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정보화 확산을 위한 교육현장의 과제와 발전 방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II. 정보사회와 신교육 패러다임

III. 교육정보화와 교육현장의 과제

IV. 교육정보화 정착을 위한 발전 방안

V. 결론

※ 참고문헌

※ 영문초록

*한글97

본문내용

이러한 참여의 과정, 개발과정을 교과과정에 통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V. 결 론
교육정보화를 위한 계획과 확산과정은 사실 정부의 교육정책계획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특히 인적·물적·행·재정적 인프라구조가 어떻게 구축되어 제공되는가 하는 인프라에 대한 전반적인 접근성에 따라 그 적용이 다양한 형태와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교육정보화의 확산 발전은 인식의 주체가 누구인가, 확산의 대상이 누구인가, 목표가 무엇인가와 같은 분명한 기본과 원칙 하에 중장기적인 계획으로 일관성 있게 추진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원칙과 기본을 찾기 위한 노력으로 현행의 문제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결론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육정보화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는 정책적, 입법적, 제도적인 인센티브를 적극 활용해야 하며, 교육정보화의 목적과 운영 방향을 분명히 해야 한다. 그 목적과 방향에는 교육수혜자 및 공급자의 특성과 역할 그리고 그에 적합한 기술, 정보화 추진 프로그램의 특성, 관련 요원의 능력, 경제적 여건, 특성화된 운영의 목적 등에 대한 사항이 명확히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적절한 인적자원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훈련과 프로그램 개발이 전제되고 있다. 둘째, 교육체제 내에서 기관간의 중복투자로 인한 낭비를 줄이고 경쟁적 개발보다는 보완적인 형태의 개발을 권장하여 비용효과를 확대해야하며 학교와 학교, 유관교육기관간의 교류와 정보 공유를 촉진하도록 해야할 것이다. 셋째, 교사의 주도적 역할이 권장하되 행정, 관리, 자문 기능과 교수의 기능을 분리하여 지원해야할 것이며 정보화 교육 프로그램 및 정보통신기술의 교육과정 통합을 촉진하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이의 교육적 질 관리를 인정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결국 신중하고 지속적인 지원이 가능한 풍토가 교육정보화의 발전적 확산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교육부 (1999). 교육발전 5개년 계획시안.
교육부 (1998). '98 교육정보화 촉진 시행계획.
권오성 (1998). 초등교육정보 지원 시스템의 구축. 한국정보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 178-186.
김영환 (1998). 교육정보화 인프라 구축방향과 문제점. 신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주최 학술세미나 자료집.
김영환 (1999). 가상교육의 실상과 허상. 교육정보공학연구회 세미나 자료집.
김용성 (1998). 교육정보화를 통한 학술. 연구 고도화 방안. 멀티미디어교육지원센터 교육정보화 심포지엄 자료집. pp. 81-97.
김종성 (1998). 교육 정보화의 성공적 실현을 위한 성찰적 접근. 도서관, 53(1), pp. 27-45.
김준형 (2000). 21세기 지식기반 사회 구축을 위한 교육정보화 정책 세미나 발표 자료, 전남대학교.
김회수 (1998a). 교육정보화를 위한 중등교원 연수 프로그램 운영. SchoolNet '98, pp.171-188.
김회수 (1998b). 교단선진화를 위한 멀티미디어 기반구축과 활용. 부산대학교 멀티미디어 교육원 주최 학술세미나 자료집.
박승배 (1998). 교육정보화 과정에서 교사의 저항원인과 그 대처방안. SchoolNet '98 발표자료집.
박인우 (1999). 교육정보교육연구회를 조직하면서. 교육정보공학연구회 세미나 자료집.
방진이 (1996). 영국의 교육정보화 추진 현황. 교육개발, 102('96. 7), pp. 86-91.
손 미 (1999). 자원기반 학습(Resource-Based Learning)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 및 정보소양능력 신장.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13(1), (게재예정).
손 미 (1998). 컴퓨터 네트웍을 활용한 학교교육방법 개선과 그 효과 : 미국 그린우드 중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의 최근 동향, 서울: 학지사.
이상희 (1997). 정보화 시대의 학교와 교사의 역할. 정보화 시대 교육의 선택, 크리스찬 아카데미 편, 대화출판사.
이옥화 (1998). 교육정보화의 현황과 과제 해결을 위한 종합적 접근.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1), pp. 25-38.
이희수 (1998). 정보의 개념적 접근과 의미. 한국교육, 25(2), pp. 145-160.
허운나 (1997). 열린교육의 구현을 위한 교육공학의 역할과 과제. 부산대학교 멀티미디어 교육원 주최 학술세미나 자료집.
Abstract
Problems and Suggestions for the Diffusion of School-Based Educational Informatization
Shon, Mi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informatization in schools and make some suggestions for those problems in terms of the systematic approaches to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toward information age. Topics discussed include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age in general and new educational paradigm in specific; problem situations of current educational informatization in terms of management, teacher training, support system, software and hardware, curriculum integration, and utilization environment in schools; sugges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s of school-based educational informatization focused on empowerment of teachers, students, and school administrators.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2.10.08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7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