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추신경계통
2. 말초신경계통
3. 기질 특성
4. 기분과 신체상태.
5. 현대사회와 정신건강
6. 평가중심의 건설적 대처
2. 말초신경계통
3. 기질 특성
4. 기분과 신체상태.
5. 현대사회와 정신건강
6. 평가중심의 건설적 대처
본문내용
적대적으로 대할 수도 있으나 이것은
상당히 기능적이다. 물론 심하면 역기능적으로 작용하겠지.
내 얘기를 말할 때 : 평가를 받기 때문에 불안을 느끼기도.
즉 평가받는 상황역시 불안의 기제로 작용.
공포라는 것 - 구체적인 실체가 있는 것(자동차, 동물)에
의해 위험에 직면할 때 공포를 느낄 때.
가령 뱀공포증, 강아지 공포증 등등
c.f(불안은 특별히 대상이 있지는 않다.
상당히 주관적.)
따라서 불안이 공포보다 더 스트레스를 준다.
불안은 누적되는 경향이 있다. 즉 불안에 취약한 사람들은
일반인의 불안보다 더 큰 스트레스를 받음.
헤이! 장~ 양~ 책을 다 읽으심. 종희께서는 책을 다 읽으심.
어떤 주부의 경우: 집에 있으면 식구들이 계속 걱정되어 불안.
위협적 대상이 식구들에게 있지도 않은데
집에서 생활못하는 경우.
기질--취약한 것은 타고나는 기질임. 즉 역치가 낮음
물론 기질이 100%는 아니고 환경적 영향도 있다.
ii)분노
화가 난다. 차를 운전하고 갈 때 누구와 부딪치거나 하면
짜증이....
현대사회와 정신건강(960916)
prof:나는 이론 설명하기가 힘든 걸 느껴요.
학기초는 조금 재미없을 것임.
Begins....now...
행동주의적 접근 : 매우 실험적이다.많은 동물 실험...
동물로 인간 설명 가능한가??
S - R → 동물에겐 매우 타당했다.
비둘기가 지렛대 누르는 것 =조작행동.
그렇다면 인간의 행동을 이러한 작은
실험으로 설명이 가능할까요??
-we call it EMPTY BOX.
즉 인간은 수동적으로 S와 R을 결합하지
않는다.(인본주의적 비판,자유의지등등)
*사회학습이론:Observaional learning.
인간의 인지기능 강조.
인간은 대리*관찰 학습을 하는 존재이다.
직접 경험만이 전부는 아니다.
*처벌에 대한 논란 : 처벌(혐오스런 자극을 주는 것).
체벌-교육적 효과가 있는가? 스키너의 실험에
의하면 처벌은 어느선까지만 효과가 있다.
일시적. 처벌이 효과적일때는 언제일까?
주로 그 행동이 일어난 직후이다.(행동과
처벌을 확실히 연결) 처벌을 할 때 아이에게
그 이유를 설명해야 한다..처벌을 '의식화'
'제례화'한다. 아이들의 부정적 행동엔
칭찬이 장기적으로 도움이 된다. 체벌은 공격적
행동을 배우게 한다.
*식사후에 뭘 먹는 사람들 : 식탁에 앉아 있는 시간이 많다.
일정한 양을 먹고도 앉아 있으면 식탁이 자극이 되어
계속 먹게 된다.
*불면증 : 침대의 기능이 잠자는 것에 국한되지 않아서 그 자극이
잠과 연결이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침실의 활동을 잠에만
연결시킨다.
* 행동주의 이론의 장점 : 인간의 경험과 환경적 요소를 중시.
행동에 융통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동물훈련에 많이 적용되었다.
과학적,경험적으로 심리학을 확대함.
그러나 인간의 인지기능을 무시하고
전체로서 인간을 바라보지 않았다.
인간의 사고,고등기능 영역을 설명할수
없다. 동물실험에 의존. 인간을 부정적으
로(환경에 의해 통제르 받는) 보다.
인간의 자유의지는 환상이라고 본다.
