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교회란 무엇인가?
1. 어원적 고찰
1) 구약의 용어들
2) 신약의 용어들
3) 영어에서 교회(Church)라는 명칭의 유래
4) 교회를 가리키는 다른 명칭들
2. 역사적 교회론
1) 카톨릭의 교회론
2) 루터의 교회론
3) 깔뱅의 교회론
4) 칼 바르트의 교회론
5) 웨스트민스터의 교회론
6) 기타 신학자들의 교회관
① 존 웨슬레의 교회관
② 에밀 부르너의 교회관
3. 성서적 교회관
1) 복음서의 교회관
2) 사도행전에 나타난 교회관
3) 바울의 교회관
4) 기타 서신서들의 교회관
Ⅳ. 이상적인 교회상
1. 본질 및 목적에 따라
2. 표지 및 기능에 따라
Ⅴ. 결론
1. 어원적 고찰
1) 구약의 용어들
2) 신약의 용어들
3) 영어에서 교회(Church)라는 명칭의 유래
4) 교회를 가리키는 다른 명칭들
2. 역사적 교회론
1) 카톨릭의 교회론
2) 루터의 교회론
3) 깔뱅의 교회론
4) 칼 바르트의 교회론
5) 웨스트민스터의 교회론
6) 기타 신학자들의 교회관
① 존 웨슬레의 교회관
② 에밀 부르너의 교회관
3. 성서적 교회관
1) 복음서의 교회관
2) 사도행전에 나타난 교회관
3) 바울의 교회관
4) 기타 서신서들의 교회관
Ⅳ. 이상적인 교회상
1. 본질 및 목적에 따라
2. 표지 및 기능에 따라
Ⅴ. 결론
본문내용
까지 하나님께는 영광이 되게 하며, 우리들에게는 한없는 덕을 끼치게 함인 것이다. 이와같이 봉사자의 직분을 가진 모든 이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것으로 여기는 권위나 권세를 위하여 직임을 감당하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敎會를 섬기기 위한 자들로서 자신의 직분을 감당해야 함을 명심해야 하는 것이다.
Ⅴ. 결론
우리는 이상에서 오늘날 敎會의 敎會觀에 대한 위기 상황을 살펴 보았다. 敎會觀이 정립되지 않으면 안 될 지경에 이른 것이다. 아무도 敎會의 본질에 대한 바른 이해와 敎會가 하는 일과 기능에 대하여 바로 이해하지 못한다면 우리는 또 다른 종교개혁의 문제에 봉착하게 될 것이다. 이제 우리들에게 주어진 올바른 선생이신 성령과 그분의 영감으로 씌여진 성경과 역사적 사실들을 통하여 바른 敎會觀을 정립해야 하는 것이다.
우리는 결코 서양과 같은 전철을 밟아서는 안된다. 종교개혁의 본산지인 독일, 스위스 등의 현재상황을 묵과해서는 안된다. 할머니와 할아버지 이외엔 젊은이들을 도무지 찾아볼 수 없는 독일을 한번 생각해 보기 바란다. 설교시 오직 정치가 어떻고 구제를 어떻게 해야 한다고 그렇게 외치는 목회자들 앞에 복음은 자취를 감추고 만 것이다. 한때 부흥각성 운동으로 인하여 미국에 세워진 바로 그 敎會들이 선술집으로 변하고 있다는 현실정은 무엇을 말해주고 있는가? 오늘날 敎會는 이 사회에 무슨 일을 감당해야 하는가?
우리는 상기에서 敎會가 무엇인가 그리고 敎會가 하는 일이 무엇이며, 그 기능이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바른 敎會상, 그것은 오늘 韓國敎會가 담당하고 회복해야 가장 큰 과제인 것이다. 이 세상으로부터 선택받은 무리들로서 그리스도의 몸을 이루고 있는 敎會, 또한 성도들의 거룩하고 분별된 그리고 하나 된 사귐이 절실히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敎會에 대한 바른 이해를 했다면 이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봉사와 섬김의 사역을 세상으로 돌려야 할 것이다. 그것은 바로 우리에게 주어진 주님의 마지막 부탁일 지도 모른다. 敎會가 敎會의 본질과 사명을 잊고 방황할 때, 예수님은 오늘도 십자가 위에서 내려올 수 없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1. 서적류
김의환. "개혁주의 敎會觀," 『신학정론』 통권 제 20호, 제11권 1호
수원 : 합동신학 교 신학정론사, 1993. 4.
김형모. 『10대, 이렇게 도우세요』 서울 : 쪽지사, 1993.
하문호. 『基礎 敎義神學』 제6권 敎會論, 서울: 韓國로고스연구원, 1983.
박형룡. 『敎義神學』 제 6권 敎會論, 서울 : 백합서원, 1975.
