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저 자
2. 출판사
3. 저자의 의도
4. 중요한 단어
2. 출판사
3. 저자의 의도
4. 중요한 단어
본문내용
을때
'과연 신령한 태도인지 아니면 세속적인 태도에 불과한 것은 아닌지?'하는
회의를 가졌다는 사실이 인상적이다.
교회성장 이론에 대한 초보자(tyro)라면 누구나가 갖는 의문인것 같다.
Wagner는 교회성장과학이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유일한 방법은 아니라고 그
절대성은 유보하고 있다. 여기에 동감하면서 -그러나, 교회성장과학의 필
요성을 절감하게 된다.
당장 목회전선에 뛰어들때 가장 일차적이고 현실적인 일은 하나님의 집을
잃은 양을 인도하여 채우는 일이고, 바로 그것이 교회의 존재 이유이기 때
문이다. 여기서, 더우기 교회성장과학이란 인위적 내지는 인본적인 전략,
방법론을 우상화하여 성령의 역사하심을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성
장하는 교회에 하나님께서 성령을 통해 어떻게 일하시는가를 현상적으로 관
찰하여 보편타당한 원리를 세우는 일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바로 이점에 교
회성장 이론의 정당성이 세워진다.
교회성장과학은 성장한 교회의 과거사를 해명하여 시작단계에 있는 교회의
미래사를 해명해 줄 수 있다. K. Barth에 의하면 신학은 교회에 봉사하는
교회성장이론도 교회에 봉사하는 것일찐대 실천신학의 한 분야로서 마땅히
자리잡아야 할줄로 생각한다. 본서를 통해 가장 큰 소득은 교회성장 안목
(Church Growth Eye)를 갖게된 것이다.
또한, 교회성장을 하나님이 기뻐하신다는 확신을 갖게된 것이다. 그러나,
성장이란 숫적 개념외에 질적인 개념을 포함하고 있으며 모든 성장 원리의
주체는 인간이 아니라 결국 성령이심을 겸손히 간직해야 함도 절실히 느낀
다.
'과연 신령한 태도인지 아니면 세속적인 태도에 불과한 것은 아닌지?'하는
회의를 가졌다는 사실이 인상적이다.
교회성장 이론에 대한 초보자(tyro)라면 누구나가 갖는 의문인것 같다.
Wagner는 교회성장과학이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유일한 방법은 아니라고 그
절대성은 유보하고 있다. 여기에 동감하면서 -그러나, 교회성장과학의 필
요성을 절감하게 된다.
당장 목회전선에 뛰어들때 가장 일차적이고 현실적인 일은 하나님의 집을
잃은 양을 인도하여 채우는 일이고, 바로 그것이 교회의 존재 이유이기 때
문이다. 여기서, 더우기 교회성장과학이란 인위적 내지는 인본적인 전략,
방법론을 우상화하여 성령의 역사하심을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성
장하는 교회에 하나님께서 성령을 통해 어떻게 일하시는가를 현상적으로 관
찰하여 보편타당한 원리를 세우는 일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바로 이점에 교
회성장 이론의 정당성이 세워진다.
교회성장과학은 성장한 교회의 과거사를 해명하여 시작단계에 있는 교회의
미래사를 해명해 줄 수 있다. K. Barth에 의하면 신학은 교회에 봉사하는
교회성장이론도 교회에 봉사하는 것일찐대 실천신학의 한 분야로서 마땅히
자리잡아야 할줄로 생각한다. 본서를 통해 가장 큰 소득은 교회성장 안목
(Church Growth Eye)를 갖게된 것이다.
또한, 교회성장을 하나님이 기뻐하신다는 확신을 갖게된 것이다. 그러나,
성장이란 숫적 개념외에 질적인 개념을 포함하고 있으며 모든 성장 원리의
주체는 인간이 아니라 결국 성령이심을 겸손히 간직해야 함도 절실히 느낀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