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A. 문제의 제기 및 의도
B.연구 방법 및 범위
II.시대적인 배경
III.어거스틴의 생애와 사상의 발전
A. 탄생과 어린시절
B.어거스틴과 마니교
1.마니교의 발전과 원리
2.어거스틴과 마니교의 관계
C. 어거스틴과 신플라톤주의
D.회심
IV.어거스틴의 사상이 후대에 끼친 영향
A.중세 교회 시대
B.종교 개혁 시대
1. 마틴 루터
2. 존 칼빈
V.결론
A. 문제의 제기 및 의도
B.연구 방법 및 범위
II.시대적인 배경
III.어거스틴의 생애와 사상의 발전
A. 탄생과 어린시절
B.어거스틴과 마니교
1.마니교의 발전과 원리
2.어거스틴과 마니교의 관계
C. 어거스틴과 신플라톤주의
D.회심
IV.어거스틴의 사상이 후대에 끼친 영향
A.중세 교회 시대
B.종교 개혁 시대
1. 마틴 루터
2. 존 칼빈
V.결론
본문내용
는 모두 어거스틴의 두 나라가 왜곡된 형태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고 하겠다.
B.종교 개혁 시대
1. 마틴 루터
루터는 분명히 어거스틴에게서 그의"두 왕국론"의 영감을 받았음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루터는 영적인 두 왕국의 분명한 구분을 이야기하면서도 국가와 교회라는 두 가시적인 제도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이 점은 어거스틴보다 진전한 것으로서 어거스틴은 두 나라의 역사성을 말하였으나, 두 나라를 구체적인 지상의 제도와는 관련시켜서 언급하지 않았던 것이다. 루터는 국가를 매우 긍정적으로 본다. 그는 국가란 "제도를 통한 하나님의 능력"에 속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 위의 책, 166.
결국 어거스틴의 두 나라의 이론은 루터에게 두 왕국론에 영감을 부여하였을 바, 두 왕국의 구분을 통한 중세 교회와 국가 관계에 대한 비판이 이로써 가능케 되었다고 하계다. 또한 루터에게로서 두 나라의 영적 성격 외에도 국가와 교회의 관계에 대한, 특히 국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하게 됨으로써, 영적인 두 나라를 현실적인 제도와 무조건 비교하는 데서 오던 중세기적 무리를 벗어 날 수 있게 되었고, 가장 핵심적인 기독교인의 윤리에 대한 폭넓은 이해의 길이 열렸다고 하겠다.
2. 존 칼빈
칼빈 역시 두 왕국에 관해 이야기함으로써 어거스틴의 두 나라의 사상을 이어 받고 있다. 그의 견해는 대체로 루터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그는 국가의 질서는 양심 위에 기초하고 있으며, 이것이 주님의 뜻인 한 이 국가 영역에서 순종의 삶을 살아야 한다고한다. 양심의 법이 국가 질서 속에 담겨 있으므로 양심을 위하여 국가의 공직자에게 복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에서 볼 수 있듯이 루터와 칼빈은 모두 아우구스티누스의 고전적인 두 나라의 견해에 입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두 나라 사상은 루터와 칼빈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면서 발전적으로 전개된다고 할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역사 이해는 칼빈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다. 20세기에 들어와서 칼 바르트나 본 훼퍼, 헬무트 틸리케 등에게서도 그 형태를 달리하면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현대 신학에 이르기까지의 역사 이해와 기독교 윤리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신학의 주제가 되고 있다고 할 것이다.
V.결론
어거스틴은 제국의 몰락직전에 살았다. 그는 힙포의 마지막 감독이었다. 반달족들은 지중해의 지배자가 되었고 북아프리카는 황폐한 땅이 되었다. 백년이 지나자 아랍인들은 새 언 어와 새 종교, 곧 이슬람교를 가져와 그 땅에 쏟아 부었다. 힘포 시 자체가 사라졌고 거기에는 더 이상 라틴어가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스도가 더 이상 존중되지 않는 집들이 세워졌다. 19세기에 프랑스가 알제리를 점령하고 과거의 힙포의 자리가 내려다보이는 언덕에 어거스틴을 기념한 교회당을 지었다. 오늘날 그 주변지역에는 적은 숫자의 로마 카톨릭 신자들이 살고 있을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거스틴은 그 자신의 시대를 초월해서 모든 시대를 위한 인물이 되었다. 신, 구교의 신학자들은 자신들의 논제를 변호하지 위해 다같이 어거스틴에게 호소한다. 어거스틴과 더불어 교의신학의 발전의 무대를 동방에서 서방으로 옮겨졌다. 동방의 그리스도교 사상가들이 지닌 영성주의는 여전히 힘을 발휘하고 있었지만,
이제 현실적 실천에 보강된 모습을 나타내게 되었다. 철두철미한 그의 신중심사상, 은총의 신학, 사랑을 궁극의 가치로 하는 그의 도덕은 그리스도교 역사에 실로 위대한 자취와 영향을 남겼다.