조종남. 『요한 웨슬레의 신학』 서울 : 대한기독교출판사, 1984.
이양호. "루터의 敎會論" 『현대와 신학』 제 17집, 1993.
전경연. 『칼뱅의 생애와 신학사상』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4.
은준관. 『칼 바르트의 敎會論의 이해』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77.
이종성 박사 고희기념 논문집 간행위원회편, 『敎會과 신학』 서울 : 대한 기독교 서회, 1992.
한철하. 『고대기독교 사상』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85.
이장식. 『기독교 사상사』 제 2권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83.
폴 D. L. 아비스. 『종교개혁자들의 敎會觀』 이기문역 서울: 컨콜디아사, 1987.
빌헬름 니젤. 『칼뱅의 신학』 이종성역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90.
깔뱅. 『기독교 강요』 김종흡외 공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88.
헤르만 리델보스. 『바울신학』 박영희역 서울 : 개혁주의 신행협회, 1985.
J. L. 니이브. 『기독교 교리사』 전 2권 서남동역 서울 : 대한 기독교서회, 1979.
한스. 킴. 『敎會란 무엇인가』 이홍근역 왜관 : 분도출판사, 1992.
W. W. Stevens, 하긴역. 『Doctrine of the Christian Religion(조직신학개론)』
서울 : 요단출판사, 1979.
John Emory. 『The Works of Rev. John Wesley, A.M.』 7 vols, Methodist Book Concern, 1831, New York, Calton and Parter, 1865.
L. Berkhop. 『Systematic Theology』 Eerdmans, 1974.
Herman Hoeksema. 『Reformed Dogmatics』 Grand Rapids, 1976.
Karl Barth. 『Church Dogmatics』 tr by. G.W.Bromiley, Edinburgh : T. & T. Clark, 1956.
John Emory. 『The Works of Rev. John Wesley, A.M.』 7 vols, (Methodist Book Concern, 1831), New York, Calton and Parter, 1865.
Abraham Kuyper. 『Lectures on Calvinism』 Grand Rapids : Erdmans, 1983.
Bernhard Lohse. 『A Short History of Christian Doctrine』 Philadelpia : Fortress Press, 1980.
2. 논문류
이덕만. "칼 바르트의 敎會論 연구," 장신대 신대원 미간행석사학위논문, 1991.
이혁근. "어거스틴의 敎會觀 연구," 서울신대 미간행석사학위논문, 1982.
이선영. "에밀부르너의 敎會論," 연세대 연합신대 미간행석사학위논문, 1985. 12.
김광식. "칼뱅의 敎會論," 아세아연합대학 신대원 미간행석사학위논문, 1990.2.
3. 사전류
게르하르트 킷텔, 게르하르트 프리드리히 공편저. 『新約聖書 神學辭典』
제프리 W 브라밀리 편역, 서울 : 요단출판사, 1986.
아가페 성경사전 편찬위원회편. 『아가페 성경사전』 서울 : 아가페 출판사, 1992.
4. 기타
총회 헌법 개정 위원회편. 『대한 예수교 長老회 헌법』 서울 : 韓國長老교 출판사, 1987.
김명룡. 국민일보 평신도 신학강좌면 『敎會論』편, 서울 : 국민일보사.
NIV 주석 성경 편찬 위원회. 『NIV 주석 성경』 서울 : 도서출판 엠마오, 1987.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ch.25, V.1,2.
Ⅴ. 결론
우리는 이상에서 오늘날 敎會의 敎會觀에 대한 위기 상황을 살펴 보았다. 敎會觀이 정립되지 않으면 안 될 지경에 이른 것이다. 아무도 敎會의 본질에 대한 바른 이해와 敎會가 하는 일과 기능에 대하여 바로 이해하지 못한다면 우리는 또 다른 종교개혁의 문제에 봉착하게 될 것이다. 이제 우리들에게 주어진 올바른 선생이신 성령과 그분의 영감으로 씌여진 성경과 역사적 사실들을 통하여 바른 敎會觀을 정립해야 하는 것이다.
우리는 결코 서양과 같은 전철을 밟아서는 안된다. 종교개혁의 본산지인 독일, 스위스 등의 현재상황을 묵과해서는 안된다. 할머니와 할아버지 이외엔 젊은이들을 도무지 찾아볼 수 없는 독일을 한번 생각해 보기 바란다. 설교시 오직 정치가 어떻고 구제를 어떻게 해야 한다고 그렇게 외치는 목회자들 앞에 복음은 자취를 감추고 만 것이다. 한때 부흥각성 운동으로 인하여 미국에 세워진 바로 그 敎會들이 선술집으로 변하고 있다는 현실정은 무엇을 말해주고 있는가? 오늘날 敎會는 이 사회에 무슨 일을 감당해야 하는가?
