정 경화(Vn)/샤를르 뒤트와(Cond)/몬트리올 심포니. London

13.현악 4중주곡 제1번
*보로딘 현악 4중주단. Melodiya
.스메타나 현악 4중주단. Angel

14.피아노 3중주곡 a단조 작품50
.숙 3중주단. Decca
*길레스(Pf)/고간(Vn)/로스트로포비치(Vc). Melodiya

15.오페라 `에브게니 오네긴`
.로스프로포비치(Cond)/볼쇼이 극장 관현악단. Angel

본문내용

주단. Decca
*길레스(Pf)/고간(Vn)/로스트로포비치(Vc). Melodiya
이 곡은 차이코프스키 실내악곡의 대표작이자 뛰어난 대곡이다. 아마 현재 연주되고 있는 피아노 3중주곡에서 최고의 인기를 차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곡의 부제는 <위대한 예술가의 추억>은 러시아의 대피아니스트 니콜라이 루빈시타인의 죽음을 애도하여 붙여진 것이다. 이 곡은 5살 연상의 루빈시타인이 1881년 파리에서 객사한 직후에 착수되어 이듬해 완성되었다. 특히 피아노 부분에서 화려 장대한 표현이 주어졌는데 이는 루빈시타인에 대한 추모의 뜻이 담겨져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이 곡에 나타나 있는 농후한 감정 표현은 차이코프스키의 교향곡 등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다. 그리고 피아노, 바이얼린, 첼로의 세 악기에 의해 연주된 것으로는 이상하리 만큼 많은 것이 담겨져 있으며 형태면에서는 서구적이면서도 러시아가 아니면 탄생될 수 없는 피아노 3중주곡이다. 전 곡은 2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2악장의 변주곡에 이어지는 변주 종곡과 코다 부분이 제2악장의 제2부를 형성하여 실제로는 3악장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대변주곡의 테마는 러시아 농민의 무곡에서 착상되었다고 한다. 레코드 중 숙 3중주단은 일견 수수한 연주이지만 감상에 빠져들지 않고 내면에 흐르는 슬픔을 승화시켜 듣는 이의 마음에 호소하며 이 작품의 감상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음악적인 충실함을 안겨 준다. 또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피아노의 파넹카도 기대에 어긋남이 없이 훌륭한 연주를 보여 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소련의 3 대가의 연주는 스테레오는 아니지만 러시아적인 정감이 아낌없이 표현된 추억의 명반으로 빼놓을 수 없는 한 장이다. 녹음 당시 길레스, 고간, 로스트로포비치 세 사람 모두 30대의 최고 절정기였던 만큼 그 기교성은 대단한 것이다. 이 레코드는 세 사람이 자기 주장을 하면서도 조화를 이루어 차분하면서 서정적인 면이 충분히 나타나 있다.
오페라 "에브게니 오네긴"
.로스프로포비치(Cond)/볼쇼이 극장 관현악단. Angel
차이코프스키는 오페라를 11개나 썼는데 발레 음악처럼 성공하지는 못했다. 적어도 소비에트 이외의 나라에서 다루어진 것으로는 이 <에브게니 오네긴>과 <스페인의 여왕>뿐이다. 차이코프스키는 러시아의 황혼기라 불리던 시대에 음악으로 고뇌와 우수감을 깊고 절실하게 표현했다. 푸쉬킨의 극시 <에브게니 오네긴>을 오페라화한 차이코프스키는 이 작품을 서정적 심리극처럼 다루었다. 그는 원작자인 푸쉬킨처럼 에브게니 오네긴을 동정적인 눈으로 보지 않고 오히려 타티아나를 순정과 진실을 잃지 않는 여성의 전형으로 보고, 그녀의 모든 감정의 뉘앙스를 깊은 공감으로 음악화 하고 있다. 초연은 모스크바에서 행해졌는데, 등장 인물 개개인의 심리과정을 그리고 있기 때문에 클라이막스는 항상 독창이 아니면 2중창으로 관객을 압도하려는 상투적인 수단은 없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라리나 부인에게는 타티아나와 오리가라는 두 명의 딸이 있는데, 순정 시인 렌스키는 오리가와 약혼한 사이다. 어느 날 렌스키는 그의 친구 오네긴과 함께 부인 댁을 방문하게 되어 오네긴에게 타티아나를 소개시킨다. 오네긴을 사모하게 된 타티아나는 그에게 열렬한 구애 편지를 보내나 오네긴은 냉정하게 돌아선다. 막이 바뀌어 타티아나의 생일 파티에서 오네긴은 렌스키의 약혼녀인 오리가와 춤을 추게 되는데 여기서 오네긴과 렌스키는 약간의 오해가 생겨 결투까지 벌이게 된다. 생사의 기로에서 오리가에 대한 불멸의 사랑을 노래하는 렌스키의 <어디로 갔느냐, 나의 황금빛 봄날>의 아리아가 불리어진다. 총소리와 함께 렌스키는 흰 눈을 붉게 물들이고 오네긴은 방랑의 길을 떠난다. 세월이 흘러 쉴 새 없이 방랑생활을 한 오네긴은 우연히 들른 그레민 공작의 무도회에서 그레민 공작 부인이 된 타티아나를 만나게 된다. 그는 자제력을 잃고 타티아나에게 사랑의 고백을 하지만 타티아나는 첫사랑의 추억에 마음이 찢기면서도 그를 거절한다. 심적 갈등을 파헤친 훌륭한 음악극이다. 오네긴은 회한과 치욕감과 절망을 안고 그 곳을 떠난다. 레코드는 볼쇼이 극장 오페라단의 파리 공연 때 녹음된 것으로, 첼로의 명수 로스트로포비치가 지휘자로서 데뷔한 기념할 만한 연주이다. 차이코프스키가 의도하고 있는 3막의 서정적인 내용에 비해 연주가 너무 드라마틱한 감이 없지 않지만 비세네프스키가 노래하는 타티아나의 훌륭한 가창력과 러시아적인 음악의 흐름은 이 작품의 대표반으로서 손색이 없다.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2.09.22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38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