인본주의적 모델
: 2차대전당시에...다른 이론에 의하면 인간은 동물적인 생활을
해야할텐데 거기에 있던 몇몇 철학자의 관찰에 따르면
인간은 죽음을 얼마 앞둔 그 상황에서도 자유의지를 보이고
창조적,자아실현적인 행동을 보였다. 인간에게는 무언가 인간을
존중할만하게 하는 것이 있다. 어찌보면 이 모델은 철학적인 것과
관련이 있다.
1 : 인간에게만 관심.
2 : 인간의 본성을 낙관적으로
3 : 현상학적인 접근 - 현재 자신이 경험하는 것이 나의 현상학적 세계.
이것이 외부의 객관적 실체보다 중요하다.
4 : 합리적인 존재.
5 : 전체적 인간을 보려하는 통합적 접근.
*우리의 행동은 Self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self,자기개념 : 스스로에게 갖는 자신의 모습)
(-뭐...나는 괜찮은 사람이야...하는 식의. )
(이것은 현상학적 세계에서만 존재하는 것이다.)
가령.자기 왜곡 등이 있다.
* 우리 성격의 근원 : Self concept와 그의 경험에 불일치가 있을때.
'IDEAL SELF 와 REAL SELF의 불일치'
이러한 불일치가 있으면 그걸 줄이기 위해 동기가 생긴다.
*성격의 발달에서...C.Rogers
아동기에서 타인의 평가에서 자기개념을 갖게 된다.
'넌 나쁜 아이야~.' 가령 부모가 굉장히 화를 내고 하는 걸
나쁜 행동이라고 가르치면 아이는 화를 내는 자기를 자신의
전체에서 배제하기 쉽게 된다. 그런데 화를 내지 않는 것은 힘들다.
이러한 불일치를 아이는 느끼게 된다. 이 불일치를 어떻게 해결하는가
가 정신병리의 출발점.
로저스의 입장 : 타인의 평가, 특히 아동기라면 부모의 평가가 중요하
므로 아이에게 무조건적으로 칭찬-아이의 인간으로서
의 가치를 존중해야 한다. 만약 조건에 의해서만
아이 행동을 평가하면 아이의 자기 욕구가 제한된다.
여기에서 또 불일치가 발생하므로 아이는 경험을
왜곡하거나 한다. 아이는 잠재력 실현의 기회를 잃음
*동기의 측면에서 ...인간에게는 동기적으로 자기를 실현하려는
기본적 추진력이 있다.
로저스 : 자기 실현성이 우리의 행동을 설명할 수 있는 동기.
예) 어떤 여자가 자기를 훌륭한 사람이라 생각한다면 Realself는
이기적이고 기만적이고 교활하다고 타인이 평가할 수 있다.
그러면 이 여자는 자기 개념이 위협받는 걸 느낀다. 그래서
자신의 그러한 행동을 부정적으로 왜곡. 그래서 지각 왜곡.
"지네가 나를 시기해서 그런거야"라고 생각.
자신이 훌륭한 사람임을 보여주기 위해 그런 행동을 할수도
있다. 그러나 사실 장기적으로는 Realself 때문에 그런 행동
이 오래가지는 않고 불일치만 커져간다. 악순환.
매슬로우 : 욕구의 위계이론. 다섯가지.(피라미드모형)
▲ 본능적 욕구.
▲ 안전의 욕구.
▲ 소속감과 사랑의 욕구.(사회적 동물인 인간)
▲ 자존감의 욕구
▲ 자아 실현의 욕구. 인간은 언제나 무엇인가를 갈망한다.
즉 1~4는 결핍동기. 5는 메타욕구.
위계이론에서는 1의 근본적 욕구가 충족되어야
그 위의 것이 동기화될수 있다고 봄.
이 이론에 의하면 '배고픈 예술가'란 있을 수 없다.
어느정도 타당성이 있다.
상당히 기능적이다. 물론 심하면 역기능적으로 작용하겠지.
내 얘기를 말할 때 : 평가를 받기 때문에 불안을 느끼기도.
즉 평가받는 상황역시 불안의 기제로 작용.
공포라는 것 - 구체적인 실체가 있는 것(자동차, 동물)에
의해 위험에 직면할 때 공포를 느낄 때.
