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YBER KOREA 21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CYBER KOREA 21
-*창조적 지식기반국가 건설을 위한 정보화 VISION*-

1. CYBER KOREA 21 수립배경

2. CYBER KOREA 21 목표

3. CYBER KOREA 21 중점추진과제

4. 결 론

본문내용

- 우리나라의 정보통신산업은 성장률이 1996년 18.2%, 1997년 25.9%, 1998년 18.1%에 달하는 고성장산업임
당면한 실업문제를 극복하고, 다가오는 21세기 지식기반경제의 기반을 다지기 위해
- 인터넷 기반의 신산업을 활성화하고 정보통신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100만 일자 리 창출
■.인터넷 기반의 신산업 육성
ㄱ.전자상거래 활성화
ㄴ.정보제공사업(IP)과 정보유통사업(ISP) 육성
ㄷ.S/W산업 활성화
ㄹ.정보통신 벤처기업 활성화
ㅁ.문화산업 육성
■.정보통신산업 활성화
ㄱ.정보통신 연구개발 및 인력양성
ㄴ.정보통신 기기산업 육성 및 해외진출 강화
4. 결 론
정보화를 통해 창조적 지식기반 국가건설의 기틀을 마련하고 국가경쟁력과 국민 삶의 질을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한다는 것이 목표이다. 구체적으로 2002년 지식기반산업의 국내총생산(GDP) 비중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하고, 세계 10위권의 지식 정보화 선진국으로 발전한다는 목표를 제시한다.
기본 목표는 첫째, 정보통신망의 고속화 고도화를 적극 추진하여 2002년까지 지금보다 100배 빠른 인터넷을 구현하여 초고속정보통신망을 효과적으로 구축한다는 것이다. 또한 통신시장의 경쟁활성화와 공정경쟁여건을 조성하고, 초고속망 조기구축을 위한 제도적 지원과 선도시험망 고도화와 차세대 인터넷의 연구개발을 추진한다.
둘째, 운영시스템의 글로벌화를 추진하여 인터넷시대에 적합한 개방형 표준을 개발 보급하고, 인터넷 이용환경을 개선하여 국가지식정보자원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활용한다.
셋째, 세계에서 컴퓨터를 가장 잘 쓰는 나라로 만들기 위해 2001년까지 인터넷 사용자를 1천만 명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것이다. 전국민 대상으로 정보화교육을 실시하고, 컴퓨터소양 인증제도를 도입하며 1인 1PC 환경을 구현하고, 인터넷 플라자를 육성한다.
넷째, 지식기반사회로의 전환에 맞는 법 제도 환경정비를 한다는 것이다.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법 제도를 정비하고, 지식정보기반산업의 촉진을 위한 제도의 보완, 공공행정절차와 방식을 혁신하고, 창의적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개혁, 정보화 책임관제도의 활성화를 추진한다.
다섯째, 안전한 정보이용체계와 건전한 정보문화구현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정보시스템의 안전 신뢰성을 확보하며, 인터넷에 제2의 국토를 개척하고 신산업을 육성하여 기존산업과 신산업의 균형있는 발전을 도모한다.
사이버공간에 전자상거래 정보유통사업 정보제공사업 소프트웨어 컨텐츠 등 다양한 산업의 토대를 마련하여 2002년까지 70만 명의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 계획이다. 또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정보통신 품목을 집중 육성하여 수출증대를 이룬다.
정책이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정보화의 척도인 전자상거래도 전체기업의 75% 이상이 이용하고, 시장규모도 1998년 550억 원에서 2002년에는 60배가 넘는 3조 8000억 원으로 늘어나게 된다. 2000년 현재 22위에 머물고 있는 한국의 정보화 수준을 2002년에는 10위권으로 올리겠다는 정보화계획이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10.03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0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