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목회에의 도전
1. 목사란 무엇인가?
2. 상처받은 치유자
3. 섬기는 지도자
4. 참여적 신비가
5. 노예와 해방자인 목사
6. 구조의 지도자로서 목사
1. 목사란 무엇인가?
2. 상처받은 치유자
3. 섬기는 지도자
4. 참여적 신비가
5. 노예와 해방자인 목사
6. 구조의 지도자로서 목사
본문내용
따라야할 긍정적이요 적극적인 삶의 지침과 방향을 설정하여 파괴적인 행위를 방지하고 옳은 행동을 강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교회구조를 파괴적인 행동으로부터 구해야 한다.
7) 능력부여의 기능
위에서 언급한 6가지 기능들은 결국 능력부여(enabler)의 기능으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능력부여자로서 목사는 다음의 기능을 수행한다.
① 목사는 연결시키는 자(connector)의 기능을 수행한다. 목사는 교회구조에 속한 서로 다른 지체구조들을 상호연관시켜 공동의 가치와 목표를 가질 수 있게 한다.
② 목사는 중재자(mediator)의 기능을 갖는다. 목사는 여러 지체구조들, 교인들간에 그리고 교인들과 구조 간에 발생하는 갈등을 해결하고 우선순위를 설정하며 교회구조를 질서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③ 목사는 촉진자(facilitator)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 과제는 계획을 셍고, 교회에 동기를 부여하고, 구조를 조직화시킴으로 그 과제를 수행해 갈 수 있게 돕는 기능이다.
④ 목사는 촉매자(catalyst)의 기능을 수행한다. 촉매는 서로 다른 물질들의 화학반응을 촉진시킨다. 목사는 교회의 기능을 촉진시키기 위해 촉매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촉매는 힘을 제공하지 않는다. 다만 교회가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힘을 활성화시킬 수 있게 조력하는 역할을 할 뿐이다. 목사는 교회가 스스로 하나님의 교역을 수행할 수 있게 교회가 본래 가지고 있는 힘을 촉발시키는 일을 한다.
생명체인 교회 구조의 목사는 교회구조의 한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독특한 역할을 수행한다. 목사의 기능으로 해서 교회구조는 건강하게 성장하고 사랑으로 가득할 수 있다. 목사는 생체구조인 교회의 지도자로 세움을 받았다. 그러므로 생체구조의 지도자로서의 기능을 수행함으로 하나님의 교회는 더욱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다.
Harnack, A.A, A History of Dogma 7 Vols. London: Williams and Norgate,1896-1899.
Hiltner, Seward, Preface to Pastoral Theology. Nashville: Abingdon, 1959.
Wise, Carrall, Pastoral Counseling. New York: Harper & Bros, 1951.
Brister, C.W, Pastoral Care in the Church. New York: Harper & Row, 1964.
Oden, Thomas, Pastoral Theology: Essentials of Ministry, 오성춘 역 「목회신학」 서울;장로교출판사, 1987.
Thurneysen, Edward, A Thelogy of Pastoral Care. Richmond, VA : John Knox Press, 1962.
Messer, Donald E, Contemporary Images of Christian Ministry, Nashville : Abingdon Press, 1992.
Nouwen, Henri, The Wounded Healer, New York : Doubleday, Image Books, 1972.
Soelle, Dorothee, Suffering, Philadelphia : Fortress Press, 1975.
Battelle, Phyllis, "12 Women Who Most Impress BarBara Walers," The Sunday Denver Post, Contemporary, Oct. 2, 1983.
Temple, William, The Hope of a New World, New York : Macmillan, 1943.
Will??on, William, The Service of God ; Christian Work & Worship, Nashville : Abingdon Press, 1983.
Schillebeeckx, Edward, Ministry : Leadership in the Comunity of Jesus Christ. New York : Crossroad Publishing co, 1981.
hatfield, Mark O, Between a Rock and a Hard Place. Waco Tex : Word, 1976.
Greenleaf, Robert, Servant Leadership, New York : Paulist Press, 1977.
Barns, James McGregor, Leadership, New York : Harper & Row, 1978.
Sparks, Allister, "Bishop Tutu's Delicate Balance," The Washington Post, August 19, 1985.
Fox, Mattew, On Becoming a Musical, mystical Bear, New York : Paulist Books, 1976.
Guitierrez, Gustavo, "A Spirituality for Liveration," The Other Side, april/may, 1985.
Moltman, Jurgen, Theology of Hope, New York : Harper & Row, 1967.
Troelfsch, Ernst, The Social Teaching of the Christian Churches, Vol.2. New York : Harper & Row, 1960.
Nygren, Andre, The Gospel of God. Philadelphia : Westminster Press, 1951.
McDonnell, Thomas P. edo, A Thomas Merton Reader, Garden City, New York : Doubleday / Image Books, 1974.
Pattison Mansell, Parish and Pastor, ; 오성춘 역 「목회와 지역사회」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85.
Mills, Edgar W., "Intentionality and the Ministry", Journal of Pastoral Care, 28, No.2, 1974
7) 능력부여의 기능
위에서 언급한 6가지 기능들은 결국 능력부여(enabler)의 기능으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능력부여자로서 목사는 다음의 기능을 수행한다.
