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언
II. 시민복지운동의 역사적 배경
III. 시민복지운동의 이론적 접근
IV. 시민복지운동의 과제와 전망
1. 시민복지운동단체와 정부와의 계약관계 대폭 증대
2. 시민복지운동단체와 정부간의 파트너쉽 모형
3. 시민복지운동단체와 사회기획모형
4. 시민복지운동단체의 책임성과 장기적 비전
5. 시민복지운동단체에 대한 정부의 평가
6. 시민복지운동단체와 정부와의 새로운 관계개선
V. 결 어
참 고 문 헌
*한글97
II. 시민복지운동의 역사적 배경
III. 시민복지운동의 이론적 접근
IV. 시민복지운동의 과제와 전망
1. 시민복지운동단체와 정부와의 계약관계 대폭 증대
2. 시민복지운동단체와 정부간의 파트너쉽 모형
3. 시민복지운동단체와 사회기획모형
4. 시민복지운동단체의 책임성과 장기적 비전
5. 시민복지운동단체에 대한 정부의 평가
6. 시민복지운동단체와 정부와의 새로운 관계개선
V. 결 어
참 고 문 헌
*한글97
본문내용
. 그러나 만일 이런 평가를 이용하여 시민복지운동단체를 억압하고 강압적 정부개입을 기도하려는 목적이 있으면 안될 것이다. (6) 시민복지운동단체와 정부는 새로운 관계를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즉 (i) 정부와 시민복지단체들간에서 계약은 상호관계에서 이루어져야 할것이고 시민단체들의 고유한 목적과 전문성은 유지되어야 할 것이다. (ii) 시민복지운동단체들이 전문적인 활동을 하기 위하여 재정적인 지원과 이들이 모금활동을 할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세금감면조치도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iii) 시민복지운동단체들이 정치적인 외부적 압력을 받아 시민단체들의 고유한 목적을 수행하는데 방해를 하지 말아야 되고 부작용이 일어나지 않도록 최소화하여야 한다. (iv) 서구 선진국들의 경험을 우리 나라에서도 이용하기 위하여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여건을 개선하여야 할것이다.
만일 이러한 시민들의 복지에 대한 욕구가 충족 되지 않을 때에는 사회불균형이 초래 될것이고 이에 대한 불만으로 지존파와 막가파 같은 행동이 다시 나오지 않으라는 보장이 ,없는 것이다. 빌 게이츠는 생각의 속도라는 유명한 발상을 하였는데 이것을 상기하여야 할것이다. 즉 오늘날 변화의 속도는 빠르게 진전하고 있는데 많은 사람들의 생각은 이를 따르지 못한다면 이것은 불안정하고 불균형된 사회가 될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도 서구 선진국들의 시민복지운동의 경험을 빠른 속도로 받아들이고, 토착화하여, 정부의 예산부족과 전문적 서비스 제공의 부족 등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서 시민복지운동을 통하여 시민복지를 증진하여야 할것이다.
참 고 문 헌
김종길, "사회복지관", 한국사회보장제도의 재조명,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창설 30주년 기념논문집, 한국복지정책연구소 출판부, 1992.
문인숙, "이화사회복지관의 역사적배경과 역할", 사회복지관논집, 1977.
조선일보, 2000년 1월 18일.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경제사회의 근대화, 1981.
Naomi Brill, Working with People: The Helping Process, Philadelphia: Lippincott, 1973.
D. Collier and R. Messick, "Prerequisites Versus Diffusion: Testing Alternative Explanations of Social Security Adoption",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69, 1975.
Fred Cox, "Community Organization Practice 1895-1973," in Fred Cox et al., Stratagies of Community Organization, 3rd ed. Itasca, III: F. E. Peacock, 1975.
A. P. Flora and J. Alber, Modernization, Democrat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Welfare States in Western Europe, New Brunswick, N.J.: Transaction Book, 1981.
Marilyn L. Flynn, "Accountability, Government Partnerships and NGOs: The Path to Improved Public Support and Legitimization" The 1999 Seoul International Conference.
P. H. Glasser and C. D. Garvin, "Social Group Work: The Organizational and Developmental Approach", Encyclopedia of Social Work, 1977.
Howard Goldstein, Social Work Practice: A Unitary Approach, Columbia: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973.
G. Konopka, in W. A. Friedlander(ed.), Concepts and Methods in Social Work,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76.
Ronald Lippit, Jeanne Watson, and Bruce Westley, The Dynamics of Planned Change, New York: Hartcourt, Brace, 1958. Max Siporin, Introduction to Social Work Practice, New York: Macmillan, 1975.
F. Piven and R. Cloward, Poor People's Movement: Why They Succeed, How They Fall, New York: Random House, 1977.
Murray G. Ross, Community Organization Theory and Principles, New York: Harper, 1955.
