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성경주석과 역사적 관점.
Ⅱ. 역사 비평적 주석.
Ⅲ. 본문 비평
Ⅳ. 문헌 비평(Source/Documentary/Literary Criticism)
Ⅴ. 양식 비평
Ⅱ. 역사 비평적 주석.
Ⅲ. 본문 비평
Ⅳ. 문헌 비평(Source/Documentary/Literary Criticism)
Ⅴ. 양식 비평
본문내용
- 신 26:5∼10양식이란 신앙고백(Credo)이다. 신앙고백은 어디에서 기원하고 어느 사회적인 상황에서 사용되나? 공동체 예배. 예배 때 마다 신앙고백 resite 신앙고백의 삶의 자리는 대개 공동체 모임에서 고백. [육경의 문제]-육경을 양식 비평적으로 해석.
3) K.Koch 독일사람, [양식 비평이란 무엇인가?]
4) G.M.Tunker 1970년대 양식 비평 선구자?, [구약의 양식비평]
4. 방법론 - 문헌 비평과의 차이
1) 문헌 비평은 문서화 과정을 추측. Final form text(마지막 문서)에서 출발.
양식 비평은 그 전 구전 문학까지 추측. 양식 비평에서 문서화는 아주 늦게 생각함.(J, E, D, P 모두 구전되다가 포로기에 문서화 되었다고 주장.)
2) 문헌 비평은 문헌의 저자·신학, 그것을 써야 하는 개인적·역사적 상황 연구.
양식 비평은 공동체 삶의 역동성. 즉 공동체의 예배다. 문학양식(구비문학양식)을 생산한 공동체 삶의 역동성. 문학 양식을 개인이 만든 것이 아니라 공동체가 만든 것.(예> 신앙고백). 이씨 조선의 시도 양식을 가진다. 그것은 혼자 개발한 것이 아니라 그 시대 공동체에서 만들어 진 것이다.
3) 문헌 비평은 문헌의 직선적이고 평면적 차원(역사적 넓이)이다.
양식 비평은 수직적이고 입체적인 차원(사회적·공동체적)에 관심을 가진다.
5. 전제
1) 구약은 하나의 문학, 특히 구비 문학에서 발전한 것이다. 사람의 말로 글로 기록된 것이다.
2) 문서화 되기 이전에 구비 문학의 단계가 있었다. 성경은 Literary document가 아니고 Oral document였다. 문서화된 것은 더 이상 말로 안되고 문서화가 필요한 상태에서 문서로 등장. (지금도 방글라데시의 80∼90%는 글을 읽지 못한다.)거의 극소수 외에는 쓸 줄 모르고, 읽을 줄 모름. 그래서 예언자들도 "읽어라"하지 않고 "들어라"고 함.
3) 양식 형성의 과정.
공동체의 반복적·습관적 사용이 어떤 양식으로 굳어지는 것. (시편 2편 대관식시, 제왕시) 이 때의 양식은 아주 간명하고 짧다. (다른 사람이 외워야 하니까) 판에 박힌 모습·형식 갖춰짐.(예> 우리 조상들은 유리하던 아람사람으로서∼).계약·맹세·서약·편지·찬양·기도·설교의 Form 들이 굳어짐. 고대작가는 이런 Streotype된 문학 양식에 따라 성경을 이야기.
4) 모든 장르는 삶의 자리(Sitz in Leben;독일어)를 갖고 있다.
문학양식이 탄생하는데는 양식의 삶의 자리가 있다. 예를 들어 동화 양식은 안방·할머니에게서 나온다. 여기서 삶의 자리란 역사적 배경이 아니다. 역사적 배경은 문헌 비평에서 하는 이야기다. 그것은 아니다. (★기말 고사 때, 양식 비평 할 때 삶의 자리로 역사적 배경을 말하지 말라.)★양식이 사용되고 발달한 삶의 자리를 말한다. (예 1> 시편 52편의 양식의 삶의 자리 - '다윗이 밧세바와 동침한 때' 가 아니고 이것은 문헌 비평에서 하는 것이고 언제 이 참회시가 사용되는가? 즉 '예배·성전 예배 때'이다. 예 2> 시편 2편의 양식의 삶의 자리는 대관식, 어떤 역사적 배경인가 하는 것은 문헌 비평) 가정적 자리, 법적 자리, 예배 공동체의 자리. 대개 공동체의 자리이다.
