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헤비거스트의 연구(기술기능이론)
(1) 상승이동의 경로
(2) 한계
2. 블로와 던컨(Blau and Duncan)의 직위획득 모형
(1) 연구의 개요
(2) 연구의 결과
3. 인간자본론의 입장
(1) 기본전제
(2) 평등화의 논리
(3) 결론
(1) 상승이동의 경로
(2) 한계
2. 블로와 던컨(Blau and Duncan)의 직위획득 모형
(1) 연구의 개요
(2) 연구의 결과
3. 인간자본론의 입장
(1) 기본전제
(2) 평등화의 논리
(3) 결론
본문내용
희소가치 때문에 저소득층의 소득이 향상된다.
3) 교육받은 기술인력의 공급이 증가하게 되면 고소득자의 소득증가는 둔화된다.
4) 저소득층의 소득은 상승하고 고소득층의 소득은 둔화되므로 소득분배가 평등해진다.
(3) 결론 : 학교교육은 사회선발과 이동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기회균등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이며, 결과균등의 역할까지 수행해 낼 수 있게 된다.
3) 교육받은 기술인력의 공급이 증가하게 되면 고소득자의 소득증가는 둔화된다.
4) 저소득층의 소득은 상승하고 고소득층의 소득은 둔화되므로 소득분배가 평등해진다.
(3) 결론 : 학교교육은 사회선발과 이동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기회균등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이며, 결과균등의 역할까지 수행해 낼 수 있게 된다.