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윈 솔루션에 관한자료(win-win solution)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제 목 :
□ 총 페이지수 : 7
□ 목 차:
[갈 수밖에 없는 물류산업의 B2B 마켓플레이스`]

[효성, 디자이너 심설화와 제휴 ]

[온라인 게임과 오프라인 매장이 만났을 때 ]


*한글97

본문내용

들의 의상과 브랜드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흔쾌히 동의한 사례가 제일모직이 처음일 것”이라며 “제일모직이 온라인에서 광고효과를 얼마나 볼 것이냐 지켜보는 관련업체들이 많다”고 했다. 그 결과에 따라 온·오프라인 연계마케팅에 동참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분위기라는 것이다.
게임과 광고 결합한 ‘게임렙’ 등장
온·오프라인의 마케팅 제휴가 활발해지자 이를 연결시켜 주는 광고전문대행사도 생겨나고 있다. 온라인광고 대행업체 디킴스커뮤니케이션즈www.dkims.co.kr는 자신들이 고객으로 확보한 오프라인 기업과 온라인게임 업체들을 연결시키는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현재 넥슨www.nexon.com, 한게임www.hangame.com, 조이온www.joyon.co.kr, 제이씨엔터테인먼트가 이 회사에 PPL 마케팅 대행을 맡긴 것으로 알려졌다. 제이씨엔터테인먼트의 이현정 홍보팀장은 “오프라인 기업 입장에서는 자사의 온라인 광고를 배너광고가 아닌 방법으로 자연스럽게 할 수 있어 PPL을 선호하고 있고 온라인 게임 업체는 광고수익을 기대할 수 있어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이와 같은 게임과 광고를 결합한 신 개념 사업 ‘게임렙’은 현재의 배너 광고나 e메일 마케팅 같은 보편적인 온라인 마케팅 방법을 탈피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한다는 차원에서 의미가 크다.
“게임렙 사업이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한 데에는 인터넷을 주로 이용하는 사람들이 가장 즐기는 부분이 게임이라는 점, 게임이 시간을 보내기 위한 여가수단의 개념에서 21세기 인기 유망직종으로 부상하면서 고부가가치를 지닌 새로운 산업으로 인식이 전환되었다는 점 때문입니다. 게임렙이 인터넷 광고 채널로 급부상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는 얘기죠.”
디킴스커뮤니케이션의 양현숙(30) 과장은 정부에서도 세계 3대 게임강국 진입이라는 목표 아래 이 분야를 육성하기 위해 적극적인 지원이 이뤄질 것으로 보여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인터넷광고 시장 역시 지난 2000년 930억 원, 2001년 2,200억 원, 2002년 4,200억 원으로 매년 100% 이상의 급성장률을 보이고 있어 성공 가능성을 더욱 밝게 해줍니다.”
디킴스커뮤니케이션즈는 ‘네트워크 게임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라는 내용으로 이 부분 사업 모델을 개발하고 특허 출원한 상태.
“디킴스는 동남아, 일본, 중국 시장 등으로 진출하고 있는 국내 게임사들과 국내 콘텐츠를 해외로 수출하는 유통사와의 업무 협약을 추진 중이며 향후 일본의 닌텐도 및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Play Station)용게임, MS의 X-Box 게임에도 이 모델을 접목해 사업 범위를 확대할 예정입니다.”디킴스커뮤니케이션의 이러한 시도는 온라인 게임업체들에서도 반기는 분위기이다.
“오프라인과 연계함으로써 광고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수익모델로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반가운 일이죠.”
걸음마 단계인 온·오프라인 마케팅, 단순한 윈윈 전략이 아닌 확실한 수익모델로 자리잡을 수 있을 지, 눈 여겨볼 일이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10.08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7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