① 목사는 연결시키는 자(connector)의 기능을 수행한다. 목사는 교회구조에 속한 서로 다른 지체구조들을 상호연관시켜 공동의 가치와 목표를 가질 수 있게 한다.
② 목사는 중재자(mediator)의 기능을 갖는다. 목사는 여러 지체구조들, 교인들간에 그리고 교인들과 구조 간에 발생하는 갈등을 해결하고 우선순위를 설정하며 교회구조를 질서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③ 목사는 촉진자(facilitator)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 과제는 계획을 셍고, 교회에 동기를 부여하고, 구조를 조직화시킴으로 그 과제를 수행해 갈 수 있게 돕는 기능이다.
④ 목사는 촉매자(catalyst)의 기능을 수행한다. 촉매는 서로 다른 물질들의 화학반응을 촉진시킨다. 목사는 교회의 기능을 촉진시키기 위해 촉매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촉매는 힘을 제공하지 않는다. 다만 교회가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힘을 활성화시킬 수 있게 조력하는 역할을 할 뿐이다. 목사는 교회가 스스로 하나님의 교역을 수행할 수 있게 교회가 본래 가지고 있는 힘을 촉발시키는 일을 한다.
생명체인 교회 구조의 목사는 교회구조의 한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독특한 역할을 수행한다. 목사의 기능으로 해서 교회구조는 건강하게 성장하고 사랑으로 가득할 수 있다. 목사는 생체구조인 교회의 지도자로 세움을 받았다. 그러므로 생체구조의 지도자로서의 기능을 수행함으로 하나님의 교회는 더욱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다.
Harnack, A.A, A History of Dogma 7 Vols. London: Williams and Norgate,1896-1899.
Hiltner, Seward, Preface to Pastoral Theology. Nashville: Abingdon, 1959.
Wise, Carrall, Pastoral Counseling. New York: Harper & Bros, 1951.
Brister, C.W, Pastoral Care in the Church. New York: Harper & Row, 1964.
Oden, Thomas, Pastoral Theology: Essentials of Ministry, 오성춘 역 「목회신학」 서울;장로교출판사, 1987.
Thurneysen, Edward, A Thelogy of Pastoral Care. Richmond, VA : John Knox Press, 1962.
Messer, Donald E, Contemporary Images of Christian Ministry, Nashville : Abingdon Press, 1992.
Nouwen, Henri, The Wounded Healer, New York : Doubleday, Image Books, 1972.
Soelle, Dorothee, Suffering, Philadelphia : Fortress Press, 1975.
Battelle, Phyllis, "12 Women Who Most Impress BarBara Walers," The Sunday Denver Post, Contemporary, Oct. 2, 1983.
Temple, William, The Hope of a New World, New York : Macmillan, 1943.
Will??on, William, The Service of God ; Christian Work & Worship, Nashville : Abingdon Press, 1983.
Schillebeeckx, Edward, Ministry : Leadership in the Comunity of Jesus Christ. New York : Crossroad Publishing co, 1981.
hatfield, Mark O, Between a Rock and a Hard Place. Waco Tex : Word, 1976.
Greenleaf, Robert, Servant Leadership, New York : Paulist Press, 1977.
Barns, James McGregor, Leadership, New York : Harper & Row, 1978.
Sparks, Allister, "Bishop Tutu's Delicate Balance," The Washington Post, August 19, 1985.
Fox, Mattew, On Becoming a Musical, mystical Bear, New York : Paulist Books, 1976.
Guitierrez, Gustavo, "A Spirituality for Liveration," The Other Side, april/may, 1985.
Moltman, Jurgen, Theology of Hope, New York : Harper & Row, 1967.
Troelfsch, Ernst, The Social Teaching of the Christian Churches, Vol.2. New York : Harper & Row, 1960.
Nygren, Andre, The Gospel of God. Philadelphia : Westminster Press, 1951.
McDonnell, Thomas P. edo, A Thomas Merton Reader, Garden City, New York : Doubleday / Image Books, 1974.
Pattison Mansell, Parish and Pastor, ; 오성춘 역 「목회와 지역사회」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85.
Mills, Edgar W., "Intentionality and the Ministry", Journal of Pastoral Care, 28, No.2, 1974
추천자료
현대사회의 여성문제
현대사회문제 의의와 이론
현대문화분석 - 문화산업 (계몽의 변증법) & 문화연구의 두개의 패러다임 (현대사회와 대...
현대사회의 다양한 가정 형태
가족의 보편적 8가지 기능 중 3가지 기능을 선택하여 현대사회에서 이러한 가족 기능이 어떻...
현대조직사회에서 가장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조직이론을 선택하고, 그렇게 생각한 이유를...
현대사회에서 성인학습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서술.
[사회복지 개론] 노인복지 - 노인의 개념과 노인복지의 정의, 현대사회에서 노인문제와 문제...
[프로그램개발] 영유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사회 문화적 기초를 이해하기 위한 현대사...
현대사회 여가문제와 여가의 필요성
자원봉사론-현대사회의 노인문제의 해결을 위한 자원봉사 방안
[방통대 자원봉사론] 현대사회의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원봉사 활동이 어떤 ...
[방통대 자원봉사론 3번항목] 현대사회의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원봉사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