6. 문학 양식 5가지
1) 설화(Narrative)
구약에 Narrative 많다. 서술된 이야기. 구약의 거의 모든 문학이 그렇다.(역사서, 오경). 협의로 양식을 분리하면 Saga와 Legend로 나눠지는데, Saga는 공동체에 대한 것이고 역사성이 존중되는 것이고, Legend은 개인적이고 역사성이 무시되는 것이다. 그러나 두 가지를 분리하는 것은 어렵다.
신화(Myth;창 1,2장 신이 인간 창조한 이야기)·동화(우화, 패러티브)·비유·역사성·고별 설교·기원론·예언자의 소명 설화·기적 설화·편지 등이 있다.
2) 시, 운율
(1) 제의적 시.
① 개인시: 개인 탄식시, 개인 감사시, 개인 탄원시.
② 공동체시: 공동체 찬양시, 공동체 감사시, 공동체 탄원시.
③ 제왕시: 대관식, 왕의결혼 축하(예> 시편 45편은 아합과 이세벨의 결혼식), 왕의 탄식시, 왕의 감사시
(2) 축제시 - 절기, 야웨 즉위시.
(모민큰 시편 주석- 야웨 즉위시. 야웨는 왕, 야웨가 통치하신다.)
3) 법률
노예 해방법 전승사.
법률은 협의의 쟝르로 조건법과 정언법 2가지가 있다.(by A.Ait)
(1) 조건법(Casuistic) : ∼하면 ∼하라.
(2) 정언법(Apod(e)ictic) : 조건이 없다.
이스라엘만 독특합 법이 Apod(e)ictic Low라고 주장. 십계명이 대표적(by A.Ait)
4) 지혜
협의에서 지혜는 격언과 경구. 짧은 경우. 산문체 지혜도 인정.
5) 예언
예언서, 크게 2가지
(1) 책망과 위협의 예언
(2) 구원·희망·약속의 예언.
예언자의 환상보고, 신탁, 메신저 Speech(전령의 Speech;야웨께서 내게 ∼라고 말씀하셨다.)
협의로 들어가면 장르가 수없이 많다.
모든 주석은 양식 비평적 접근.
7. 양식 비평의 방법론
1) 본문의 내용구조 분석
문학 단위를 구분(unit)(문헌비평과 겹쳐지기도 함).
내용 구조·개요를 분석/ 서론·본론·결론의 out line분해./ 발단·전개·절정·대단원의 기승전결의 맥.
상투적 사용용어, 분위기 전환.
2) 쟝르를 정의.
시냐, 산문이냐?
쟝르는 광의의 쟝르와 협의의 장르냐? 더 구체적으로 분류. 산문이면 설교냐, 보고냐, 민담이냐? 시이면 찬양이냐, 감사냐, 지혜야, 탄원이냐? 협의적 의미로 자세히 규명.
단일 쟝르냐, 복합 쟝르냐?
복합 장르의 예> 예언서(특히, 이사야·예레미야)-찬송가의 양식·법적 자료·지혜·탄원.-한 문헌에 다양.
3) 삶의 자리를 규명★-공동체적 삶의 자리 찾기.
학교(선지자 학교냐, 서기관 학교냐?), 가정, 성전, 법정(룻기 4장), 결혼식, 장례식, 성전 봉헌식.
4) 장르의 기능·의도·목적 찾기.
장르의 기능·의도·목적이 있기 때문에 그런 장르가 살아남게 되는 것이다. 장르의 기능도 감화·감동·알림·설득·변호(솔로몬이 왕이 된 이유)·논박(톨레믹)
8. 양식비평의 예
3) K.Koch 독일사람, [양식 비평이란 무엇인가?]
4) G.M.Tunker 1970년대 양식 비평 선구자?, [구약의 양식비평]
4. 방법론 - 문헌 비평과의 차이
1) 문헌 비평은 문서화 과정을 추측. Final form text(마지막 문서)에서 출발.