또 한가지 중요한 사실은 그의 역사 이해가 철저히 성서에 기초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두 왕국에 대한 견해와 섭리사관, 성육신하신 예수 그리스도를 역사의 중심으로 보는 것, 및 종말론 모두를 성서에서 이끌어 오고있다. 모름지기 그리스도인들의 삶의 궁극적 지표가 성서임을 생각할 때 우리는 그의 접근방식에 경의를 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그는 성경의 역사와 일반역사를 하나로 하는 역사의 종합을 시도하였다. 그는 유세비우스의 일반역사를 하나로 하는 역사의 종합을 시도하였다. 그는 유세비우스의 일반사 개념을 발전시키면서 구원사로서의 성서의 역사와 일반사를 하나로 묶음으로써 그는 모든 역사가 하나님의 손 아래 있다는 주장을 가능케 하였다. 그의 보편사 개념은 후에 일반사 연구에 있어서 세계사개념을 확립하는 데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하겠다.
어거스틴의 행복추구는 매우 기독교적인 것으로 그리스도만이 행복에 이르는 유일한 길인 것이다.
) 강근환, 「어거스틴 행복추구」, (부천: 서울신학대학, 1880), 73.
참으로 그리스도인의 이상은 그리스도를 소유하는 곳이고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사는 삶이다. 그리고 그러한 그리스도를 보내주신 하나님에 대한 전적인 신뢰도 강조하고있다.
어거스틴은 그리스도교사상에서 한 낡은 전통의 종말이었고 그 이후에 발전되었던 새로운 전통의 근원이었다.
< 참고문헌>
1) J.L. Gonzales. 「기독교 사상사」.제2권 이형기. 차종순 공역.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 출판국, 1989.
2) Karl Jaspers. 「어거스틴의 생애와 사상」.김쾌상 역. 서울: 전망사, 1981
3) J.J. Saunders. "로마 침략에 관한 논쟁" 지양식 편역. 「로마 사회의 제문제」.서울: 고대 출판사 1977.
4) G. finaly. Greece under the Romans, ch, I, Sect.
5) D.D. Knowles. ST. Augustine in Diversity of History ed by J.H. Ellot
6) B.B. Warfield. Calvine& Augustine, Philadelphia: Presbyterian Reformed Co., 1074.
7)임영천.「세걔인물 기독교회사」. 서울: 풀하 목회, 1989.
8) Michael Marshall. 「어거스틴의 생애」. 김원준 역 서울: 나침반,1989.
9) E.S. Moyer. 「인물 중심의 교회사」.곽안전. 심재원 공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1.
10) St. Augustine. 「참회록」. 김종웅 옮김. 서울: 크리스찬 다이제스트.
B.종교 개혁 시대
1. 마틴 루터
루터는 분명히 어거스틴에게서 그의"두 왕국론"의 영감을 받았음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루터는 영적인 두 왕국의 분명한 구분을 이야기하면서도 국가와 교회라는 두 가시적인 제도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이 점은 어거스틴보다 진전한 것으로서 어거스틴은 두 나라의 역사성을 말하였으나, 두 나라를 구체적인 지상의 제도와는 관련시켜서 언급하지 않았던 것이다. 루터는 국가를 매우 긍정적으로 본다. 그는 국가란 "제도를 통한 하나님의 능력"에 속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 위의 책, 166.
결국 어거스틴의 두 나라의 이론은 루터에게 두 왕국론에 영감을 부여하였을 바, 두 왕국의 구분을 통한 중세 교회와 국가 관계에 대한 비판이 이로써 가능케 되었다고 하계다. 또한 루터에게로서 두 나라의 영적 성격 외에도 국가와 교회의 관계에 대한, 특히 국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하게 됨으로써, 영적인 두 나라를 현실적인 제도와 무조건 비교하는 데서 오던 중세기적 무리를 벗어 날 수 있게 되었고, 가장 핵심적인 기독교인의 윤리에 대한 폭넓은 이해의 길이 열렸다고 하겠다.