Jack Rothman, "Three Models of Community Organization Practice," Social Work Practice, 1968.
W. W. Rostow, The Stages of Economic Growth, Forge Village, Massachusetts: The Murray Printing Company, 1962.
S. K. Schneider, "The Squential Development of Social Program in Eighteen Welfare States," Comparative Social Research 5: pp.195-200 1982.
C. Tilly, From Mobilization to Revolution, Reading, MA: Addison Wesley, 1978.
H. Wilensky, The Welfare State and Equalit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5.
만일 이러한 시민들의 복지에 대한 욕구가 충족 되지 않을 때에는 사회불균형이 초래 될것이고 이에 대한 불만으로 지존파와 막가파 같은 행동이 다시 나오지 않으라는 보장이 ,없는 것이다. 빌 게이츠는 생각의 속도라는 유명한 발상을 하였는데 이것을 상기하여야 할것이다. 즉 오늘날 변화의 속도는 빠르게 진전하고 있는데 많은 사람들의 생각은 이를 따르지 못한다면 이것은 불안정하고 불균형된 사회가 될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도 서구 선진국들의 시민복지운동의 경험을 빠른 속도로 받아들이고, 토착화하여, 정부의 예산부족과 전문적 서비스 제공의 부족 등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서 시민복지운동을 통하여 시민복지를 증진하여야 할것이다.
참 고 문 헌
김종길, "사회복지관", 한국사회보장제도의 재조명,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창설 30주년 기념논문집, 한국복지정책연구소 출판부, 1992.
문인숙, "이화사회복지관의 역사적배경과 역할", 사회복지관논집, 1977.
조선일보, 2000년 1월 18일.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경제사회의 근대화, 1981.
Naomi Brill, Working with People: The Helping Process, Philadelphia: Lippincott, 1973.
D. Collier and R. Messick, "Prerequisites Versus Diffusion: Testing Alternative Explanations of Social Security Adoption",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69, 1975.
Fred Cox, "Community Organization Practice 1895-1973," in Fred Cox et al., Stratagies of Community Organization, 3rd ed. Itasca, III: F. E. Peacock, 1975.
A. P. Flora and J. Alber, Modernization, Democrat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Welfare States in Western Europe, New Brunswick, N.J.: Transaction Book, 1981.
Marilyn L. Flynn, "Accountability, Government Partnerships and NGOs: The Path to Improved Public Support and Legitimization" The 1999 Seoul International Conference.
P. H. Glasser and C. D. Garvin, "Social Group Work: The Organizational and Developmental Approach", Encyclopedia of Social Work, 1977.
Howard Goldstein, Social Work Practice: A Unitary Approach, Columbia: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973.
G. Konopka, in W. A. Friedlander(ed.), Concepts and Methods in Social Work,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76.
Ronald Lippit, Jeanne Watson, and Bruce Westley, The Dynamics of Planned Change, New York: Hartcourt, Brace, 1958. Max Siporin, Introduction to Social Work Practice, New York: Macmillan, 1975.
F. Piven and R. Cloward, Poor People's Movement: Why They Succeed, How They Fall, New York: Random House, 1977.
Murray G. Ross, Community Organization Theory and Principles, New York: Harper, 1955.
Jack Rothman, "Three Models of Community Organization Practice," Social Work Practice, 1968.
W. W. Rostow, The Stages of Economic Growth, Forge Village, Massachusetts: The Murray Printing Company, 1962.
S. K. Schneider, "The Squential Development of Social Program in Eighteen Welfare States," Comparative Social Research 5: pp.195-200 1982.
C. Tilly, From Mobilization to Revolution, Reading, MA: Addison Wesley, 1978.
H. Wilensky, The Welfare State and Equalit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5.
추천자료
미국의 사회복지 운동 사례조사
시민사회에 있어서 불교사회복지의 역할(배경, 형성,역할, 과제 등)
인보관운동과 지역사회복지
시민법 원리와 사회복지법 원리
지역사회시민의 욕구와 지역사회복지실천의 방안
사회복지법의 발달배경을 시민법 중심으로 간략하게 설명하고, 사회적 기본권의 중요성에 대...
[1970년대, 노동통제]1970년대의 노동통제, 1970년대의 실업문제, 1970년대의 노동관계, 1970...
사회복지시설에서 모금운동에 대해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각자 모금 방법을 제시
지역사회복지 운동단체의 설립과 활동에 대하여 조사 하고 그 성격에 대하여 논의.
[사회복지법제론] 사회복지법의 역사적 전개과정 - 사회복지법, 시민법과 사회법, 외국사회복...
사회복지 역사(발달사)를 공부하는 이유(유용성) 및 음모이론, 시민권론 등 사회복지발달의 ...
[아동복지론 兒童福祉論] 위스타트(WE Start) 운동과 드림스타트(Dream Start)에 대한 이해와...
인보관 운동이 사회복지발전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논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