양식 비평은 그 전 구전 문학까지 추측. 양식 비평에서 문서화는 아주 늦게 생각함.(J, E, D, P 모두 구전되다가 포로기에 문서화 되었다고 주장.)
2) 문헌 비평은 문헌의 저자·신학, 그것을 써야 하는 개인적·역사적 상황 연구.
양식 비평은 공동체 삶의 역동성. 즉 공동체의 예배다. 문학양식(구비문학양식)을 생산한 공동체 삶의 역동성. 문학 양식을 개인이 만든 것이 아니라 공동체가 만든 것.(예> 신앙고백). 이씨 조선의 시도 양식을 가진다. 그것은 혼자 개발한 것이 아니라 그 시대 공동체에서 만들어 진 것이다.
3) 문헌 비평은 문헌의 직선적이고 평면적 차원(역사적 넓이)이다.
양식 비평은 수직적이고 입체적인 차원(사회적·공동체적)에 관심을 가진다.
5. 전제
1) 구약은 하나의 문학, 특히 구비 문학에서 발전한 것이다. 사람의 말로 글로 기록된 것이다.
2) 문서화 되기 이전에 구비 문학의 단계가 있었다. 성경은 Literary document가 아니고 Oral document였다. 문서화된 것은 더 이상 말로 안되고 문서화가 필요한 상태에서 문서로 등장. (지금도 방글라데시의 80∼90%는 글을 읽지 못한다.)거의 극소수 외에는 쓸 줄 모르고, 읽을 줄 모름. 그래서 예언자들도 "읽어라"하지 않고 "들어라"고 함.
3) 양식 형성의 과정.
공동체의 반복적·습관적 사용이 어떤 양식으로 굳어지는 것. (시편 2편 대관식시, 제왕시) 이 때의 양식은 아주 간명하고 짧다. (다른 사람이 외워야 하니까) 판에 박힌 모습·형식 갖춰짐.(예> 우리 조상들은 유리하던 아람사람으로서∼).계약·맹세·서약·편지·찬양·기도·설교의 Form 들이 굳어짐. 고대작가는 이런 Streotype된 문학 양식에 따라 성경을 이야기.
4) 모든 장르는 삶의 자리(Sitz in Leben;독일어)를 갖고 있다.
문학양식이 탄생하는데는 양식의 삶의 자리가 있다. 예를 들어 동화 양식은 안방·할머니에게서 나온다. 여기서 삶의 자리란 역사적 배경이 아니다. 역사적 배경은 문헌 비평에서 하는 이야기다. 그것은 아니다. (★기말 고사 때, 양식 비평 할 때 삶의 자리로 역사적 배경을 말하지 말라.)★양식이 사용되고 발달한 삶의 자리를 말한다. (예 1> 시편 52편의 양식의 삶의 자리 - '다윗이 밧세바와 동침한 때' 가 아니고 이것은 문헌 비평에서 하는 것이고 언제 이 참회시가 사용되는가? 즉 '예배·성전 예배 때'이다. 예 2> 시편 2편의 양식의 삶의 자리는 대관식, 어떤 역사적 배경인가 하는 것은 문헌 비평) 가정적 자리, 법적 자리, 예배 공동체의 자리. 대개 공동체의 자리이다.
6. 문학 양식 5가지
1) 설화(Narrative)
구약에 Narrative 많다. 서술된 이야기. 구약의 거의 모든 문학이 그렇다.(역사서, 오경). 협의로 양식을 분리하면 Saga와 Legend로 나눠지는데, Saga는 공동체에 대한 것이고 역사성이 존중되는 것이고, Legend은 개인적이고 역사성이 무시되는 것이다. 그러나 두 가지를 분리하는 것은 어렵다.
신화(Myth;창 1,2장 신이 인간 창조한 이야기)·동화(우화, 패러티브)·비유·역사성·고별 설교·기원론·예언자의 소명 설화·기적 설화·편지 등이 있다.
2) 시, 운율
(1) 제의적 시.
① 개인시: 개인 탄식시, 개인 감사시, 개인 탄원시.
② 공동체시: 공동체 찬양시, 공동체 감사시, 공동체 탄원시.