가령 뱀공포증, 강아지 공포증 등등
c.f(불안은 특별히 대상이 있지는 않다.
상당히 주관적.)
따라서 불안이 공포보다 더 스트레스를 준다.
불안은 누적되는 경향이 있다. 즉 불안에 취약한 사람들은
일반인의 불안보다 더 큰 스트레스를 받음.
헤이! 장~ 양~ 책을 다 읽으심. 종희께서는 책을 다 읽으심.
어떤 주부의 경우: 집에 있으면 식구들이 계속 걱정되어 불안.
위협적 대상이 식구들에게 있지도 않은데
집에서 생활못하는 경우.
기질--취약한 것은 타고나는 기질임. 즉 역치가 낮음
물론 기질이 100%는 아니고 환경적 영향도 있다.
ii)분노
화가 난다. 차를 운전하고 갈 때 누구와 부딪치거나 하면
짜증이....
현대사회와 정신건강(960916)
prof:나는 이론 설명하기가 힘든 걸 느껴요.
학기초는 조금 재미없을 것임.
Begins....now...
행동주의적 접근 : 매우 실험적이다.많은 동물 실험...
동물로 인간 설명 가능한가??
S - R → 동물에겐 매우 타당했다.
비둘기가 지렛대 누르는 것 =조작행동.
그렇다면 인간의 행동을 이러한 작은
실험으로 설명이 가능할까요??
-we call it EMPTY BOX.
즉 인간은 수동적으로 S와 R을 결합하지
않는다.(인본주의적 비판,자유의지등등)
*사회학습이론:Observaional learning.
인간의 인지기능 강조.
인간은 대리*관찰 학습을 하는 존재이다.
직접 경험만이 전부는 아니다.
*처벌에 대한 논란 : 처벌(혐오스런 자극을 주는 것).
체벌-교육적 효과가 있는가? 스키너의 실험에
의하면 처벌은 어느선까지만 효과가 있다.
일시적. 처벌이 효과적일때는 언제일까?
주로 그 행동이 일어난 직후이다.(행동과
처벌을 확실히 연결) 처벌을 할 때 아이에게
그 이유를 설명해야 한다..처벌을 '의식화'
'제례화'한다. 아이들의 부정적 행동엔
칭찬이 장기적으로 도움이 된다. 체벌은 공격적
행동을 배우게 한다.
*식사후에 뭘 먹는 사람들 : 식탁에 앉아 있는 시간이 많다.
일정한 양을 먹고도 앉아 있으면 식탁이 자극이 되어
계속 먹게 된다.
*불면증 : 침대의 기능이 잠자는 것에 국한되지 않아서 그 자극이
잠과 연결이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침실의 활동을 잠에만
연결시킨다.
* 행동주의 이론의 장점 : 인간의 경험과 환경적 요소를 중시.
행동에 융통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동물훈련에 많이 적용되었다.
과학적,경험적으로 심리학을 확대함.
그러나 인간의 인지기능을 무시하고
전체로서 인간을 바라보지 않았다.
인간의 사고,고등기능 영역을 설명할수
없다. 동물실험에 의존. 인간을 부정적으
로(환경에 의해 통제르 받는) 보다.
인간의 자유의지는 환상이라고 본다.
인본주의적 모델
: 2차대전당시에...다른 이론에 의하면 인간은 동물적인 생활을
해야할텐데 거기에 있던 몇몇 철학자의 관찰에 따르면
인간은 죽음을 얼마 앞둔 그 상황에서도 자유의지를 보이고
창조적,자아실현적인 행동을 보였다. 인간에게는 무언가 인간을
존중할만하게 하는 것이 있다. 어찌보면 이 모델은 철학적인 것과
관련이 있다.
1 : 인간에게만 관심.
2 : 인간의 본성을 낙관적으로
3 : 현상학적인 접근 - 현재 자신이 경험하는 것이 나의 현상학적 세계.
이것이 외부의 객관적 실체보다 중요하다.
4 : 합리적인 존재.
5 : 전체적 인간을 보려하는 통합적 접근.
