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책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제 목 : 사회복지와 사회복지사단체의 역할

□ 총 페이지수 :
□ 목 차:

<제목차례>
Ⅰ. 서론 1
Ⅱ. 미국 사회사업의 전문화 과정과 현재 2
Ⅲ. 한국 사회사업 전문화의 역사적 과정 5
Ⅳ. 한국 사회사업 전문화와 관련된 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 현황 11
Ⅴ. 결론 및 제언 13

<표차례>

<그림차례>

본문내용

서비스,재가서비스,자조모임지도,지역사회자원동원 및 조직)
사 례 수
총 30 사례
Ⅴ. 결론 및 제언
이상 미국과 한국상황을 살펴보면서 한국 사회사업가들의 전문성향상과 21세기 사회복지를 위한 우리들의 노력을 위해 아래와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먼저, 미국 사회사업의 전문성에 비교하면 한국은 사회사업 전문화가 약 30년 정도의 과정에 불과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위에서 소개된 본 학회의 여러 가지 노력과 견해표시는 많은 한계성을 가질 뿐 아니라 논란이 있을수도 있고, 한국 사회사업 전반의 전문화라는 시각에서 보면 시작에 불과하다고 생각된다. 학제간 팀웨이 주된 개입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즉, secondary setting의 임상실천과 관련을 가진 사회사업가 단체는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 외에도 대한의료사회사업가 협회, 가족치료학회, 학교사회사업학회, 소수의 개업사회사업(private social work)기관 등이 있다. 따라서 차후 사회사업가협회를 구심점으로하고 이들 단체들이 주가되어 유사한 상황속에서의 사회사업 전문화, 현재 미국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임상사회사업 개념과 적용성 그리고 이들을 위한 한국사회사업가들을 위한 자격증 관련 논의 및 합의가 빠른 시일 내 아루어져 사회사업 전문분야확장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둘째로 21세기 사회복지 주위환경은 다학문체계속의 보조적, 시녀적 위치에 있는 일원으로서의 사회사업전문직이 아닌 클라이언트와 그 가족, 관련 체계의 사회적 기능회복을 위해 학제간의 수평적 팀웨과 이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내기 위한 제3의 방법론 창조를 통해서 이루어 나갈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미국이나 한국의 전문화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었던 한가지 현상은 항상 외부환경의 변화 혹은 외부의 자극이 전문화의 중요한 동인 이었음을 볼 수 있었다. 물론 그 과정에서 더욱 중요하게 보아야 할 점은 사회사업계는 오히려 더욱 열심히 노력하고 뭉쳐 그 기회를 보다 발전된 전문성 확립의 계기로 삼았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런것들이 비록 자구적 노력의 승리라고 평가할 수도 있겠지만 이러한 대응양상은 어디까지나 보수적이며 수동적인 태도라 볼 수 있으며 전문분야의 확장과 보다 높은 기술 및 훈련이 요청되어지는 21세기 한국 사회사업 전문화를 위해서 모든 사회사업가들은 좀 더 창의적이고 적극적으로 외적환경의 변화에 대응 앞서가는 준비자세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한국에서의 사회복지 전문화를 위해서는 양쪽이 병행되면서 최소한의 공통영역을 도출해 내는 작업이 시급히 요청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과정은 한국의 사회사업 정체성에 대한 확인을 기반으로 가능하리라고 보여지지만 현실적으로 21세기 환경은 모든 학문분야에서 학제간 조합 내지는 통합이 주도하게 될 것임으로 우리는 이 두가지 작업을 병행하면서 상호부조해야 할 책임을 지고 있다고 본다. 바로 이점과 관련 하여 한국사회복지사협회는 기존의 세분화, 특수화된 사회복지사단체들간의 합의점 도출을 위한 조정자(coordinator)역할을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러한 조정과정이 새롭고 창조적인 21세기 사회복지실천에 일익을 담당할 것 이라고 기대한다.
참고문헌
권진숙(1983), 한국정신의료사회사업가의 전문적 기능 및 업무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논문
김기영(1991), "정신보건의 문제점들(1)", 정신건강연구 제 10집, pp 154-171.
김기영(1992), "정신보건의 문제점들(2)", 정신건강연구 제 11집, pp 97-109.
김기태, 박병헌, 최송식( 1999), 사회복지의 이해, 박영사
김규수(1986), 의료사회사업론, 형설출판사
김수환(1994), "정신의료사회사업가의 전문성제고를 위한 교육과 훈련", 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 제2차 학술대회, pp 43-61.
박미은(1988), 정신보건법에서 사회사업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논문
백혜영(1993), 정신건강전문가들의 지역사회정신건강개념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인식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논문
유수현(1997), "정신보건 영역에서의 사회사업 정체성", 1997년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 추계학술대회자료집, pp 1-10.
이용표(1998), "정신보건의 현실과 정신보건법 개정방향에 관한 일 고찰", 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 추계학술대회
전재일(1992), "우리나라 사회복지사 자격제도의 개선방향", 사회복지연구, 제20집, 대구대학교사회복지연구소.
한국 정신보건법
사회복지대백과사전
이화여자대학교사회복지학과(1998), 이화50년사
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 자료집
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지
임상사회사업연구회(1998), 사회복지실천과 임상사회사업, 학문사
Brieland, D.(1987), History and Evolution of Social Work Practice Encyclopedia of Social Work(18th ed), Silver Spring:NASW.
Germanin, C. B.(1980), "Social Context of Clinical Social Work",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Inc., pp 483-493.
Gibelamn, M., & Schervish, P. H.(1993), Who are: The social work labor force as reflected in the NASW membership. Washington, DC:NASW Press
Ginsberg, L.(1995), Social work almanac, Washington,DC:NASW Press.
Jackson, J.A.(1987), "Clinical Social Work and Peer Review: A Professional Leap Ahead",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Inc., pp 213-220.
Morales, A.,& Sheafor,B.W.(1995), Social work: A profession of many faces(7th ed). Boston: Allyn & Bacon.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2.10.08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7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