③ 제왕시: 대관식, 왕의결혼 축하(예> 시편 45편은 아합과 이세벨의 결혼식), 왕의 탄식시, 왕의 감사시
(2) 축제시 - 절기, 야웨 즉위시.
(모민큰 시편 주석- 야웨 즉위시. 야웨는 왕, 야웨가 통치하신다.)
3) 법률
노예 해방법 전승사.
법률은 협의의 쟝르로 조건법과 정언법 2가지가 있다.(by A.Ait)
(1) 조건법(Casuistic) : ∼하면 ∼하라.
(2) 정언법(Apod(e)ictic) : 조건이 없다.
이스라엘만 독특합 법이 Apod(e)ictic Low라고 주장. 십계명이 대표적(by A.Ait)
4) 지혜
협의에서 지혜는 격언과 경구. 짧은 경우. 산문체 지혜도 인정.
5) 예언
예언서, 크게 2가지
(1) 책망과 위협의 예언
(2) 구원·희망·약속의 예언.
예언자의 환상보고, 신탁, 메신저 Speech(전령의 Speech;야웨께서 내게 ∼라고 말씀하셨다.)
협의로 들어가면 장르가 수없이 많다.
모든 주석은 양식 비평적 접근.
7. 양식 비평의 방법론
1) 본문의 내용구조 분석
문학 단위를 구분(unit)(문헌비평과 겹쳐지기도 함).
내용 구조·개요를 분석/ 서론·본론·결론의 out line분해./ 발단·전개·절정·대단원의 기승전결의 맥.
상투적 사용용어, 분위기 전환.
2) 쟝르를 정의.
시냐, 산문이냐?
쟝르는 광의의 쟝르와 협의의 장르냐? 더 구체적으로 분류. 산문이면 설교냐, 보고냐, 민담이냐? 시이면 찬양이냐, 감사냐, 지혜야, 탄원이냐? 협의적 의미로 자세히 규명.
단일 쟝르냐, 복합 쟝르냐?
복합 장르의 예> 예언서(특히, 이사야·예레미야)-찬송가의 양식·법적 자료·지혜·탄원.-한 문헌에 다양.
3) 삶의 자리를 규명★-공동체적 삶의 자리 찾기.
학교(선지자 학교냐, 서기관 학교냐?), 가정, 성전, 법정(룻기 4장), 결혼식, 장례식, 성전 봉헌식.
4) 장르의 기능·의도·목적 찾기.
장르의 기능·의도·목적이 있기 때문에 그런 장르가 살아남게 되는 것이다. 장르의 기능도 감화·감동·알림·설득·변호(솔로몬이 왕이 된 이유)·논박(톨레믹)
8. 양식비평의 예
키워드
추천자료
[설교문][성경본문-출애굽기 12장 1-14절] 어린 양의 피
[설교문][성경본문-출애굽기 4장 27-31절] 돌아보시고 감찰하시는 하나님
[설교문][성경본문-출애굽기 8장 25-32절] 결코 세상과 타협될 수 없는 신앙
[설교문][성경본문-출애굽기 10장 1-11절] 겸손한 자의 편에서 역사하시는 하나님
[설교문][성경본문-출애굽기 13장 3-10절] 칠일 동안 먹은 무교병
[설교문][성경본문-출애굽기 6장 2-9절] 듣지 아니하였더라
[설교문][성경본문-출애굽기 6장 2-8절] 너희를 구속하리라
[설교문][성경본문-출애굽기 12장 29-42절] 구원 받은 이스라엘 백성
[설교문][성경본문-출애굽기 5장 1-9절] 멸망 받을 자 바로의 행동
[설교문][성경본문-출애굽기 5장 22-23절] 모세의 탄원(歎願)
[설교문][성경본문-출애굽기 7장 14-19절] 아침에 하숫가에 서서 전한 말씀
[설교문][성경본문-출애굽기 9장 27-35절] 세상을 대하는 성도의 자세
[설교문][성경본문-출애굽기 11장 4-8절] 세상에 대한 의분(義憤)
[설교문][성경본문-출애굽기 15장 1-18절] 여호와는 나의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