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거스틴의 사상적 특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역사적 배경

Ⅲ.고백록 (confessions)

본문내용

론. 미래에 대한 안식. p.521.
p.19."당신은 우리를 당신을 향해 살도록 하셨기에 " : 안식
어거스틴은 면밀히 정확하게 자기의 구상을 썼다.
1권 : 출생 ---------------- 9권 : 영적 출생
2권 : 죄.배나무------------ 8권 : 무화과
3권 : 진리 ---------------- 7권
4권 : 친구 ---------------- 6권
5권
2권 배나무(선악과를 사과나무로 이해하지만, 제롬이 쓴 불가타 성경에 의하면 선악과가 배나무로 나와있다.)
하지 말라고 하는 것을 하는 재미)
8권 무화과 -십자가를 상징. 십자가 밑에서 새로 태어난다. 죄를 저질르고 무화과 나무로 가리운 이유 . 이레니우스" 무화과 나뭇잎은 껄끄럽다. 아프다. 이것은 참회를 말한다. 참회를 통해서 얻어진 것은 하나님의 자비이다." 어거스틴의 회심은 무화과 나무 십자가 밑에서 다시 태어난 것이다.
3권 : 진리에 대한 사랑이 움터. 철학에 대한 관심 키케로.
7권에서 플라톤주의자와 만나, 지적인 회심을 한다.
4권 - 친구. 마니교 신자가 되어, 마니교의 감독 파우스투스를 만나자, 마니교를 떠날 결심을 하게 된다.
밀라노에 가서 암부로시우스를 만나게 된다.
4. 어거스틴의 신학적인 배경
콘스탄틴황제가 로마제국을 통일했다. 324년에 완전히 통일.(어거스틴이 태어나기30년전). 기독교가 정치적 세력과 연관을 갖게된다. 사제와 감독은 정치력을 행사, 감독은 정치권까지 행사, 교회는 세금은 면제되면서 헌금으로 인해 부해진다.
제도화되고 이교도가 기독교에 박해를 받는 상태에 이르게된다.
Tempora Christiana 기독교 시대.
이제 박해에서 풀려나 황제와 연회하는 자리에서 유세비우스가 환상을 본다. 이것이 메시야 왕국의 전제라고 보게된다. 콘스탄틴 황제를 통해 이땅에 메시야 왕국이 도래한다고 보게 된다.
미래를 향한 종말론적인 완성을 바라보고 나가는 공동체인가 ?
이 당시에는 교인들이 거룩해야 교회가 거룩하다는 논쟁이 많았다.
이때에 어거스틴은 "우리가 믿는 하나님의 거룩함 때문에 거룩한 공동체이다."교회에 대한 본질 규명이 새로이 되었다.
부도덕한 성직자의 세례가 정당한가 ? 도나투스들은 재세례주장.
어거스틴은 "거룩한 사제만이 세례를 준다고 한다면 이 세상에서 세례를 줄사람도 받을 사람도 없다. "
그 다음에는 수도원 운동이 일어났다. 교회가 세속화되면서 참기독교인은 광야로 떠난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10.03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49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