2. 존 칼빈
칼빈 역시 두 왕국에 관해 이야기함으로써 어거스틴의 두 나라의 사상을 이어 받고 있다. 그의 견해는 대체로 루터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그는 국가의 질서는 양심 위에 기초하고 있으며, 이것이 주님의 뜻인 한 이 국가 영역에서 순종의 삶을 살아야 한다고한다. 양심의 법이 국가 질서 속에 담겨 있으므로 양심을 위하여 국가의 공직자에게 복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에서 볼 수 있듯이 루터와 칼빈은 모두 아우구스티누스의 고전적인 두 나라의 견해에 입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두 나라 사상은 루터와 칼빈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면서 발전적으로 전개된다고 할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역사 이해는 칼빈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다. 20세기에 들어와서 칼 바르트나 본 훼퍼, 헬무트 틸리케 등에게서도 그 형태를 달리하면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현대 신학에 이르기까지의 역사 이해와 기독교 윤리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신학의 주제가 되고 있다고 할 것이다.
V.결론
어거스틴은 제국의 몰락직전에 살았다. 그는 힙포의 마지막 감독이었다. 반달족들은 지중해의 지배자가 되었고 북아프리카는 황폐한 땅이 되었다. 백년이 지나자 아랍인들은 새 언 어와 새 종교, 곧 이슬람교를 가져와 그 땅에 쏟아 부었다. 힘포 시 자체가 사라졌고 거기에는 더 이상 라틴어가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스도가 더 이상 존중되지 않는 집들이 세워졌다. 19세기에 프랑스가 알제리를 점령하고 과거의 힙포의 자리가 내려다보이는 언덕에 어거스틴을 기념한 교회당을 지었다. 오늘날 그 주변지역에는 적은 숫자의 로마 카톨릭 신자들이 살고 있을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거스틴은 그 자신의 시대를 초월해서 모든 시대를 위한 인물이 되었다. 신, 구교의 신학자들은 자신들의 논제를 변호하지 위해 다같이 어거스틴에게 호소한다. 어거스틴과 더불어 교의신학의 발전의 무대를 동방에서 서방으로 옮겨졌다. 동방의 그리스도교 사상가들이 지닌 영성주의는 여전히 힘을 발휘하고 있었지만,
이제 현실적 실천에 보강된 모습을 나타내게 되었다. 철두철미한 그의 신중심사상, 은총의 신학, 사랑을 궁극의 가치로 하는 그의 도덕은 그리스도교 역사에 실로 위대한 자취와 영향을 남겼다.
또 한가지 중요한 사실은 그의 역사 이해가 철저히 성서에 기초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두 왕국에 대한 견해와 섭리사관, 성육신하신 예수 그리스도를 역사의 중심으로 보는 것, 및 종말론 모두를 성서에서 이끌어 오고있다. 모름지기 그리스도인들의 삶의 궁극적 지표가 성서임을 생각할 때 우리는 그의 접근방식에 경의를 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그는 성경의 역사와 일반역사를 하나로 하는 역사의 종합을 시도하였다. 그는 유세비우스의 일반역사를 하나로 하는 역사의 종합을 시도하였다. 그는 유세비우스의 일반사 개념을 발전시키면서 구원사로서의 성서의 역사와 일반사를 하나로 묶음으로써 그는 모든 역사가 하나님의 손 아래 있다는 주장을 가능케 하였다. 그의 보편사 개념은 후에 일반사 연구에 있어서 세계사개념을 확립하는 데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하겠다.
어거스틴의 행복추구는 매우 기독교적인 것으로 그리스도만이 행복에 이르는 유일한 길인 것이다.
) 강근환, 「어거스틴 행복추구」, (부천: 서울신학대학, 1880), 73.
참으로 그리스도인의 이상은 그리스도를 소유하는 곳이고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사는 삶이다. 그리고 그러한 그리스도를 보내주신 하나님에 대한 전적인 신뢰도 강조하고있다.
어거스틴은 그리스도교사상에서 한 낡은 전통의 종말이었고 그 이후에 발전되었던 새로운 전통의 근원이었다.
< 참고문헌>
1) J.L. Gonzales. 「기독교 사상사」.제2권 이형기. 차종순 공역.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 출판국, 1989.
2) Karl Jaspers. 「어거스틴의 생애와 사상」.김쾌상 역. 서울: 전망사, 1981
3) J.J. Saunders. "로마 침략에 관한 논쟁" 지양식 편역. 「로마 사회의 제문제」.서울: 고대 출판사 1977.
4) G. finaly. Greece under the Romans, ch, I, Sect.
5) D.D. Knowles. ST. Augustine in Diversity of History ed by J.H. Ellot
6) B.B. Warfield. Calvine& Augustine, Philadelphia: Presbyterian Reformed Co., 1074.
7)임영천.「세걔인물 기독교회사」. 서울: 풀하 목회, 1989.
8) Michael Marshall. 「어거스틴의 생애」. 김원준 역 서울: 나침반,1989.
9) E.S. Moyer. 「인물 중심의 교회사」.곽안전. 심재원 공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1.
10) St. Augustine. 「참회록」. 김종웅 옮김. 서울: 크리스찬 다이제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