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산종사의 [공적영지]에 대한 견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불교의 `공적영지`에 대한 해석

3. 정산 종사의 공적영지에 대한 견해

4. 결어

본문내용

종교에서 개인의 새로운 정신적 생명의 탄생은 종교적 생명이라 여기고 있다. 한국의 오랜 전 통속에, 단군신화에서 곰이 쑥과 마늘을 먹으며 동굴 속에서 햇볕을 보지 않고 인고의 수련 이 야기, 샤마니즘 설화에서 바리데기 공주가 어려운 고난의 과정을 거쳐 샤만의 시조가 되는 이 야기, 아프리카 토속종교에서 신과 인간의 세계를 잇는 샤만이 되기 까지 어둠의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만 하는 것은 여러 종교사상이 제 2의 정신적 탄생을 강조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소태산이 오랫동안 산신을 만나기 위한 산에서 정성을 다한 기도와 고통을 동반하는 입정돈망의 수련을 통해 깨달음, 새로운 정신적 탄생을 얻게 되는 그 근거가 공적영지의 논리적 구조에서 찾아진다.
셋째, 정산의 공적영지에 대한 인식구조에서 공적은 선입견, 주관, 진리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비워 무상행과 무착행의 실천으로 무량각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비고 고요한 것에서 무량한 지혜가 솟는다. 무량한 지혜가 솟는 곳에 적재 적소에 맞는 무한한 지혜(prajna)와 방편(upaya)이 솟아난다. "원불교의 교육, 행정, 교화 등에 대한 지혜방편을 어디서 구할 것인가?"하는 물음에 대한 답을 던져주고 있다. 학문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체제를 통해 응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술을 배울 수 있고 활용할 수 있다. 현재 원불교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근원적 지혜이다. 소태산 대종사와 정산 종사가 밝힌 일원의 진리 세계와 마음의 심층 구조를 "공적영지"를 통해 깊이 이해하고 밑바닥 없는 텅비고 고요한 공적의 자리에서 공정한, 공변된 지혜가 솟아나게 하여야 할 때이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09.23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40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