*우리의 행동은 Self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self,자기개념 : 스스로에게 갖는 자신의 모습)
(-뭐...나는 괜찮은 사람이야...하는 식의. )
(이것은 현상학적 세계에서만 존재하는 것이다.)
가령.자기 왜곡 등이 있다.
* 우리 성격의 근원 : Self concept와 그의 경험에 불일치가 있을때.
'IDEAL SELF 와 REAL SELF의 불일치'
이러한 불일치가 있으면 그걸 줄이기 위해 동기가 생긴다.
*성격의 발달에서...C.Rogers
아동기에서 타인의 평가에서 자기개념을 갖게 된다.
'넌 나쁜 아이야~.' 가령 부모가 굉장히 화를 내고 하는 걸
나쁜 행동이라고 가르치면 아이는 화를 내는 자기를 자신의
전체에서 배제하기 쉽게 된다. 그런데 화를 내지 않는 것은 힘들다.
이러한 불일치를 아이는 느끼게 된다. 이 불일치를 어떻게 해결하는가
가 정신병리의 출발점.
로저스의 입장 : 타인의 평가, 특히 아동기라면 부모의 평가가 중요하
므로 아이에게 무조건적으로 칭찬-아이의 인간으로서
의 가치를 존중해야 한다. 만약 조건에 의해서만
아이 행동을 평가하면 아이의 자기 욕구가 제한된다.
여기에서 또 불일치가 발생하므로 아이는 경험을
왜곡하거나 한다. 아이는 잠재력 실현의 기회를 잃음
*동기의 측면에서 ...인간에게는 동기적으로 자기를 실현하려는
기본적 추진력이 있다.
로저스 : 자기 실현성이 우리의 행동을 설명할 수 있는 동기.
예) 어떤 여자가 자기를 훌륭한 사람이라 생각한다면 Realself는
이기적이고 기만적이고 교활하다고 타인이 평가할 수 있다.
그러면 이 여자는 자기 개념이 위협받는 걸 느낀다. 그래서
자신의 그러한 행동을 부정적으로 왜곡. 그래서 지각 왜곡.
"지네가 나를 시기해서 그런거야"라고 생각.
자신이 훌륭한 사람임을 보여주기 위해 그런 행동을 할수도
있다. 그러나 사실 장기적으로는 Realself 때문에 그런 행동
이 오래가지는 않고 불일치만 커져간다. 악순환.
매슬로우 : 욕구의 위계이론. 다섯가지.(피라미드모형)
▲ 본능적 욕구.
▲ 안전의 욕구.
▲ 소속감과 사랑의 욕구.(사회적 동물인 인간)
▲ 자존감의 욕구
▲ 자아 실현의 욕구. 인간은 언제나 무엇인가를 갈망한다.
즉 1~4는 결핍동기. 5는 메타욕구.
위계이론에서는 1의 근본적 욕구가 충족되어야
그 위의 것이 동기화될수 있다고 봄.
이 이론에 의하면 '배고픈 예술가'란 있을 수 없다.
어느정도 타당성이 있다.
추천자료
지역사회 정신건강
지역사회 정신건강
현대사회 가족의 변화와 건강한 가족이란 어떤것인지 서술하시오
에릭슨의 사회심리적이론과 정신건강
[가족생활교육] 현대사회의 건강한 가족 특성과 가족 구성원의 역할에 대해 논하시오 [건강한...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반항성장애 이해하기(반항성장애 확인, 반항성장애 특성, 반항성장...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품행장애(品行障碍)의 개념과 확인, 품행장애의 특성과 원인(사회문...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성인기의 발달특성(신체발달, 인지발달, 사회정서발달) 및 성인기의...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영아기의 발달(嬰兒期 發達) - 신체발달, 운동발...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유아기의 발달 (幼兒期 發達) - 신체의 발달, 인지의 발달(...
[가족생활교육]현대사회와 가족생활교육이 지향하는 건강한 가족이란 무엇인지 자신의 의견을...
[가족생활교육]현대사회와 가족생활교육이 지향하는 건강한 가족이란 무엇인지 자신의 의견을...
빈곤층 자녀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국가적 예방대책에 대하여 사회복지적 측면에서의 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