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적 가족치료 기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주요인물

2) 치료목표

3) 주요개념

4) 치료기법

본문내용

야 얻어질 수 있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할지도 모른다고 추론하였다. 또한 면담횟수를 10회로 제한하였다. 앞에서 형식적이라는 표현을 쓴 것은 그들은 매회의 면담을 면담 전 모임(presession), 면담(session), 중간모임(intersession), 개입(interventon), 면담 후 모임(postsession)이라는 표준화된 5단계의 과정으로 나누어 활동했다는 점 때문이다. 면담 전 치료팀의 모임에서는 가족의 현재 문제에 대한 가설을 세운다. 가족과 만나는 치료자는 가족과의 면담을 통하여 치료팀과 의논된 가설이 타당한지의 여부와 가설의 수정을 위한 정보를 수집한다. 면담을 한 지 40분이 경과하면 치료자는 가족을 잠시 면담실에 남겨두고 관찰실에 와서 치료팀과 가설에 대한 논의와 어떠한 개입을 할 것인지를 의논한다. 밀란모델의 개입의 주된 방법은 긍정적 의미부여와 가족의식이다. 치료자는 가족이 기다리는 면담실로 다시 돌아와 가족에게 긍정적인 의미부여(positive connotation)나 의식의 관제를 준다. 면담 후 모임에서는 가족의 반응을 분석하고 다음 면담에 대한 계획을 세운다.
첫째, 긍정적인 의미부여란 IP의 증상이나 그것에 반응한 가족성원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재정의하거나 재해석하는 것이다. 긍정적 의미부여의 가장 큰 기능은 가족의 저항을 야기시키지 않으면서 가족의 변호능력을 보이게 하는 것이다. 긍정적 의미의 부여는 체계이론에 바탕을 둔 전략적 접근에서 사용하지만, 밀란그룹은 이것을 창조적으로 적용하였다. 밀란모델은 긍정적 의미를 단순히 증상행동에 부여한 것이 아니라, 가족의 다른 행동과 관련시켜서 자주 사용하였다.
둘째, 의식이란 가족성원이 하는 게임의 규칙을 변경시키기 위해 말이 아닌 실행에 옮기는 방법이다. 치료자는 가족 전체가 경직된 가족규범이나 신화를 과장하거나 또는 이것과 상반되는 여러 가지 행동을 하도록 요구한다.
긍정적인 의미부여와 가족의식은 강력하고 자극적인 개입기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 의미부여나 의식을 계속 사용하기 위해서는 치료자와 가족 사이의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 초기 밀란모델은 기본적으로 치료자의 입장은 어디까지나 중립적인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고 보았다. 중립성이란 치료자가 가족 중 어느 한쪽의 편이 되어서는 안되며 일정한 거리를 둔다는 것이다. 이처럼 초기 밀란모델에서는 중립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가족은 때로 치료자가 자신에게 무관심하다고 느끼면서 치료를 중단하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밀란모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족이 자신들의 어려움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치료자는 가족들의 문제에 진정한 호기심을 가지고 가족에게 질문해야 한다는 자세로 바뀌게 된다. 면담은 여러 가지 차이점에 대한 가족의 의견을 이끌어내는 것을 목표하는 질문기법인 원환적 칠문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치료자로부터 원환적 질문을 받고 치료자에게 반응하는 과정을 통하여 가족은 제한된 직선적 관점에서 벗어나게 된다. 또한 이들은 체계적인 가설설정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10.10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1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