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회퍼의 영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교회 투쟁기에 나타난 본회퍼의 영성

2. 정치 투쟁기에 나타난 본회퍼의 영성

3. 맺는말

본문내용

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영성
은 모든 종교 비판, 사회 비판, 이넘 비판을 수반한다. 이 영성의 기초는 예수 그리스도이다. 본회
퍼에 따르면 영성의 궁극적 기초는 "인간이 되고 십자가에 처형당하고 불활하신 유일한 분의 모
습을 닮아 가는 것"에 있다는 것이다. 즉, 성육신 사건, 십자가 사건, 부활 사건 등은 일상적인 사
건이 아니라 인간과 세계를 향한 비판적 사건이며, 이 사건의 주인공인 그리스도의 모습을 닮아
가는 것이야말로 "물러섬의 영성"을 획득하는 구체적인 길이다.
둘째, "공동체의 영성"이다. 모든 영성 훈련은 사귐으로부터 출발 한다. 영성 훈련의 전통
을 지니고 있던 수도원들에서는 단독자에 의한 신과의 신비적 일치 못지않게, 형제들간의 사귐과
서로간의 격려를 통한 훈련을 중요시했다. 따라서 사귐이 없는 영성은 참 영성일 수가 없다.
그런데 본회퍼는 기독교적 공동체의 영성은 그리스도를 통해서만 성립된다고 함으로써 그것의
근원과 목표를 기독론에서 파악하고 있다. 그리스도인은 타자로서 형제와 자매가 나 밖에서 구원
의 기원을 드러내고 보등해 주기 때문에 형제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또 구원은 오직 그리스도
로부터 오며, 형제 자매의 사귐이, 신체적으로 되어 버린 하나님 임재의 표현과 그 형식으로 이해
되듯이, 하나님과 인간들의 깨어진 원초적 사귐이 그리스도를 통해서 비로소 재건된다. 성서에 ㄹ
보면, 사귐의 본질을 이루는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란 상으로 나타난다.
셋째, 해방의 영성이다. 비판적 거리와 형제간의 사귐만을 주장한다면 그것은 성육신하고
십자가에 처형당하고 부활한 자의 영성은 아닐 것이다. 비판적 거리를 통해서 그리고 형제간의
사귐을 통해서도 어느 정도 자기 추구와 자기 주장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해방의 영
성이라는 사회적 지평을 상실한다면 그것은 게토화를 면치 못할 것이다.
이러한 해방의 영성은 그리스도인의 "특권의 포기", "의로운 일의 실천", 타자를 위한 교회"를
요청하고 있다. 사실상 "타자를 위한 교회"는 특권의 포기라고 하는 소극적인 과제와 정의의 실천
이라고 하는 적극적인 위탁을 지니고 있다. 특권의 포기는 사회적 봉사의 차원을 가지나 정의의
실천은 정치적 봉사의 차원도 내포하고 있다.
본회퍼의 영성의 특징을 "물러섬, 공동체, 해방"이라는 표제어를 통해서 살펴 보았다. 이것은 영
성이 위의 세 가지 차원들을 가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들은 상호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보완
적이벼, 기독교 영성을 참 영성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영성은 재물,특권등과 같은 것을 포기하
는 것과 함께 불의한 권력 구조들에 대한 결연한 투쟁으로 나타나며 동시에 가난하고 억눌린 자
들을 돌보는 사랑으로 나타나야 한다. 그리고 이 일은 그리스도 안에서의 사귐을 통해서 같이 해
나가야 한다. 만일 이 중에 어느 하나라도 결여된다면 그것은 진정한 의미에서 성육신하고 십자
가에 처형당하고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영성이 아니며, 따라서 삼위일체로 활동하시는 하나님의
영성이 아니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10.14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3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