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터 라우센부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merica, (New York and London: Haeper & Row Publishers, Ist Harper Torshbook ed. 1959(1st ed. 1937)), p.xii.
이것은 다소 차이가 있지만 '하나님 나라', '하나님의 주권', '그리스도의 통치', '이 땅에 선 나라' 등으로 이어져 왔다. 그리고 라우쉔부쉬(Rauschenbusch)의 사회 복음주의 운동과 신학은 바로 그러한 미국의 기독교적인 전통과 맞물려 있다고 하겠다.
그가 활동하던 시대, 미국 사회의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은 '사회 복음주의 운동'의 실천가로 '대변자'의 역할을 하게 했다. 라우쉔부쉬의 인간의 본성과 사회에 대한 해명작업은 인간을 사랑의 윤리에 의해서 결속된 하나의 사회적 존재로 파악했다. 그가 이해한 예수의 하나님 나라는 사랑으로 결속된 사람들의 공동체가 그 사회적 정의를 실현해 나가는 사회의 이상이요 원리라고 할 것이다. 그는 하나님 나라의 이 땅에서의 실현은 사회질서의 변혁에 있다고 보았다. 그런 변화가 혁명주의 방법에 의해서가 아니라 점진적인 개혁주의 방법에 의해서 성취되어가야 한다고 보고, 제도적인 개선을 통하여 사회정의를 실현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라우쉔부쉬는 상호의존적인 사회 안에 살고 있는 우리 그리스도인과 교회가 사회정의에 대한 예언적 사명을 감당할 수 있기를 바랐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한국은 불과 수십 년 간에 급속히 산업사회를 구축해 왔다. "우리도 잘살아 보세"라는 일념으로 어느 정도 산업화를 이루어 왔으나, 라우쉔부쉬가 본, 미국 초기 산업사회가 산업화 과정에서 겪었던 유사한 문제들이 이 땅에서도 점증되고 있어서 사회정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음을 보게 된다.
하나님 나라에서 보여진 정의와 평화와 복지의 이상사회는 여전히 우리 사회의 이념이 될 수가 있다.
산업화와 자본주의 체제 아래서 배태되는 사회문제들로부터 사회를 개혁하고 사회 정의를 실현해 나가는 일은 지금도 여전히 한국 기독교인과 교회의 예언자적 사명이라고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라우쉔부쉬(Rauschenbusch)의 저서
Walter Rauschenbusch, Christianity and the Social Crisis, (New York: Macmillan Co., 1907)
------------------, Christianizing the Social Order, (New York: Pilgrim Press, 1912)
-----------------, A Theology for the Social Gospel,(New York: The MacMillan Company, 1917)
-----------------, The Righteousness of The Kingdom,(Nashville: Abingdon Press, 1968)
2. 국 외 문 서
Benson Y. Landis(ed), A Rausch -enbusch Reader; The Kingdom of God and Social Gospel, (New York: Harper and Row, 1957)
Dean G. Peerman and Martin E. Marty (ed). A Handbook of Christian Theologians, (Nashville: Abingdon, 1965).
Dores R. Sharpe, Walter Rauschenbusch, (New York: MacMillan Company, 1942)
Edward LeRoy Long, Jr., A Survey of Christian Ethics,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67)
F. J. Forsythe, The Fatherhood of God and the Victorian Family: The Social Gospel in America,(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1)
H. Richard Niebuhr, The Kingdom of God in America, (New York and London: Haeper & Row Publishers, Ist Harper Torshbook ed. 1959(1st ed. 1937)), p.xii.
Paul Avis, The Methods of Mordern Theology, (Hants: Marshall Pickering, 1986)
Robert T. Handy(ed), "Walter Rauschenbusch",
T. Handy(ed), The Social Gospel in America, 1870-1920,
W.A. Visser't Hooft, The Background of the Social Gospel in America, (Haarlem: H.D. Tjeenk Willink & Zoon, 1928)
Waldo Beach and H. Richard Niebuhr (ed), Christian Ethics, Sources of the Living Tradition, (New York: The Ronald Press Co., 1973)
Willam Finley Mckee, The Social Gospel and the New Social Order, 1919~1929., (Wisconsin: University of Wisconsin, 1961)
Winthrop S. Hudson, The Great Tradition of American Churches. (Newyork: Harper and Brothers 1953)
3, 국 내 문 서
고범서, 기독교와 사회윤리, (서울: 범화사, 1983)
동아출판사편, 원색세계대백과사전 4권, 1989
맹용길, 기독교 윤리학 입문,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76)
맹용길, 크리스챤의 사회의식,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1)
정진경, 신학과 목회, (서울: 성광문화사, 1977)
프란시스 A. 쉐이퍼, 기독교와 현대사상, 홍치모역, (백록출판사, 1976)
현영학, "사회적 복음주의 운동과 라우쉔부쉬(Rauschenbusch)", 기독교사상, (1960.3)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2.10.10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0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