우리는 상기에서 敎會가 무엇인가 그리고 敎會가 하는 일이 무엇이며, 그 기능이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바른 敎會상, 그것은 오늘 韓國敎會가 담당하고 회복해야 가장 큰 과제인 것이다. 이 세상으로부터 선택받은 무리들로서 그리스도의 몸을 이루고 있는 敎會, 또한 성도들의 거룩하고 분별된 그리고 하나 된 사귐이 절실히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敎會에 대한 바른 이해를 했다면 이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봉사와 섬김의 사역을 세상으로 돌려야 할 것이다. 그것은 바로 우리에게 주어진 주님의 마지막 부탁일 지도 모른다. 敎會가 敎會의 본질과 사명을 잊고 방황할 때, 예수님은 오늘도 십자가 위에서 내려올 수 없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1. 서적류
김의환. "개혁주의 敎會觀," 『신학정론』 통권 제 20호, 제11권 1호
수원 : 합동신학 교 신학정론사, 1993. 4.
김형모. 『10대, 이렇게 도우세요』 서울 : 쪽지사, 1993.
하문호. 『基礎 敎義神學』 제6권 敎會論, 서울: 韓國로고스연구원, 1983.
박형룡. 『敎義神學』 제 6권 敎會論, 서울 : 백합서원, 1975.
조종남. 『요한 웨슬레의 신학』 서울 : 대한기독교출판사, 1984.
이양호. "루터의 敎會論" 『현대와 신학』 제 17집, 1993.
전경연. 『칼뱅의 생애와 신학사상』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4.
은준관. 『칼 바르트의 敎會論의 이해』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77.
이종성 박사 고희기념 논문집 간행위원회편, 『敎會과 신학』 서울 : 대한 기독교 서회, 1992.
한철하. 『고대기독교 사상』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85.
이장식. 『기독교 사상사』 제 2권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83.
폴 D. L. 아비스. 『종교개혁자들의 敎會觀』 이기문역 서울: 컨콜디아사, 1987.
빌헬름 니젤. 『칼뱅의 신학』 이종성역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90.
깔뱅. 『기독교 강요』 김종흡외 공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88.
헤르만 리델보스. 『바울신학』 박영희역 서울 : 개혁주의 신행협회, 1985.
J. L. 니이브. 『기독교 교리사』 전 2권 서남동역 서울 : 대한 기독교서회, 1979.
한스. 킴. 『敎會란 무엇인가』 이홍근역 왜관 : 분도출판사, 1992.
W. W. Stevens, 하긴역. 『Doctrine of the Christian Religion(조직신학개론)』
서울 : 요단출판사, 1979.
John Emory. 『The Works of Rev. John Wesley, A.M.』 7 vols, Methodist Book Concern, 1831, New York, Calton and Parter, 1865.
L. Berkhop. 『Systematic Theology』 Eerdmans, 1974.
Herman Hoeksema. 『Reformed Dogmatics』 Grand Rapids, 1976.
Karl Barth. 『Church Dogmatics』 tr by. G.W.Bromiley, Edinburgh : T. & T. Clark, 1956.
John Emory. 『The Works of Rev. John Wesley, A.M.』 7 vols, (Methodist Book Concern, 1831), New York, Calton and Parter, 1865.
Abraham Kuyper. 『Lectures on Calvinism』 Grand Rapids : Erdmans, 1983.
Bernhard Lohse. 『A Short History of Christian Doctrine』 Philadelpia : Fortress Press, 1980.
2. 논문류
이덕만. "칼 바르트의 敎會論 연구," 장신대 신대원 미간행석사학위논문, 1991.
이혁근. "어거스틴의 敎會觀 연구," 서울신대 미간행석사학위논문, 1982.
이선영. "에밀부르너의 敎會論," 연세대 연합신대 미간행석사학위논문, 1985. 12.
김광식. "칼뱅의 敎會論," 아세아연합대학 신대원 미간행석사학위논문, 1990.2.
3. 사전류
게르하르트 킷텔, 게르하르트 프리드리히 공편저. 『新約聖書 神學辭典』
제프리 W 브라밀리 편역, 서울 : 요단출판사, 1986.
아가페 성경사전 편찬위원회편. 『아가페 성경사전』 서울 : 아가페 출판사, 1992.
4. 기타
총회 헌법 개정 위원회편. 『대한 예수교 長老회 헌법』 서울 : 韓國長老교 출판사, 1987.
김명룡. 국민일보 평신도 신학강좌면 『敎會論』편, 서울 : 국민일보사.
NIV 주석 성경 편찬 위원회. 『NIV 주석 성경』 서울 : 도서출판 엠마오, 1987.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ch.25, V.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