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거스틴의 시간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 장. 서론

제 2 장. 시간과 창조

제 3 장. 시간의 본질

제 4 장. 시간과 측정

제 5 장. 시간의 무상성과 하나님의 은혜

제 6 장. 결론

본문내용

급하고 있는데 "시간의 본질이 무엇이냐?"라는 질문에 대해 그는 한마디로 명쾌하게 정의할 수 없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과거는 이미 존재하지 않고 미래는 아직 존재하지 않으며 현재는 항상 과거로 옮겨져 버리기 때문이다.
시간의 순간을 포착하여 고정해야만 포착된 순간을 정점으로 미래, 현재, 과거로 구분해서 이해할 수 있는데 현재란 계속적으로 흘러가 버리므로 결국 시간을 잡아둘 수 없다.
이런 이유로 해서 결코 "시간의 동안"은 측정할 수 없다고 그는 말하고 있다. 과거, 현재, 미래의 현존성에 대한 이런 부정적인 발언에도 불구하고, 즉 그가 보기엔 과거, 현재, 미래 중 그 어느 것 하나라도 순식간에 사라져 버려 존재할 수 없는 데도 불구하고 이 세 가지 시간은 존재한다고 말한다. 바로 과거, 현재, 미래를 의식 내재적인 시간성으로 바꿀 때 과거, 현재, 미래는 존재하는 것이다.
과거란 이미 사라져 버렸으므로 현재 존재하진 않지만 마음 속에서 기억의 작용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현재 또한 미래에서 과거로 계속적으로 흘러가 버리므로 현재를 포착할 수 없지만 직관의 작용으로 현재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고 미래 역시 영혼 속에서 기대의 작용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기억, 직관, 기대는 영혼 속에서 일어 나고 있는 작용이므로 현재는 정적인 순간이 아니라 과거에 대한 기억과 미래에 대한 기대와 현재에 대한 직관으로 구성하는 일존의 연장으로 경험되는 것이다. 비록 영혼 속에서 시간이 존재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시간은 게속적으로 흘러가 없어지고 마는 것이 바로 시간이 가변성을 가졌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하나님이 피조물을 창조하실 때 무로 부터 창조했기 때문에 끊임없이 무로 돌아가려는 성향을 지녔다는 의미이다.
절대 무에서 무형의 질료를 만들고 여기에 말씀을 가(加)하심으로써 무형의 질료들이 동시적으로 피조물들이 창조되었다. 시간 역시 절대 무에서 창조함을 받았기 때문에 끊임없이 무로 돌아 가려는 경향이 있다.
가변성을 가지고 무상성으로 끊임없이 파괴되는 시간이 자기에 동일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영원에게로 향해야 한다. 영원으로 매개될때 만이 시간이 무로 와해되지 않고 자기의 동일성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어거스틴은 시간이 영원 속에 매개된 사건이 바로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이라고 말하고 성육신 사건 속에서 영원자의 사랑이 나타난다고 했다.
參 考 文 獻
<單 行 本>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 최민순 역. 서울:성바오로출판사, 1982.
--------------. 「하나님의 도성」. 정정숙 역. 서울:정음출판사, 1983.
야마다 아끼라. 「어거스틴 신학강좌」. 윤원호 역.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89.
선한용. 「시간과 영원」. 서울:성광문화사, 1986.
<論 文>
김태규.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 이론." 「신학전망」 1986.
선한용. "어거스틴의 '신국론'에 나타난 '두 도성에 대한 문제 연구." 「신학과 세 계」 12호, 1986.
------. "성어거스틴의 있어서의 시간에 대한 문제 연구." 「신학과 세계」 8호, 1982.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10.03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49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